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brevi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9초

이란 발효 유제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Milks in Iran)

  • 박효주;박동준;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11-21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eight fermented milk products in Iran. We enumerated Lactobacillus species using De Man-Rogosa-Sharpe (MRS)-maltose and MRS agar with pH adjusted to 5.2, as well as assessment at 37℃ for 48 hr, studied Streptococcus spp. using M17 agar at 43℃ for 24 hr, and assessed Bifidobacterium species using nalidixic acid, paromomycin sulfate, neomycin sulfate, and lithium chloride (BL-NPNL) agar at 37℃ for 48 hr. The total viable Streptococcus spp. cell in fermented milk varied at 4.73-8.83 log CFU/mL. However, Bifidobacterium spp.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tested samples. Lactobacilli were not detected in four of the eight samples, and viable Lactobacilli cells in the remaining four samples ranged 2.48-3.85 log CFU/mL. The pH of the tested samples ranged 3.53-4.19, and soluble solids (Brix measurement) ranged 7.5%-17.9%. A total of 130 isolates of gram-positive catalase-positive bacteria were characterized at the species level using 16S rRNA sequencing. Sequence analysis identified six species: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sunkii,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indicu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and Levilactobacillus brevis.

Plasmid Profiling and Curing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Chicken

  • Chin Sieo Chin;Abdullah Norhani;Siang Tan Wen;Wan Ho Y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251-256
    • /
    • 2005
  •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susceptibility of 12 Lactobacillus strains, all of which had been isolated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chicken, to three antibiotics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and tetracycline) used commonly as selective markers in transformation studies of lactic acid bacteria. Among these strains, $17\%,\;58\%,\;and\;25\%$ were found to exhibit a high degree of resistance to $200\;{\mu}g/ml$ of tetracycline, erythromycin, and chloramphenicol, respectively. Seven of the 12 Lactobacillus strains exhibiting resistance to at least $50\;{\mu}g/ml$ of chloramphenicol or erythromycin, and five strains exhibiting resistance to at least $50\;{\mu}g/ml$ of tetracycline, were subsequently subjected to plasmid curing with chemical curing agents, such as novobiocin, acriflavin, SDS, and ethidium bromide. In no cases did the antibiotic resistance of these strains prove to be curable, with the exception of the erythromycin resistance exhibited by five Lactobacillus strains (L. acidophilus I16 and I26, L. fermentum I24 and C17, and L. brevis C10). Analysis of the plasmid profiles of these five cured derivatives revealed that all of the derivatives, except for L. acidophilus I16, possessed profiles similar to those of wild-type strains. The curing of L. acidophilus I16 was accompanied by the loss of 4.4 kb, 6.1 kb, and 11.5 kb plasmids.

한국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및 건강기능성 연구 (The Potential Probiotic and Functional Health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 온정은;설민경;배은영;조영제;정희영;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581-59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식해, 열무김치, 비지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유산균 중 pH 2.5의 산에서 6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Pediococcus inopinatus BZ4, Lactobacillus plantarum SH1, Lactobacillus brevis SH14, Pediococcus pentosaceus YMT1, Leuconostoc mesenteroides YMT2는 0.3% 담즙산에서도 모두 우수한 생존율을 나타내어 이 5종을 선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간접적으로 유용미생물의 군집화 및 병원성 세균의 부착을 저해하는 자가 응집 및 상호 응집 실험에서 다섯 개의 유산균은 강력한 응집능을 나타내었다. 유기용매를 이용한 세포 표면 소수성 실험에서 3가지 용매에 모두 부착성을 나타내어 세포 표면의 높은 소수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장세포에 부착할 수 있는 세포 부착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DPPH, ABTS 라디컬 소거능 측정, 지질 과산화억제능 실험에서도 선별된 유산균의 cell-free supernatant 및 intracellular cell-free extract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진균인 C. albicans ATCC 10231를 제외한 4가지 병원성세균(E. coli KCTC 2571, H. pylori HPKCTC B0150, L. monocytogenes KCTC 13064, S. aureus KCTC 1916)에서 모두 항균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분리된 유산균은 항산화, 항균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기초적인 실험으로써 산업화를 위한 임상검증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키토산-아스코베이트의 용해성, 항산화성 및 항균성 (Solubility,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Ascorbate)

  • 이승배;이예경;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73-978
    • /
    • 2006
  • 동결건조한 chitosan-ascorbate(CAs)와 chitosan-acetate(CAc)의 용해성, 항균성, 항산화성을 비교하였다. 용해성을 조사한 결과 CAs는 증류수, 식초, 녹차, 소주, 맥주, 적포도주에 0.5%이상의 농도로 용해되었으나 간장, 두유, 우유, 오렌지주스, 커피, 참기름, 대두유에는 녹지 않았다. CAc도 CAs의 경우와 비슷하나 맥주에서는 0.1%이하의 농도에서 용해되었으며 적포도주에서는 커드를 형성하였다. CAc의 전자공여능, 항산화능 및 SOD활성은 CAc에서는 각각 0, 40.0 및 10.0%였으나 CAs의 경우는 48.2, 90.6 및 67.5%로 CAc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B. circulans, B. brevis, B. licheniformis, B. arabitane, B. sterothermophillus에 대한 CAs와 CAc의 최소저해농도(MIC)는 다같이 $200\;{\mu}g/disc$이었으며, E. coli O157, Listeria monocytogenous, B. cereus, B. subtilis에 대한 MIC는 다같이 $400\;{\mu}g/disc$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s와 CAc의 Hunter's L*값은 $81.95{\sim}82.97$로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Hunter's a* 및 b*값은 CAs가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CAs는 CAc에 비하여 신맛과 쓴맛은 낮았으나 떫은맛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CAs는 CAc에 비하여 항균성, 항산화성 및 기호도 측면에서 우수하여 식품에의 활용이 기대된다.

미생물 첨가와 사일로 밀도가 총체벼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특성 및 호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bial Additives and Silo Density on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Indices,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Rice Silage)

  • 주영호;정승민;서명지;이성신;최기춘;김삼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6-1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첨가제와 사일로 밀도가 총체벼 곤포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특성 및 호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미생물 첨가와 사일로 밀도는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INO 시험구에서 lactate 함량, lactate와 acetate 비율 및 LAB는 감소하였고, propionate 함량, yeast 및 호기적 안전성은 증가하였다. 사일로 밀도는 pH와 lactate 함량에 영향을 미쳤으나, 처리 구간 차이는 매우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L. brevis 5M2와 L. buchneri 6M1을 포함한 혼합형 LAB 첨가제 사용은 총체벼 곤포 사일리지의 호기적 안전성 개선에 유리하며, 사일로 밀도는 베일 압력이 430~770 kgf/cm2일 때 정상적인 사일리지 발효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갈조류, 미역의 전처리 인자 영향 파악 및 젖산 생산성 검토 (Validation of Factors Effect on Pretreatment of Brown Algae, Undari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Prospect of Lactic Acid Production)

  • 민창하;이두근;엄병환;윤정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453-460
    • /
    • 2018
  • 원유 가격의 상승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산업적으로 중요한 화합물을 생산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3세대 바이오매스인 해조류는 비식량 자원, 높은 생산 수율, 온실가스 저감 등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 연구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4종의 해조류 중에 미역이 가장 많은 당류를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역의 효과적인 전처리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체의 부하 및 촉매의 농도 증가가 총 당의 추출률과 관계 있음을 확인하였다. 4종의 락토바실러스 균주에서 미역의 전처리물을 이용하여 젖산 생산 수행하였으며 L. alimentarius와 L. brevis가 해조류 이용한 젖산생산에 적합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Stimulating the Growth of Kefir-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using Addition of Crude Flaxseed (Linum usitatissimum L.) Extract

  • Kim, Dong-Hyeon;Jeong, Dana;Oh, Yong-Taek;Song, Kwang-Young;Kim, Hong-Seok;Chon, Jung-Whan;Kim, Hyunsook;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93-97
    • /
    • 2017
  • Linum usitatissimum L. (flaxseed) is emerging as an important functional food ingredient because of its rich contents, namely, ${\alpha}$-linolenic acid (ALA, omega-3 fatty acid), lignans, and fiber, which are potentially beneficial for human health. Furthermore, flax or flaxseed oil has also been incorporated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into various foods such as milk, dairy products, and meat products. Flaxseed is known to possess antimicrobial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but its growth-stimulating effect on lactic acid bacteria is not clear. H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rude flaxseed extract stimulated the growth kefir-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in vitro.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DN1, Lactobacillus brevis KCTC3102, Lactobacillus bulgaricus KCTC3635,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5 treated with $100{\mu}L$ of crude flaxseed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than the control treated with $100{\mu}L$ of water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rude flaxseed extract could be used as a growth stimulator for lactic acid bacteria in various food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s.

김치유산균용 발현벡터 pSJE6c 개발과 이를 이용한 외래 유전자 발현 (Development of pSJE6c, an Expression Vector for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Heterologous Gene Expression Using the Vector)

  • 이강욱;박지영;이지연;이황아;백창운;조현덕;김주연;권건희;천지연;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89-398
    • /
    • 2009
  •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김치에서 분리한 Leu. mesenteroides SY2 유래 pFMBL1 을 바탕으로 구축한 셔틀벡터인, pSJE[7]를 외래유전자 발현에 적합하게 개량한 발현벡터를 구축하였다. Lactococcus lactis LM0230에서 분리한 프로모터 P6C를 pSJE에 도입하였다. P6C 염기서열을 지닌 oligonucleotide 쌍을 따로 제조한 후 annealing을 통해 짧은 DNA 단편을 얻어서 제한효소 처리후 pSJE에 도입하여 pSJE6c를 구축하였다. PSJE6c 효능 검증을 위해서 외래 유전자인 aga와 lacZ를 각각 pSJE6c에 도입하였다. P6C 프로모터와 비교를 위해 고유 프로모터를 지닌 유전자들도 각각 pSJE에 도입하였다. 재조합 plasmid들을 electroporation 방법으로 Lactobacillus brevis 2.14 균주에 도입하고 재조합균주들의 생육곡선과 효소역가 그리고 slot blot으로 전사체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보면 PSJE6c에 클로닝 된 유전자들이 pSJE상의 유전자보다 효소역가들이 약 1.5배에서 2배 정도로 높았다. 전사체 농도 측정 결과도 pSJE6c 들에서 더 많은 전사체가 생성됨을 보여주었다. 이상 결과들은 효율적인 발현벡터들의 사용을 통해서 김치유산균에서 외래유전자 발현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Microbial Conversion of Ginsenoside from the Extract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by Lactobacillus sp.

  • Cho, Hye-Jin;Jung, Eun-Young;Oh, Sung-Hoon;Yoon, Brian;Suh, Hyung-Joo;Lee, Hyun-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05-112
    • /
    • 2010
  • Thirty-four strains of Lactobacillus species were isolated from soil and eight of these isolates (M1-4 and P1-4) were capable of growing on red ginseng agar. The M1 and P2 strains were determined to be L. plantarum and other strains (M2, M3, M4, P1, P3 and P4) were determined to be L. brevis. Fermentation of red ginseng extract (RGE) with strains M1, M2, P2 and P4 resulted in a low level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174.3, 170.0, 158.8 and 164.8 mg/mL, respectively). RGE fermented by M3 showed a higher level of uronic acid than the control. The polyphenol levels in RGE fermented by M1, P1 and P2 (964.9, 941.7 and $965.3\;{\mu}g/mL$,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936.8\;{\mu}g/mL$). Total saponin contents in fermented RGE (except M1)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RGE fermented by M2 and M3 had the highest levels of total ginsenosides (31.7 and 32.7 mg/mL, respectively). The levels of the ginsenoside Rg3 increased from 2.6 mg/mL (control) to 3.0 mg/mL (M2) or 3.1 mg/mL (M3). RGE fermented by M2 and M3 also had the highest levels of Rg5+Rk1 (7.7 and 8.3 mg/mL, respectively). Metabolite contents of ginsenoside (sum of CK, Rh1, Rg5, Rk1, Rg3 and Rg2) of M2 (13.0 mg/mL) and M3 (13.9 mg/mL) were also at a high level among the fermented RGE.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 content of ginsenoside of M2 (10.9 and 5.4 mg/mL, respectively) and M3 (11.0 and 5.7 mg/mL, respectively) were at higher levels than other fermented RGE.

시금치 유래 천연 아질산염 생산의 최적화 연구 (Study of optimization of natural nitrite source production from spinach)

  • 김태경;서동호;성정민;구수경;전기홍;김영붕;최윤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59-461
    • /
    • 2017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표준균주를 활용하여 시금치 발효액의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시켜 천연 아질산염 생산량의 최적화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유산균 종, 발효온도, 발효시간, 탄소원에 따른 아질산염 생산량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Lactobacillus 표준균주에서는 L. farciminis(KCTC 3618)가 가장 많은 아질산염을 생산하였고, 발효온도 및 배양온도는 $30^{\circ}C$에서 36시간이 가장 많은 양의 아질산염을 생산하였다. 설탕을 첨가하였을 때 다른 탄소원을 첨가하였을 경우 보다 많은 양의 아질산염을 생산하였다. 따라서 L. farciminis를 스타터 배양로 활용하여 시금치의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30^{\circ}C$, 36 h)한다면 산업적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천연 아질산염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