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77

검색결과 2,334건 처리시간 0.033초

전라남도에서 쯔쯔가무시병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관한 조사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the vector of tsutsugamushi disease in Chollanam-do, Korea)

  • 송현제;김개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27-34
    • /
    • 1996
  • 쯔쯔가무시병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10월부터 12월에 걸쳐 전라남도 6개 지역에서 들쥐와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지리적 분포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hemla식 wooden trap 814개를 사용하여 총 142마리의 들쉬를 포획하였는데 등줄쥐(Aponemr agrarius)가 131마리(92.3%)를 차지하여 절대 우점종이었고, 땃쥐(Crocidurarnwa)가 11마리로 7.7%였다 털진드기의 기생률은 들쥐 142마리 중 92마리에 털진드기가 기생하고 있어 69.0%이었고 총 10.532따리의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74.2개체의 chi껄erindeu를 보였다. 이 중 등줄쥐는 73.3%의 기생률과 80.깊개체의 chiggor index를 땃쥐는 18.2%의 기생률과 05개체의 chiggor index를 보였다. 총 10.532개체 채집된 털찐드기는 4속 11종으로 동정되었는데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과 L. scutellgre가 각각 8.038개체(76.3%)와 1.359개체 (12.9%)가 채집되어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대한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여 각 조사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다. 장흥군 장흥읍과 보성군 복내면에서는 L. sueuwe가 8.9개체(100%)와 13.7개체(41.5%)로 절대 우점종이었고, 화순군 능주면과 곡성군 삼기면은 L. pallidum이 각각 191.9개페(88.8%). 46.0개페(59.2%)로 우점종이 었으며 함평군 월야면은 L. zetum이 5.1개체(77.3%) 담양군 담양읍은 L. pdpole가 2.6개체 (63.4%)로 우점종이었다. 지역별 털진드기의 밀도 비교에서 화순군 능주면이 216.2개체(62.4%) 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곡성군 삼기면의 77.7개체(22.4%)로 많았다.

  • PDF

할미밀망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평가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Clematis trichotoma Nakai)

  • 정재미;신미준;정나은;황다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65-173
    • /
    • 2021
  • 할미밀망은 국내에서 자생하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활엽덩굴식물이다. 어린 잎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줄기와 뿌리는 약재로 사용된다. 할미밀망 줄기에 대한 항산화 연구는 보고되었으나 잎에 대한 연구는 현재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할미밀망을 70% 에탄올 추출물로 제조하고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5가지 분석(총 폴리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환원력,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사용되었으며 모든 분석에서 농도 의존적 효과를 나타냈다.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RAW 264.7 세포를 사용했다. 할미밀망은 농도(31.25-250 ㎍/mL)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할미밀망(250 ㎍/mL)은 LPS에 비해 세포의 수지상적 형태 변화를 억제하였고(34.4%), NO (77.4%), IL-6 (85.5%) 및 TNF-α (41.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할미밀망(250 ㎍/mL)은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COX-2 (79.8%), iNOS2 (93.9%), IL-6 (87.6%) 및 TNF-α (77.3%)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했다. 이러한 결과는 할미밀망이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할미밀망은 향후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천연 생물 유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RAMETRIC APPROXIMATION OF MONOTONE DECREASING SEQUENCE

  • Rhee, Hyang J.
    • 충청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7-83
    • /
    • 2004
  • The aim of this work is to generalize parametric approximation in order to apply them to an one-sided $L_1$-approximation. A natural question now arises : when is the parameter map $$P:f{\rightarrow}P_{K(f)}(f)$$ continuous on $C_1(X)$ ? We find some results with a monotone decreasing sequence about above question.

  • PDF

모과내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추출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olvent Extraction Process on the Active Functional Components from Chinese Quince)

  • 전주영;조인희;경현규;김현아;이창민;최용희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92-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모과내의 여러 가지 기능성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모과나무의 익은 열매로 만든 약재인 모과를 사용 하였다. 모과의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 추출 공정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모과를 에탄올에 추출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용매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시료에 대한 용매비($X_{1}$)와 추출온도($X_{2}$), 추출시간($X_{3}$)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수율($Y_{1}$), 총 페놀 함량($Y_{2}$), 전자공여능($Y_{3}$), 갈색도($Y_{4}$), 환원당($Y_{5}$)을 종속변수로 하여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수율은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안장점에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6.38 mL/g, 추출온도는 72.82$^{\circ}C$, 추출시간은 74.86 min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용매비와 시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추출시간에는 영향을 받았으며, 최대값은 20.70 mg/mL 로 나타났다.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2.61 mL/g, 추출온도는 84.49$^{\circ}C$, 추출시간은 77.25 min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온도에 따라 유의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장점에서의 추출조건인 시료에 대한 용매비 10.65 mL/g, 추출온도 67.78$^{\circ}C$, 추출시간 96.75 min에서 추출수율은 94.12%로 예측되었다. 갈색도에 대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3.77 mL/g, 추출온도 87.27$^{\circ}C$, 추출시간 96.68 min 일 때 안장점이 나타났다. 환원당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6.83 mL/g, 추출온도 82.167$^{\circ}C$, 추출시간 81.94 min에서 10.55 mg/mL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추출시간에 영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