• 제목/요약/키워드: L11

검색결과 10,352건 처리시간 0.04초

RAPD와 ITS 영역에 의한 민자주방망이 버섯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Based o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Sequences in Lepista nuda)

  • 이양숙;김남우;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70-1476
    • /
    • 2012
  • 본 연구는 유럽에서 식용버섯으로 선호도가 높은 Lepista nuda (민자주방망이버섯)에 대하여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내 및 종간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RAPD 분석 결과 40개의 random primer 중 다형성을 나타내는 primer는 22개 였으며, 증폭된 밴드는 355개, DNA 단편의 크기는 200~4,000 bp의 사이에 위치하였다. RAPD band들을 marker로 하여 Nei-Li's의 방법을 이용한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L. nuda 종내 유전적 변이는 0~21.60%로 나타났으며, L. nuda와 L. sordida의 종간에는 16.93~24.82%, L. irina와는 20.62~25.54%로 나타났으며, L. sordida와 L. irina와의 종간 변이는 23.49%로 나타났다. ITS I 과 II 영역의 673 bp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L. nuda의 종내 변이는 1.58~11.47%였으며, L. nuda와 L. sordida와는 3.83~12.88%로 나타났다. 그리고 L. nuda와 L. irina는 7.11~15.61%였으며, L. sordida와 L. irina와의 종간 변이는 4.79%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RAPD와 ITS실험을 통해 확인된 primer와 연기서열은 Lepista속의 종을 검색 및 분류 시 유전적 표지 marker로서 이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향주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의 동정 및 발효 특성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ahyangju Nuruk)

  • 박치덕;정희경;박환희;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8-193
    • /
    • 2007
  • 하향주의 제조에 이용되는 누룩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배양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총 11균주를 이용하여 알코올 10%와 pH 4.0에서 생육이 억제되는 양조학적으로 적합한 5균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였고,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1균주, Lactobacillus sakei 1균주 및 Lactobacillus curvatus 3균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젖산 간균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을 각각 L. plantarum L-3, L. sakei L-10 그리고 L. curvantus L-8, 11, 12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L-3이 배양 초기 pH 4.0일 때 0.78%의 산도를 나타내어 나머지 4균주에 비해 약 10배정도 높은 산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5균주는 모두 $30^{\circ}C$에서 가장 산생성능이 우수하였고, L. sakei L-10을 제외한 모든 균주는 $45^{\circ}C$에서 생육이 정지되었으나, L. sakei L-10은 $40^{\circ}C$에서 생육이 저해되었다. 그리고 에탄을 농도가 6%일 때 산의 생성이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L. curvatus L-8, 11, 12는 8% 에탄올에서 거의 생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탄올에 대한 내성이 낮았으며, L. plantarum L-3과 L sakei L-10은 10% 에탄올에서 생육이 정지되었다.

Probiotic Potential of Enterococcus faecium Isolated from Chicken Cecum with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Promoting Longevity in Caenorhabditis elegans

  • Sim, Insuk;Park, Keun-Tae;Kwon, Gayeung;Koh, Jong-Ho;Lim, Yo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6호
    • /
    • pp.883-892
    • /
    • 2018
  • Probiotics, including Enterococcus faecium, confer a health benefit on the host. An Enterococcus strain was isolated from healthy chicken cecum, identified as E. faecium by 16S rDNA gene sequence analysis, and designated as E. faecium L11.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E. faecium L11 as a probiotic, the gastrointestinal tolerance, immunomodulatory activity, and lifespan extension properties of the strain were assayed. E. faecium L11 showed >66% and >62% survival in artificial gastric juice (0.3% pepsin, pH 2.5) and simulated small intestinal juice (0.5% bile salt and 0.1% pancreatin), respectively. Heat-killed E. faecium L11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mmune cell proliferation compared with controls, and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cytokines (IL-6 and $TNF-{\alpha}$) by activated macrophages obtained from ICR mice. In addition, E. faecium L11 showe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infection in Caenorhabditis elegans. In addition, feeding E. faecium L11 significantly (p < 0.05) extended the lifespan of C. elegans compared with the control. Furthermore, genes related to aging and host defense were upregulated in E. faecium L11-fed worms. In conclusion, E. faecium L11, which prolongs the lifespan of C. elegans, may be a potent probiotic supplement for livestock.

IEEE 802.11 기반의 고속의 안전한 Mobile IPv6 핸드오프 메커니즘 (Fast and Secure Handoff Mechanism for Mobile IPv6 based on IEEE 802.11)

  • 강현선;박창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05-215
    • /
    • 2010
  • 802.11 기반의 환경에서 원활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신속하고 안전한 핸드오버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802.11 WLAN 환경에서 L2 계층과 L3 계층을 통합한 FMIPv6 핸드오프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해당 프로토콜에서는 핸드오버 메시지 보호를 위해 계층적 키 관리 기법 및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신속한 핸드오버를 위해서는 AAA와의 접속을 최소화한다. 또한 제안 프로토콜의 핸드오버 비용을 기존연구와 비교, 분석해 본다.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New Di-N-alkylated 14-Membered Tetraaza Macrocycles and Their Nickel(II) and Copper(II) Complexes

  • 강신걸;송정훈;황동막;김기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1권11호
    • /
    • pp.1106-1110
    • /
    • 2000
  • New 14-membered tetraaza macrocycles 1,8-diallyl-3,5,7,7,10,12,14,14-octamethyl-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L^2)$ and 1,8-bis(n-propyl)-3,5,7,7,10,12,14,14-octamethyl-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L^3)$ have been prepared by direct react ion of 2,5,5,7,9,12,12,14-octamethyl-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L^1)with$ allyl bromide or n-propyl bromide. The nickel(II) and copper(II) complexes of $L^2andL^3have$ been prepared. The macrocycles show high copper(II) selectivity against nickel(II) ion in methanol solutions containing water. The wavelengths (ca. 505 nm) of the d-d bands for the nickel(II) complexes are extraordinarily longer than those for the complexes of $L^1and$ other related di-N-alkylated 14-membered tetraaza macrocycles. Crystal structure of $[NiL^2](ClO4)_2$ shows that the average Ni-N bond distance $(1.992\AA)$ of the complex is distinctly longer than those of other related nickel(II) complexes. Effects of the N- and C-substituents on the properties of the macrocyclic compounds are discussed.

Templat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our- and Five-Coordinate Copper(II) Complexes with Hexaaza Macrotricyclic Ligands 1,3,6,9,11,14-Hexaazatricyclo $[12.2.1.1^{6,9}]octadecane(L_1)$ and 1,3,6,10,12,15-Hexaazatricyclo $[13.3.1.1^{6,10}]eicosane(L_1)$

  • Myunghyun Paik Suh;Shin-Geol Kang;Teak-Mo Ch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1권3호
    • /
    • pp.206-208
    • /
    • 1990
  • Cu(II) hexaazamacrotricyclic complexes $[Cu(L)](ClO_4)_2$ and $[(Cu(L)Cl]ClO_4$, where L = 1,3,6,9,11,14-hexaazatricyclo$[12.2.1.1^{6,9}]octadecane(L_1)$ or 1,3,6,10,12,15-hexaazatricyclo$[13.3.1.1^{6,10}]eicosane(L_2)$, have been prepared by the simple template condensation reactions of triamines, diethylenetriamine for $L_1$, and N-(2-aminoethyl)-1,3-propanediamine for $L_2$, with formaldehyde in the presence of $Cu(OAc)_2\;or\;CuCl_2$. The Cu(II) complexes of $L_1$ contain two 1,3-diazacyclopentane ring moieties and those of $L_2$ contain two 1,3-diazacyclohexane ring moieties that are fused to the 14-membered macrocyclic framework. Spectra indicate that complexes $[Cu(L)](ClO_4)_2\;and\;[Cu(L)Cl]ClO_4$ have square-planar and square-pyramidal chromophores, respectively. square-planar $[Cu(L)](ClO_4)_2$ are remarkably stable against ligand dissociation in acidic aqueous solutions. Square-pyramidal $[Cu(L)Cl]ClO_4$ complexes dissociate their axial Cl-ligands easily in aqueous solutions to form $[Cu(L)H_2O]^{2+}$ species. Infrared and UV/vis absorption spectra of the Cu(II) complexes reveal that Cu-N interactions and the ligand field strengths are significantly weaker in the complexes of $L_2$ than in the complexes of $L_1$.

Lactobacillus brevis 균주를 이용한 다래 수액에서의 감마아미노뷰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γ-Aminobutyric Acid Production Using Lactobacillus brevis spp. in Darae Sap)

  • 정명교;정지희;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4-222
    • /
    • 2016
  •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인 GABA를 생성하는 젖산세균을 분리하고 다래 수액을 이용하여 GABA 생산을 위한 배지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였다. 다래 수액 발효에 이용할 고효율의 GABA 생성 균주 분리를 위해 젖산세균이 많다고 알려진 시료들에서 균주들을 채취하여 MRS broth에 접종 후 $37^{\circ}C$에서 24시간동안 배양 후, 효소적 방법을 이용해 균주가 생산하는 GABA양($605.67{\mu}g/mL$)을 측정하여 분리 선별하였다. 그리고 선별한 균주를 생리, 생화학적인 시험과 API 50 CHL을 이용한 당 발효 시험, 그리고 16s rDNA 분석을 통한 결과, L. brevis CFM11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젖산세균주의 생육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온도(25, 32, 37, $45^{\circ}C$)와 시간(0, 24, 48, 72 h)에 따른 특성을 측정한 결과 $32^{\circ}C$, 48시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GABA 생성량과 생육조건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L. brevis CFM11를 이용한 발효 시 다래 수액에 부족할 수 있는 발효 영양원을 보충하고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미강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에 이용하였고, 또한 높은 농도의 GABA 생성을 위해 다양한 영양원과 젖산세균의 GABA 생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MSG를 첨가하여 최적 발효 조건을 찾은 결과, 미강추출물 40%, sucrose 1.0%, soytone 3.0%, magnesium sulfate 0.2%, MSG 0.2% 첨가하는 것이 다래 수액 발효를 위한 최적 조건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화된 다래 수액에 L. brevis CFM11를 이용하여 발효를 한 결과, 균주의 최적 생육 조건인 $32^{\circ}C$ 48시간 배양 시 가장 높은 GABA 생성량인 $1366.13{\mu}g/mL$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분리 균주인 L. brevis CFM11를 이용하여 발효 시 다래 수액 내에서 높은 효율의 GABA를 생성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이로 인해 GABA의 기능성이 더해진 젖산세균 발효음료의 상업적 생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페닐알라닌 대량생산을 위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구성 (Construction of Plasmids for Overproduction of L-Phenylalanine)

  • 이새배;박청;원찬희;최덕호;임번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3
    • /
    • 1990
  • E. coli를 이용하여 L-phenylalanine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pMW10, pMW11과 pMW 12를 구성하였다. L- Phenylalanine 생산을 위한 유전자 $aroF^{FR}$, $pheA^{FR}$은 E. coli MWEC 101-5 균주로부터 분리하였다.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함유하고 있는 E.coli 대사 조절변이주들의 L-phenylalanine 생산생과 안전성을 조사하여 $aroF^{FR}$, $pheA^{FR}$유전자들의 효율을 알아보았다. MWEC 101-5/pMW 11 균주에서는 24.3 g/I의 L-phenylalanine이 생산되었으나, 플라스미드의 안정성은 73.8%였다. 본 균주의 prephemte dehydratase, 고유 활동도는 E. coli K-12에 비하여 26배 증가된 것이다.

  • PDF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김효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6-203
    • /
    • 2006
  • 김치로부터 3종의 EPS 생성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Leuconostoc kimchii,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각각 Leuconostoc kimchii GJ2, Leuconostoc citreum C3, Leuconostoc mesenteroides C11로 명명하였다. EPS생성 김치유산균의 장내 정착성 여부 확인 결과 pH 3.0의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와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였으며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며 3종의 EPS생성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이 장내 정착하면서 probiotics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서 분리균주가 EPS를 생성하지 않았을 때의 경우에는 내산성, 인공위액, 인공담즙에서 처리 후 생균수가 $10^{1-2}\;CFU/ml$ 감소현상을 보여 균체의 EPS생성 여부가 probiotics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결정적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Leu. kimchii GJ2의 경우 E. coli, Pseudomonas, Listeria, Micrococcus, Salmonell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속 등의 유해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산 항균물질은 단백질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로부터의 EPS 생성량은 sucrose(5%) 배지에서 각각 21.49 g/l, 16.46 g/l, 22.98 g/l 였으며, 정제 시에도 각각 14.61 g/l, 7.73 g/l, 4.77 g/l로 기존의 EPS 생성 유산균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10배 이상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TLC 및 HPLC를 이용한 EPS 구성 당 확인 결과 3균주 모두 glucose로만 구성된 homopoly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EPS 생성량이 가장 좋은 Leu. kimchii GJ2의 평균 분자량은 360,606 Da이었으며, 나머지 두 균주에 대해서는 생성 EPS 형태와 점도의 차이로 미루어 보아 생성 EPS의 분자구조와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요구르트의 프로바이오틱 활성과 물리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green tea supplementation on probiotic potential,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yogurt)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3-1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acidophilus D11 또는 Lactobacillus fermentum D37 균주로 발효시킨 요구르트의 프로바이오틱로서의 가능성, 물리 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공 소화액에 대한 저항성과 상피 세포에 대한 부착력과 같은 프로바이오틱활성은 플레인 요구르트보다 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산균의 수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L. acidophilus D11로 발효시킨 플레인 요구르트에 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유산균수, 유기산 함량 및 점도와 같은 요구르트의 물리 화학적 특성도 유의하게 (P<0.05) 증가하였다. 하지만 녹차 추출물은 L. fermentum D37 균주 발효시킨 요구르트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0.05). 한편, Escherichia coli O157 ATCC 43889,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 및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514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총 페놀 함량, 라디칼 소거능 및 철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은 L. acidophilus D11 보다는 L. fermentum D37로 발효시킨 플레인 요구르트에서 현저히 높았다. 게다가 요구르트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은 녹차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L. acidophilus D11 또는 L. fermentum D37로 발효시킨 녹차 요구르트는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체세포 내에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제거 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