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지수

검색결과 1,450건 처리시간 0.036초

재표집방법에 의한 공정관리지수의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for Capability Process Indices by the Resampling Method)

  • 남경현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권1호
    • /
    • pp.55-63
    • /
    • 2001
  • In this paper, we utilize the asymptotic variance of $C_{pk}$ to propose a two-sided confidence interval based on percentile-t bootstrap method. This confidence interval is compared with the ones based on the standard and percentile bootstrap method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ercentile-t bootstrap method is preferred to other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confidence interval.l.

  • PDF

단백질 전기영동 분석에 의한 Leucophenga 속 (Drosophilidae) 초파리의 종간 유연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Leucophenga(Drosophiliae) by Electrophoretic Analysis of Protein)

  • 이택준;오준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65-72
    • /
    • 1991
  • LeucoPhenga속에 속하는 초파리 L. maculata. L. concilia. L. orientalis 및 L. quinqµemaculiPennis를 대상으로 수용성 단백질을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여 이 들 종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SDS-PAGE로 분석한 4종간의 전기영동상을 densitometer로 scanning한 결 과 band 양상이 L. maculata와 L. concilia가 유사했고, L.quinquemaculiPennis 는 이들 3종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TDE에 의한 4종간의 유전적 거리는 L. maculata와 L.concilia;가 0.393으로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으며, L. maculata와 L.quinquemaculipennis가 0.496로 유연관계가 가장 멀었다. TDE의 유전적 거리의 지수를 근거로 UPGMA법 으로 분석한 결과 L. maculata와 L. concilia가 1차적으로 cluster 되었고 여기에 L. orientalis. L. quinquemaculiPennis순으로 cluster 되었다. 이 결과는 L.quinquemaculipennis가 다른 3종과는 유연관계가 멀고 나머지 3종 가운데서는 L. maculata와 L. concilia간의 유연관계가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성인 여성의 비만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기준 - (Effects of Obesity on Pulmonary Function in Adult Women)

  • 정승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3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C) for pulmonary function in normal-weight and obese women. Methods: Data from women aged ${\geq}40$ years were obtained from the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besity was measured by BMI and WC and pulmonary function was measured by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 and a ratio betwee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FVC).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assessment of the association between FVC, $FEV_1$, $FEV_1$/FVC and obesity variables. Results: BMI showed positive association with FVC, $FEV_1$, $FEV_1$/FVC, and WC showed positive association with $FEV_1$ and $FEV_1$/FVC in normal-weight women. BMI and WC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FVC, $FEV_1$ in obese women. A 1 unit increase in BMI showed an association with a 25-mL reduction in FVC and a 19-mL reduction in $FEV_1$. A 1-cm increase in WC showed an association with a 6-mL reduction in FVC and a 4-mL reduction in $FEV_1$. Conclusions: BMI and WC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pulmonary function in obese adult women. Therefore, obese women with reduced pulmonary function should be encouraged to lose weight for improvement of their pulmonary function.

RAPD를 이용한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수집종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 among Collected Landraces of Agrimonsa pilosa L. Using RAPD)

  • 이용호;최주호;정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0-259
    • /
    • 2002
  • 우리 나라 자생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수집종의 분포, 자생지의 환경 및 자생지에서의 형태적 특성조사를 실시하고, 자생종 짚신나물와 도입 짚신나물 간의 형태적 특성 및 유연관계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종 중에서 하동지역의 화개면 쌍계사와 청암면 청학동에서 수집된 2종은 다른 수집종에 비하여 유전적 거리지수가 가장 가까운 수치에서 나타나 근연관계로 나타났으며, 충북 영동읍 비탄재와 경기도 강화읍 수집종간에는 유전적 거리지수는 최대값이 같은 것으로 보아 유연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경남거제에서 수집(No. 7)된 것과 충북 보은에서 수집(No. 21)된 2종이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게 나타나 지역적 차이에 의한 진화에도 다양함을 보이고 있어 수집지역의 확대와 이에 따른 체계적인 선발을 통해서 우량종의 선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증폭된 DNA band pattern에 있어서 절편크기는 300∼21000p로 PCR로 증폭된 종 상호간의 1-F값은 평균 0.624였고, 최소값 0.365, 최대값 0.827이었으며, 2개 군으로 분리되어 유전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숙 무화과 추출물을 이용한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ay dried powder from unripe fig extract)

  • 채호용;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5-3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품과로서 가치가 없어 전량 폐기되고 있는 미숙 무화과를 이용하여 산업적 이용 증대 및 식품 가공용 연육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미숙 무화과에 부형제인 maltodextrin을 5%, 10% 및 20%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분말화 하였다. 분무건조 분말의 수분함량은 2.59~2.65%였으며 부형제인 maltodextrin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색도는 L값이 늘고 a와 b값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입자크기는 동결건조 분말($209.67{\mu}m$)에 비하여 $22.18{\sim}37.33{\mu}m$로 유의적으로 작고 균일한 크기였다. 수분흡수지수는 maltodextrin 10% 첨가군이 0.11로 가장 낮았으며 수분용해지수는 99.10%로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는 분무건조 분말이 동결건조 분말에 비해 수분흡수지수는 낮고 수분용해지수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산업적으로 이용시 분무건조 분말이 동결건조 분말보다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숙 무화과 분말의 protease 활성은 동결건조 분말(0.92 unit/g)이 분무건조 분말(0.48~0.84 unit/g)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in vitro 인체 내 소화 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은 분무건조 분말에서만 효소 활성이 나타나 낮은 pH에서도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 미숙 무화과 분말 제조시 동결건조보다는 maltodextrin을 10% 혼합하여 제조된 분무건조 분말에서 protease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향후식품가공용 연육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1일간 methomyl에 노출한 미꾸리의 생물지표 및 내분비계 영향 (Effects on Biomarkers and Endocrine in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under 21 day Exposure to Methomyl)

  • 한선영;김자현;권가영;염동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9-77
    • /
    • 2012
  • 내분비계교란물질이 수서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꾸리를 저농도의 methomyl에 21일 동안 노출시켜 생물지표 및 내분비계 영향을 평가하였다. 내분비계교란물질에 대한 노출을 입증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생물지표인 vitellogenin(VTG)은 21일 동안 0.4 mg/L와 2 mg/L methomyl에 노출된 수컷과 0.08 mg/L, 0.4 mg/L, 2 mg/L의 methomyl에 노출된 암컷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p<0.05), methomyl의 수생태계 생물에 대한 내분비계교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AChE) 시험 및 comet assay에서는 methomyl에 노출시킨 미꾸리로부터 AChE 활성 저해와 DNA 손상을 확인한 반면, 7-ethoxyresorufin-O-deethylase(EROD) 활성에 대한 대조군과 처리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개체수준의 생물지표인 condition factor(CF), 간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생식소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는 methomyl 노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methomyl의 수서생물에 대한 내분비계교란 가능성 및 생화학적 생물지표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축분뇨발효액비와 미생물제제 종류별 시용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토양중 대취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ed Liquid Manure and Microbial Agent Types on Growth and Thatch Decomposing of Creeping Bentgrass)

  • 임지연;함선규;이영민;차영기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4호
    • /
    • pp.54-61
    • /
    • 2014
  • 본 연구는 Bacillus sp.와 Actinomyces sp.을 포함하는 미생물배양액, 일본산입상미생물 및 미국산입상미생물 등의 기능성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비료의 시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잔디생육과 토양 대취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에 따라 대조구(CF), 미생물배양액(M), 미생물배양액과 가축분뇨발효액비(M-L), 미생물배양액과 가축분뇨발효액비 및 아미노산액비(M-L-A), 일본산 입상미생물(JGM), 미국산 입상미생물(USGM)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pH는 시험 후에 전보다 모든 처리구에서 약간 증가하였고, 시험 종료 후 처리구간의 토양화학성은 비슷하여 공시비료의 시비는 토양환경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잔디생육 조사결과,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는 관행구와 비교할 때, 처리구에서 높았고, 관행구과 처리구들사이에는 조사시기별 변화경향은 비슷하나 M-L-A와 M-L처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잔디뿌리는 M-L에서 더 길었다. 대취함량 조사결과, 관행구와 비교할 때,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관행구와 처리구들사이에는 M처리구가 관행구보다 대취분해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 Bacillus sp.와 Actinomyces sp.을 함유하는 배양미생물 처리는 다른 미생물제제에 비하여 크리핑벤트그래스의 뿌리생육과 토양 내 대취분해를 촉진하여 잔디품질을 향상시키는 잔디성장촉진 기능이 있는 비료임을 알 수 있었다.

제주 바다목장 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Jeju Marine Ranching Area (JMRA))

  • 윤양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761-7772
    • /
    • 2015
  • 제주 바다목장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8개 정점의 표층과 10m 수심에서 2008년 4월부터 11월까지 4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63속 106종으로 다양하였다. 분류군별은 규조류가 61.3%, 와편모조류가 34.9%를 차지하였고, 시간적으로는 가을에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여름 $0.6cells{\cdot}mL^{-1}$에서 봄 $64.0cells{\cdot}mL^{-1}$의 범위로 매우 낮았다. 평균 세포밀도에 의한 연변동은 연평균 최저 11월 $0.9cells{\cdot}mL^{-1}$에서 최고 4월 $37.0cells{\cdot}mL^{-1}$로 변화하여 연평균 $11.7cells{\cdot}mL^{-1}$의 낮은 세포밀도를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4월에 Skeletonema costatum-like species(ls)에 의해 극우점되었다. 6월은 Torodinium teredo, Cylindrotheca closterium, Scrippsiella trochoidea, 9월은 S. costatum-ls, Thalassionema nitzschioides, Pseudo-nitzschia pungens, Ebria tripartita 그리고 11월은 Corethron pennatum, Dictyocha fibura, Neoceratium teres가 우점 출현하여, 기존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태지수 중에 종 다양성 지수는 4월과 9월에 낮고 6월과 11월에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으로 본 제주 바다목장 해역의 생물해양학적 특성은 연간 크기가 작은 나노플랑크톤에 의한 점유률이 높았고, 특정 종에 의해 극우점되는 외부 영양염류 유입보다는 생태내의 물질순환에 따른 재생산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세균열의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II) (Evaluation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of Microcrack Spacings (II))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1-163
    • /
    • 2016
  • 거창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서 발달하는 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3개 면, 3개 결에 대한 평가는 (1) 미세균열의 간격의 빈도수(N), (2) 총 간격(${\leq}1mm$), (3) 평균 간격($S_{mean}$), (4) 평균 간격과 중앙 간격($S_{median}$) 사이의 차이값($S_{mean}-S_{median}$), (5) 간격의 밀도(${\rho}$), (6) 도표의 전체구간에 대한 두 지수 사이의 차이값(${\lambda}_H-{\lambda}_L$), (7) 지수의 평균값(${\lambda}_M$), (8) 지수의 상수의 평균값($a_M$), (9) 최초 교차점 이하의 구간에 대한 두 지수 사이의 차이값(${\lambda}t_H-{\lambda}t_L$), (10) 지수의 평균값(${\lambda}t_M$) 및 (11) 지수의 상수의 평균값($at_M$)과 같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3개 결 그리고 3개 면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사이의 상관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파라미터(1, 2, 7 및 8) 및 (II) 파라미터(3, 4 및 5)의 값은 (I) H(3번 결, (H1 + H2)/2) < G(2번 결, (G1 + G2)/2) < R(1번 결, (R1 + R2)/2) 및 (II) R < G < H의 순서이다. 반면에 3개 면에 대한 상기 두 그룹(I~II)의 파라미터의 값은 역순을 보여준다. 그 외에도, 3개 면에 대한 파라미터 $6({\lambda}_H-{\lambda}_L)$, 파라미터 $9({\lambda}t_H-{\lambda}t_L)$, 파라미터 $10({\lambda}t_M)$ 및 파라미터 $11(at_M)$의 값은 각각 R(1번 면, (G1 + H2)/2) < H(3번 면, (R2 + G2)/2) < G(2번 면, (R1 + H2)/2), H < G < R, H < R < G 및 R < H < G의 순이다. 3개 결에 대한 상기 네 파라미터의 값은 R < H < G, R < H < G, H < G < R 및 H < G < R의 다양한 순을 각각 보여준다. 한편, 두 방향의 도표 사이의 최초 접촉점 및 교차점에 해당되는 간격값을 도출하였다. 3개 결에 대한 상기 간격값은 1번 결(R1 및 R2) < 2번 결(G1 및 G2) < 3번 결(H1 및 H2)의 순이다. 3개 면에 대한 간격값은 1번 면(G1 및 H1) < 3번 면(R2 및 G2) < 2번 면(R1 및 H2)의 순이다. 특히 3개 결과 3개 면에 대한 교차각은 1번 결 및 1번 면 < 3번 결 및 3번 면 < 2번 결 및 2번 면의 순이다. 따라서, 1번 결(R1 및 R2) 및 1번 면(G1 및 H1)의 두 도표는 보다 높은 접촉점 또는 교차점의 빈도수를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 특성은 3개 면 및 3개 결의 종합도를 통하여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포 형태와 함께 파라미터의 값을 통한 상관성 분석은 3개 채석면의 판별에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