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corbic acid

검색결과 893건 처리시간 0.525초

Inhibitory Effects of Garlic Oil on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 Yang, Seung-Taek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4-25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동맥경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한 garlic oil의 산화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Garlic oil을 HPLC로 분석한 결과 diallyl disulfide, diallyltrisulfide, diallyltetrasulfide and diallyl pentasulfide 등의 유황화합물이 많이 들어 있었다. 사람 LDL을 $Cu^{2+}$ 및 macrophages 유도 oxidized LDL로 산화시킬 때 garlic oil을 20~60${\mu}g$/mL 범위에서 첨가하며 실험하였을 때 용량 의존형으로 억제되었고, garlic oil을 60 ${\mu}g$/mL 첨가하였을 때 LDL의 산화가 거의 억제되었으며, 산화 LDL의 전기영동에 의한 이동거리도 60 ${\mu}g$/mL 농도에서 거의 억제되었다. 그리고 garlic oil은 동맥의 내피세포에서도 용량 의존형으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garlic oil은 tocopherol, ascorbic acid 보다 약간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garlic oil은 macrophage 및 내피세포에서 LDL의 항산화 효과가 있어 LDL의 산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 Assay System에 있어서 Aflatoxin B$_1$의 돌연변이 유발성에 미치는 L-Ascorbic Acid의 영향 (Effect of L-Ascorbic Acid on the Mutagenicity of Aflatoxin B$_1$ in the Salmonella Assay System)

  • 박건영;권미향;최홍식;백현숙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21
    • /
    • 1988
  • Mutagenic actions of aflatoxin B$_1$ (AFB$_1$) in the pre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L-ascorbIc acid (AA) in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TA 100 and TA98 were studied. Spontaneous revertants per plate of the tester strains TA100 and TA98 were 121-125 and 25-30 with or without S9 mix, respectively. The negative controls used in the study did not show any mutagenesis in the tester strains. AFB$_1$ revealed strong mutagenicity at the dose levels of 0.05, 0.1 and 0.25 ${\mu}$g/plate with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both strains. However, it showed a toxic effect when the levels were more than 0.5 ${\mu}$g/plate. When lower concentrations of AA (5-20 ${\mu}$g/plate) were added to AFB$_1$ in the Ames assay system with S9 mix the mutagenic action of AFB$_1$ decreased in both strains. About 70-90% of mutagenicity of AFB$_1$ disappeared in strain TA100 when 20${\mu}$g of AA was added to 0.05 ${\mu}$g of AFB$_1$. The inhibitory effect was grea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higher concentrations of AA to AFB$_1$ in TA100 strain. The mutagenicity of AFB$_1$ was completely inhibited when 100 ${\mu}$g and 500 ${\mu}$g of AA were added to 0.05 ${\mu}$g and 0.1 ${\mu}$g of AFB$_1$, respectively, However, this protective effect of AA on AFB$_1$ mediated mutagenesis was less effective in TA98 strain than that in TA100.

  • PDF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 (Major Metabolites Involved in Skin Blackening of 'Niitaka' Pear Stored under Cold Temperature)

  • 이은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59-365
    • /
    • 2014
  • 본 연구는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를 untargeted GC-MS 그리고 targeted HPLC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GC-MS 분석 결과 아미노산, 유기산, 당 관련 총 40개의 대사체를 정성할 수 있었고 건전과는 과피흑변과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은 대사체 함량을 보였다. 특히 serine,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건전과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과피 흑변과에서는 threonine, fumaric acid, gluconic acid 함량이 높았다. 개개의 phenolic compounds 분석 결과 건전과에서 높은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보였다. 또한 항산화 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는 ascorbic acid가 과피 흑변과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세포 내 비정상적인 호흡 및 에너지 대사과정, 항산화 능력 결여가 신고 배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생체외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anguisorbae Radix Ethanol Extracts)

  • 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9-1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지유 추출물의 농도는 0.33 mg/mL으로 ${\alpha}$-tocopherol의 $IC_{50}$(0.40 mg/mL)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catechin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ascorbic acid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구리이온 환원력은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의 절단을 억제시켰다. 지유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0 및 3.33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지유 추출물 0.01,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BHP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3.8, 79.1 및 96.9%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지유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알콜증류폐액을 이용한 빵효모배양에서 포도당, 암모늄 및 인산의 자동첨가에 의한 증균 (Increasing Cell Concentration by the Automatic Addition of Glucose, Ammonium and Phosphate in the Cultivation of a Baker′s Yeast in Alcohol Distillery Wastewater)

  • 이형춘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97-201
    • /
    • 2003
  • 알콜증류 폐액에 빵효모를 배양하는 중에 포도당, 암모늄 및 인산을 자동 첨가하여 균체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폐액의 재이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포도당은 DO를 제어파라미터로 하는 제어방법을 사용하여 자동 첨가함으로서 그 농도를 300 mg/L 이하로 유지하였다. 암모늄은 pH-stat 방법을 사용하여 N $H_4$OH로서 자동 첨가함으로서 12.6~17.4mM의 낮은 농도범위로 유지하였다. 인산의 경우에는 분석방법으로써 ascorbic acid법을 채택한 자동화 FIA sysetm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 system으로 배양 19.4 시간 후부터 배양액을 자동분석하고 제어한 결과 배양액의 P $O_4$-P 농도를 23.3~43.4 mg/L 의 낮은 농도범위로 유지할 수 있었다. 세가지 영양성분을 자동첨가하면서 배양한 결과 증식의 정체없이 균체량을 33.0배 더 증가시킬 수 있었다. 비증식속도는 0.19 $hr^{-l}$였다.

율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 박찬휘;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50-15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율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in vitro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율피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39.76 ㎍/mL였고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 층의 함량이 323.92 ㎍/mL으로 가장 높았다(p < 0.0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폴리페놀 측정 결과와 유사하게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함량이 13.12 ㎍/mL으로 가장 높았다(p < 0.05).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RC50 값이 2.27 ㎍/mL으로 양성 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낮은 RC50 값을 나타내었다(p < 0.05).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율피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율피를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로 쓰일 것으로 기대되며, ethyl acetate 분획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 변화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Sparassis latifolia extracts)

  • 양승화;이용조;김다송;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8-27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꽃송이버섯을 4종의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L. acidophilus, L. helveticus,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을 사용해 발효를 하였다.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activity, 총 폴리페놀 함량(TPC), HPLC 분석, protease 활성을 동해 발효 전 후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은 IC50 28.09-64.46 ㎍/mL, SOD 활성은 IC50 15.75-39.42 ㎍/mL, TPC는 57.66-100.43 GAE ㎍/mL 와 85.25-110.68 ㎍/mL 로 확인되었다.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보다 약 8배 이상 증가된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HPLC 분석 결과는 ascorbic acid, gallic acid,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protease 활성 또한 발효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균주들의 작용에 의하여 꽃송이버섯이 발효되면서 폴리페놀류가 증가하여 생리활성이 꽃송이버섯 추출물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Lactobacillus 균중에서 L. helveticus 균주로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꽃송이버섯을 발효하는데 있어 L. helveticus 균주가 가장 적합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rosinase from Solanum melongena

  • Lee, Jong-Liong;Kong, Kwang-Hoon;Cho, Sung-Hye
    • BMB Reports
    • /
    • 제30권2호
    • /
    • pp.150-156
    • /
    • 1997
  • Tyrosinase was purified from Solanum melongena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Sephadex G-150 and DEAE-Sephacel column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tyrosinase was approximately 88,600 daltons with 805 amino acid residues. The amino acid composition showed the characteristic high contents of glycine, glutamic acid and serine residues. The enzyme had high substrate specificity towards (+)-catechin. The $K_m$, value for L-DOPA was 20.8 mM. L-ascorbic acid, ${\beta}-mercapto-ethanol$, sodium diethyldithiocabamate, KCN and $NaN_3$ had strong inhibitory effects on enzyme activity. Sodium diethyldithiocabamate was a competitive inhibitor of the enzyme with a $K_i$ value of $5.2{\times}10^{-2}\;mM$. The optimum pH of the enzyme was 9.0 and the optimum temperature was $65^{\circ}C$ with L-DOPA as a substrate. In addition, the activity was enhanced by addition of $Ca^{+2}$ or $Cu^{+2}$, but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Fe^{2+},Fe^{3+}$ and $Zn^{2+}$ ions.

  • PDF

New Production of Antibacterial Polycyclic Quinazoline Alkaloid, Thielaviazoline, from Anthranilic Acid by the Marine-Mudflat-Derived Fungus Thielavia sp.

  • Leutou, Alain Simplice;Yun, Keumja;Son, Byeng Wh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216-219
    • /
    • 2016
  • The microbial transformation of anthranilic acid (1) by the marine-mudflat-derived fungus Thielavia sp. produced an antibacterial polycyclic quinazoline alkaloid, thielaviazoline (2). The stereostructure of the metabolite was assigned based on detailed spectroscopic data analyses including comparison of the NMR ($^1H$ and $^{13}C$) data with those of reported compound (2). Compound 2 displayed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and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MDRSA),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6.25 and $12.5{\mu}g/mL$, respectively. Compound 2 also showed potent radical-scavenging activity agains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with an $IC_{50}$ of $11{\mu}M$, which was more active than the positive control, L-ascorbic acid ($IC_{50}$, $20.0{\mu}M$).

산처리 홍삼과 추출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cid Pre-treated Red Ginseng and Its Decoction)

  • 김미현;이영철;최상윤;조장원;노정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43-34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전처리를 통한 홍삼을 제조하여 홍삼의 향취미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로써 맛과 향이 개선 된 홍삼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Acid(ascorbic acid, citric acid) 감압침투 방법으로 산처리 홍삼을 제조하였으며, 반 건조 산처리 홍삼과 반건조 홍삼의 색, 유리당, ginsenoside 함량,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홍삼분말 색은 산을 처리하면 밝기 (L)와 황색도 (b)도는 감소하며, 적색도 (a)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uctose, glucose는 산을 처리하지 않은 홍삼이 가장 높았으나 sucrose, maltose는 citric acid 처리한 홍삼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insenoside 함량은 산을 처리한 홍삼에서 $Rg_2+Rh_1$, $Rg_3$의 함량이 증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을 처리한 반건조 홍삼과 일반 반건조 홍삼 관능검사에서는 색과 단맛에서만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건조 홍삼 추출물을 관능 검사한 결과 쓴맛과 떫은맛, 신맛, 향취, 색의 강도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산 처리한 홍삼 추출물은 쓴맛과 떫은맛이 감소되어 산으로 전 처리한 홍삼은 인삼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제품으로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