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6

검색결과 30,093건 처리시간 0.06초

국내산 원유 중 비타민 A, E, $B_l$$B_2$ 함량에 관한 연구 (Composition of Vitamin A, E, $B_l$ and $B_2$ Contents in Korean Cow's Raw Milk in Korea)

  • 곽병만;김성한;김강섭;이기웅;안장혁;장치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5-25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3년 7월에서 2004년 6월까지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집유한 원유의 비타민 A, E, $B_l$$B_l$ 함량을 1년간 분석함으로써 우유에 함유된 비타민의 최근 동향 및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중 지용성 비타민 A와 E의 함량에는 계절적 변화가 있었으며, 비타민 A의 경우 봄($3월{\sim}5월$)은 $35.1{\sim}59.0{\mu}g/100mL$로 평균 $44.4{\mu}g/100mL$, 여름($6{\sim}8월$)은 $36.7{\sim}65.6{\mu}g/100 mL$로 평균 $50.0{\mu}g/100 mL$, 가을($9월{\sim}11월$)은 $28.7{\sim}61.2{\mu}g/100 mL$로 평균 $46.8{\mu}g/100 mL$이었으며, 겨울($12월{\sim}2월$)은 $29.9{\sim}57.8{\mu}g/100mL$로 평균 $43.1{\mu}g/100 mL$를 나타내어 우유 중 비타민 A함량은 여름철이 가장 높고, 겨울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E의 경우 봄($3월{\sim}5월$)은 $28.3{\sim}59.2 {\mu}g/100 mL$ 로 평균 $45.8 {\mu}g/100 mL$, 여름($6월{\sim}8월$)은 $39.6{\sim}69.9 {\mu}g/100mL$로 평균 $58.8{\mu}g/100 mL$, 가을($9월{\sim}11월$)은 $35.0{\sim}62.8{\mu}g/100 mL$로 평균 $46.2{\mu}g/100 mL$이었으며, 겨울($12월{\sim}2월$)은 $26.0{\sim}55.4{\mu}g/100 mL$로 평균 $41.5 {\mu}g/100 mL$이었다.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원유 중 비타민 E함량은 여름철이 가장 높고, 겨울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용성 비타민 $B_l$$B_2$의 경우는 계절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p<0.05), 비타민 $B_l$의 경우 봄($3월{\sim}5월$)은 $27.7{\sim}57.9{\mu}g/100 mL$로 평균 $42.84{\mu}g/100 mL$, 여름($6월{\sim}8월$)은 $32.4{\sim}66.1{\mu}g/100 mL$로 평균 $49.39{\mu}g/100 mL$, 가을($9월{\sim}11월$)은 $34.1{\sim}63.7{\mu}g/100 mL$로 평균 $46.69{\mu}g/100 mL$이었으며, 겨울($12월{\sim}2월$)은 $20.6{\sim}61.4{\mu}g/100 mL$로 평균$43.26{\mu}g/100 mL$로 측정되었다. 비타민 $B_2$의 경우는 봄($3월{\sim}5월$)은 $150{\sim}182{\mu}g/100 mL$ 로 평균 $166{\mu}g/100 mL$, 여름($6월{\sim}8월$)에는 $145{\sim}185 {\mu}g/100 mL$로 평균 $163 {\mu}g/100 mL$, 가을($9월{\sim}11월$)은 $149{\sim}180{\mu}g/100 mL$로 평균 $166{\mu}g/100 mL$이었으며 겨울($12월{\sim}2월$)은 $148{\sim}190{\mu}g/100 mL$로 평균 $167{\mu}g/100 mL$로 측정되었다.

서울지역 견의 렙토스피라 항체가 조사 (Survey on Canine Leptospiral Antibody Titer in Seoul)

  • 최준식;김성원;오영희;김성삼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
    • /
    • 1991
  • A serological survey for antibody of Leptospira spp. in canine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September, 1989 in Seoul. 182 serums collected from animal hospitals and keeping were collected and these were performed by using 12 different living antigens. In the microscopic agglutination test(MAT), being partial agglutination reaction at a serum dilution of 1:200 or over, we recorded it as positive.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pecies, sex and general conditions of canines, the areas and types of animal keeping.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ed ; 1. We detected the antibodies L. grippotyphosa 1 and L. icteroheamorrhagiae 1 in A area(total 48 heads ), L. canicola 1 and L. icterohaemorrhagiae 4 in B area(total 52 heads), L. hardjo 1 and L. icterohaemorrhagiae 2 in C area (total 32 heads), L. icterohaemorrhagiae 1 in D area(total 23 heads) L. grippotyposa 1 and L. icterohaemorrhagiae 2 in E area(total 27 heads) by MAT. There were positives for L. canicola 1, L. grippotyposa 2, L. hardjo 1 and L. icterohaemorrhagiae 10 in 5 areas by MAT. 2. The deteclive rate of leptospiral antibody in Jindo canine was 17.6% (3) among 17, Mixed 4.4% (4) among 90 and Exotic 9.3% (7) among 75 heads. 3. The Male(91 heads) was positive for 8.7%(8) and the female(91 heads) was positive for 6.5%(6). 4. In the vaccination, positive rate was 10.3% (7) among 55 heads, and in the unvaccination, positive rate was 5.5%(7) among 127 heads.

  • PDF

Syntheses and Reactivites with Olefins of Ruthenium(IV) Oxo/Ruthenium(II)-Aqua Complexes that Contain 2,6-Bis(N-pyrazolylpyridine)

  • Jo, Du-Hwan;Yeo, Hwan-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6호
    • /
    • pp.682-686
    • /
    • 1993
  • The syntheses and reactivities with olefins of $[Ru^{II}(L_3)(L_2)OH_2]^{2+}$ $[L_3$= 2,6-bis(N-pyrazolyl)pyridine(bpp), 2,6-bis(3,5-dimethyl-N-pyrazolyl)pyridine $(Me_4bpp);\;L_2$= 2,2'-bipyridine(bpy), 4,4'-dimethyl-2,2'-bipyridine $(Me_2bpy)$] are described. Their spectral and redox properties in aqueous solution were investigated. Evidence for each one electron redox process for the $Ru^{IV}-Ru^{III}$ and $Ru^{III}-Ru^{II}$ couples has been obtained. Oxidation of $[Ru^{II}(bpp)(bpy)OH_2]^{2+}$ with $Ce^{IV}$ gave $[Ru^{IV}(bpp)(bpy)O]^{2+}$. The $[Ru^{IV}$= 0 complex is paramagnetic $({\mu}_{eff}=2.82)$ and the complexes $[Ru(L_3)(L_2)OH_2]^{2+}$ are robust catalysts for the oxidation of styrene, cyclohexene, and cyclooctene with cooxidant such as NaOCl. Product distributions and selectivities are discussed by varying the number of the substituted-methyl group in the ring.

수산물 가공폐수의 호기성 생분해도에 미치는 염분농도의 영향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he Aerobic Biodegradability of Sea Food Wastewater)

  • 최용범;권재혁;임재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63
    • /
    • 2010
  • 본 논문은 염분농도가 호기성 생분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수산물 가중 폐수 처리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l^-$농도(1,400~18,000 mg/L)에 따른 유기물 제거효율 검토결과, $Cl^-$ 6,000 mg/L 이하에서 미생물들은 염분에 적응하였으나 $Cl^-$ 12,000 mg/L 이상에서는 반응시간이 길어져도 처리효율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물학적 분해불가능한 용존성 유기물 함유계수 $Y_I$와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한 inert 물질 생성계수 Yp는 염분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Cl^-$ 농도(0~18,000 mg/L)에 따른 용존성 유기물 비율은 10.8~13.1%로,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한 inert 물질 생성비율은 7.0~24.6%로 조사되었다. $NH_3$-N 제거효율은, 원폐수는 HRT 18 hr에서 96.2%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나, $Cl^-$ 6,000 mg/L, HRT 22 hr에서 96.5%, $Cl^-$ 12,000 mg/L, HRT 30 hr에서 90.2%, $Cl^-$ 18,000 mg/L, HRT 45 hr에서 90.3%의 제거효율을 나타내, 질산화 과정이 유기물 제거 보다 염분농도에 더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폐수내 $Cl^-$ 6,000 mg/L 이상부터는 $NO_2$-N에서 $NO_3$-N로의 전환율도 낮게 조사되었다.

물 시료 중 Octylphenol, Nonylphenol, Di(2-ethylhexyl)phthalate의 연구 (Determination of Octylphenol, Nonylphenol, and Di(2-ethylhexyl)phthalate in water samples)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5권2호
    • /
    • pp.172-179
    • /
    • 2002
  • 빗물, 증류수, 정수기 물, 지하수, 수돗물, 시판생수에 포함된 주요 환경호르몬 물질로 알려진 nonylphenol(NP), octylphenol(OP), di(2-ethylhexyl)phthalate(DEHP)를 OASIS 카트리지로 추출한 후 GC/MS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Octylphenol 은 어느 물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nonylphenol 의 경우는 그 존재량이 빗물<정수기 물<증류수<지하수<수돗물<시판생수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시판생수의 경우 최고 $0.44{\mu}g/L$(ppb)가 포함되어 있었다. Di(2-ethylhexyl)phthalate는 모든 물 시료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빗물의 경우 $1.7{\sim}2.9{\mu}g/L$, 증류수는 $8.7{\sim}31.7{\mu}g/L$, 정수기 물은 $0.6{\sim}5.6{\mu}g/L$(평균: $2.5{\pm}0.3{\mu}g/L$)로 다른 값에 비하여 매우 안정한 값을 나타냈고, 전주근교 지하수는 $1.1{\sim}6.0{\mu}g/L$, 수돗물은 평균 $3.1{\sim}5.7{\mu}g/L$, 시판생수는 $0.5{\sim}67.6{\mu}g/L$ 이였으며 시중의 시판 생수 중 40% 이상이 USEPA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와 Pichia stipitis를 이용한 오탄당과 육탄당으로부터 에탄올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Ethanol Production with Pentose and/or Hexos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nd/or Pichia stipitis)

  • 김중곤;안정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5-340
    • /
    • 2011
  • 포도당과 자일로스는 자연계에서 가장 풍부한 물질이며 이들은 효모에 의해 에탄올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와 Pichia stipitis을 이용하여 분리배양, 공동배양 그리고 순차배양 등의 조합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발효의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분리배양에서 S. cerevisiae은 29.4 g/l의 포도당을 발효하여 14.5 g/l의 에탄올을 생산한 반면에 자일로스를 이용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P. stipitis은 포도당뿐만 아니라 자일로스도 분해하여 각각 포도당 29.4 g/l로부터 11.9 g/l의 에탄올을, 자일로스 29.0 g/l로부터 11.6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포도당과 자일로스 혼합배양에서, S. cerevisiae은 13.4 g/l의 에탄올을 생산한 반면에 P. stipitis은 21.1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공동배양과 순차배양에서, 공동배양이 18.6 g/l, 순차배양이 12.4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여 공동배양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효모의 생장에서 영양분의 효과를 보기 위해 yeast nitrogen base (YNB)을 S. cerevisiae가 포도당을 소모한 시점에 첨가하니 자일로스의 소비량과 미생물의 성장이 증가하였고 54.6 g/l의 당 혼합배양액에서 22.5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여 0.41 g/g의 수득율을 나타내었다.

지방과 근육 세포주의 단독 및 공동배양을 통한 세포형태학 및 세포물질 비교 연구 (Comparison between Single and Co-culture of Adipocyte and Muscle Cell Lines in Cell Morphology and Cytosolic Substances)

  • 최창원;조원모;연성흠;황보순;송만강;박성권;백경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03-109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 단독배양 위주로 이루어져온 세포배양 연구의 방법학적 한계의 극복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지방과 근육세포주의 단독 및 공동배양에서 배양기법에 따른 지방 및 근육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및 L6 (근육세포) 세포주는 성장배지인 10% FBS/DMEM (1% Pen-Strep solution 및 0.1% Fungizone 첨가) 하에서 48h 동안 단독배양 후 5% FBS/DMEM에서 배양하였다. 분화를 위한 단독 및 공동배양에서는 지방 및 근육세포 모두 분화유도물질 없이 2% FBS/DMEM으로 배양하였고, 공동배양에서는 $0.4{\mu}m$ insert membrane을 사용하여 6 well plate 하단에 L6 cell을, 상단에는 3T3-L1 cell을 공생시켰다. 지방 및 근육세포 분화정도 측정은 세포별 형태학적 측정과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및 creatine kinase (CK) 분석을 통해 조사되었다. 형태학적으로 볼때 3T3-L1 세포주는 공동배양보다 단독배양 시 분화가 더욱 잘 일어났고 L6 세포주의 경우 역으로 같았다. 세포물질 분석에서는 분화배지 처리일(day 0)과 비교해 단독 및 공동배양 모두 지방세포 내 GPDH의 활성도가 유의적으로(P<0.05)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단독배양이 공동배양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수준의 GPDH 활성도를 보였다. L6 역시 마찬가지로 분화배지 처리일에 비하여 단독 및 공동배양 모두 CK 활성도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CK 활성도가 공동배양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이용된 단독 배양을 통한 세포 분화 결과 등은 생체와 비교 시 방법학적 한계로 인해 실제 생체 내에서는 그 분화정도가 매우 다를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은 앞으로 정확한 세포배양 결과 확보를 위해서는 단독배양보다는 공동배양기법을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향후 다양한 조건과 분화조절 물질들의 첨가를 통한 추가적인 공동배양실험이나 지방분화관련 분자생물학적 물질분석 등 다양한 실험 수행 시 보다 현실적이고 대량의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강 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III.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에 미치는 물리 화학적 요인 (Environmental Studie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VIII. Physicochemical Factors Contributing to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 권오윤;정승원;이진환
    • 생태와환경
    • /
    • 제39권3호통권117호
    • /
    • pp.340-351
    • /
    • 2006
  • 2004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1년 동안 매 격주간 한강하류역의 6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군집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수온은 $0.3{\sim}26.6^{\circ}C$, pH: 6.6${\sim}$9.1, DO: 1.89${\sim}$22.23 mg $L^{-1}$, BOD: 0.38${\sim}$9.20 mg $L^{-1}$, COD: 1.4${\sim}$15.2 mg $L^{-1}$, Conductivity: $62.5{\sim}500.0\;{\mu}s\;cm^{-1}$, SS: 3.00${\sim}$159.3 mg $L^{-1}$, chlorophyll a $1.7{\sim}71.3\;{\mu}g\;L^{-1}$ 범위로 변화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최저 $3.6{\times}10^2\;cells\;mL^{-1}$ (2004년 7월, 정점 3)에서 최고 $2.3{\times}10^4\;cells\;mL^{-1}$ (2005년 2월, 정점 6)까지 변화하였으며, 계절별 평균 현존량은 봄철에 $5.9{\times}10^3\;cells\;mL^{-1}$, 여름철 $2.1{\times}10^3\;cells\;mL^{-1}$, 가을철 $4.1{\times}10^3\;cells\;mL^{-1}$, 겨울철에 $8.5{\times}10^3\;cells\;mL^{-1}$로 겨울철에 가장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종속변수인 현존량과 독립변수인 환경인과의 단계적 중회귀 분석을 한 결과 $R^2$=0.465였으며, 그 중 중요한 요인은 수온, COD, $NO_2-N$, $PO_4-N$, 유량, pH로 나타났다. 6개 정점을 환경요인을 매개변수로 유사도 분석을 한 결과 크게 3개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물리 ${\cdot}$ 화학적 환경요인과 생물학적 요인을 대상으로 ANOVA 분석에서는 수온, chlorophyll a, 규산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정점간 차이가 없이 하나의 group이었으며,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COD, 아질산염, 질산염, 암모니아염, 인산염이 정점 1, 2에서 같은 group으로,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pH, 인산염이 정점 3, 4, 5에서 같은 group으로 묶였다.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Aceriphyllum rossii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 Han Jae-Taek;Bang Myun-Ho;Chun Ock-Kyoung;Kim Dae-Ok;Lee Chang-Yong;Baek Nam-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390-395
    • /
    • 2004
  • The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the aerial parts of Aceriphyllum rossii (Saxifragaceae) was fractionated into ethyl acetate (EtOAc), n-BuOH and $H_2O$ layers through solvent fractionation. Repeate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f EtOAc and n-BuOH layers afforded six flavonol glycosides. They were identified as kaempferol 3-O-$\beta$-D-glucopyranoside (astragalin, 1),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ide (isoquercitrin, 2), kaempferol 3-O-$\alpha$-L-rhamnopyranosyl $(1{\to}6)-\beta$-D-glucopyranoside (3), quercetin 3-O$\alpha$-L-rharnnopyranosyl $(1{\to}6)-\beta$-D-qlucopyrano-side (rutin, 4), kaempferol 3-O-[$\alpha$-L-rharnnopyranosyl $(1{\to}4)-\alpha$-L-rhamnopyranosyl $(1{\to}6)-\beta$-D-glucopyranoside] (5) and quercetin 3-O-[$\alpha$-L-rhamnopyranosyl $(1{\to}4)\alpha$-L-rhamnopyranosyl $(1{\to}6)\beta$-D-glucopyranoside] (6) on the basis of several spectral data.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ix compounds was investigated using two free radicals such as the ABTS free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Compound 1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n the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method. 100 mg/L of compound 1 was equivalent to $72.1\pm1.4\;mg/L$ of vitamin C, and those of compounds 3 and 5 were equivalent to $62.7\pm0.5\;mg/L$ and $54.3\pm1.3\;mg/L$ of vitamin C, respectively. And in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method, compound 5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17.6{\pm}0.3{\mu}M$. In addition, some physical and spectral data of the flavonoids were confirmed.

확률분포모형을 이용한 하루살이속(Ephemera) 4종에 대한 화학적 수질 적합도지수 평가 (Estimation on Chemical Water Quality Suitability Index for 4 Species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Ephemeroptera: Ephemeridae)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 정봉준;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75-490
    • /
    • 2023
  • Chemical water quality suitability for species (Ephemera strigata, Ephemera separigata, and Ephemera orientalis-sachalinensis group)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Order Ephemeroptera) was analyzed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Exponential, Normal, Lognormal, Logistic, Weibull, Gamma, Beta, Gumbel). Data was collected from 23,957 sampling units of 6,664 sites in Korea from 2010 to 2021. E. orientalis-sachalinensis occurred at the range of BOD5 0.3~11.1 mg/L (the best-fit Lognormal model); T-P 0.007~0.769 mg/L (the Gumbel model); TSS 0.4~142.2 mg/L (the Lognormal model). E. strigata occurred at the range of BOD5 0.4~7.4 mg/L (the Gumbel model); T-P 0.007~0.254 mg/L (the Lognormal model); TSS 0.4~17.1 mg/L (the Lognormal model). E. separigata occurred at the range of BOD5 0.4~2.6 mg/L (the R-Weibull model); T-P 0.007~0.134 mg/L (the Lognormal model); TSS 0.7~10.0 mg/L (the Lognormal model). Habitat suitability range of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0.4~1.9 mg/L (BOD5), 0.024~0.086 mg/L (T-P), 2.5~22.4 mg/L (TSS); that of E. strigata was 0.4~0.7 mg/L (BOD5), 0.007~0.018 mg/L (T-P), 0.0~1.7 mg/L (TSS); that of E. separigata was 0.0~0.4 mg/L (BOD5), 0.000~0.015 mg/L (T-P), 0.5~3.1 mg/L (TSS). In a relative comparision,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eurysaprobic, and narrowly adapted in high levels of T-P and TSS, E. strigata was estimated to be oligosaprobic and adapted in low levels of T-P and TSS, and E. separigata was estimated to be stenooligosaprobic and widely adapted in low level of T-P and T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