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값

검색결과 1,150건 처리시간 0.026초

가루녹차를 첨가한 식혜 제조 (Application of Green Tea Powder for Sikhe Preparation)

  • 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7-233
    • /
    • 2006
  • 가루녹차 첨가 비율 0%, 1%, 2%, 3%)을 달리하여 식혜를 제조하여 식혜의 이화학적 성질, 관능평가 및 저장성 등을 실험하였다. 가루녹차 식혜의 당도는 $18.40{\sim}18.50%$로 가루녹차 무첨가 식혜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pH는 $5.81{\sim}5.85$로서 무첨가구의 pH 보다 낮았다. 색도는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나 b값은 크게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가루녹차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색깔과 향미는 강하게 평가되었으나 단맛은 가장 약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루녹차 2% 첨가한 식혜가 맛, 밥알의 조직감,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식혜의 pH는 저장 19일째에도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가루녹차 무첨가 식혜의 pH는 급격히 하락하였다. 저장 기간 중 색도는 가루녹차 첨가 식혜와 무첨가 식혜 모두에 있어서 L값, b값, a값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루녹차를 첨가하여 식혜를 제조할 때, 2% 첨가가 종합적인 관능면에서 적절하였고,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쌀가루의 제분방법이 증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Milling Methods of Rice Flou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 김영인;금준석;김기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3-219
    • /
    • 1995
  • 습식 및 건식으로 제분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4종류의 쌀가루로 증편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증편의 수분함량은 쌀가루 자체의 수분함량과 비슷한 경향으로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높았고 가수량 100%인 경우가 80%인 경우보다 높았다. 2. 증편의 색도는 제품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L값은 증가하고 a값과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는 L값은 다소 감소하고 b값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증편의 기계적 texture측정결과 hardness는 대체로 건식제품이 습식제품보다 높게 나타났고 springiness는 습식제품의 경우는 가수량 80%에서, 건식제품의 경우는 가수량 100%조건에서 더 높았으며 전반적으로는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높게 나타났다. cohesiveness는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높았고 chewiness도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높았다. 4. 증편의 관능검사 결과 whiteness는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높았고 가수량이 100%인 경우가 80%인 경우보다 높았으며 moistness는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촉촉하게 평가되었고 가수량이 100%인 경우에 80%인 경우보다 촉촉한 정도가 좋았다. softness는 건식제품이나 습식제품 중 입자가 작은 D-J와 W-P제품이 더 부드러웠고 springiness는 기계측정의 springiness와 비슷한 경향으로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탄력성이 좋게 평가되었다. chewiness도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높게 나타났고 기계측정의 chewiness와 같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overallquality는 습식제품이 건식제품보다 더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암버력이 혼재된 토사의 토량환산계수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nge of Bulking Coefficient of Soils Mixed with Rock Blades)

  • 박영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C호
    • /
    • pp.193-198
    • /
    • 2012
  • 본 연구는 밀양과 울산지역에 건설 중인 2개소의 도로현장을 택하여 현장시험을 통한 암석과 토사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토량환산계수의 측정 및 단위중량의 변화 등을 검토한 것이다. 시험결과, 암석과 토사가 동등한 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최대 단위중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암석만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2개소의 현장에서 각각 19%와 18%의 단위중량이 증가되었다. L값은 표준품셈에서 제시된 값보다 4~11% 크게 나타났으나, C값은 약 13~20% 낮게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최근 다짐장비의 대형화 및 다짐작업의 합리화에 기인되는 현상이므로 토공작업에서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운반 시 암석과 토사가 5:5로 혼합되었을 때 가장 높은 단위중량을 나타내어 유리한 조건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신장 발 지압 자극에 따른 얼굴 색상 분석 (The Face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Kidney Foot Acupressure Stimulation)

  • 김봉현;조동욱;한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3-138
    • /
    • 2012
  • 사람의 신체 중 손, 발, 얼굴 부위는 오장과 연계되어 있다. 특히 발은 '제2의 심장'이라고까지 불러지고 있다. 이것은 발의 건강이 인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고 혈액순환에도 중요하다는 의미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장과 연관된 발 지압점 자극에 따른 얼굴 색상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장에 이상이 없는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신장 발 지압 전과 후의 얼굴 영상을 수집하고 얼굴 영역 중 신장을 나타내는 지각 부위의 Lab 색체계에서 L값과 CMYK 색체계에서 K값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90%의 피실험자가 신장 발 지압 후에 L값이 증가하고 K값이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신장 발 지압 자극에 따른 지각 부위의 색상 변화를 통해 발지압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국산밀로 제조한 파운드케익의 품질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baked from Korean Wheat Flour)

  • 이경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9-423
    • /
    • 1996
  • 수입밀(Sample A) 한 종류와 3종류의 국산밀(Sample B, C, D)로 파운드케익을 제조하여 품질을 관능검사, 색, 부피 및 경도로 측정하여 국산밀의 파운드케익 가공적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 결과, 수입밀 파운드케익은 국산밀 제품보다 질감, 맛 등이 선호되어 종합적인 선호도가 더 높다. 이는 수입밀 제품이 국산밀 제품보다 더 부드럽고 촉촉하며 결이 곱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색도는 수입밀로 제조한 것이 L값은 81.09, a값은 -0.49, b값은 28.17로 나타났다. 국산 밀로 제조한 것은 이것보다 L값은 낮게, a값은 높게, b값은 여러 단계로 나타나, 대체로 수입밀 제품보다 명도가 낮고 붉은색을 띄는 누르스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피는 샘플 D가 833cc로 가장 컸고, B가 800cc, A가 755cc, C가 753cc로 D, B, A, C의 순으로 크게 나타나, 2종류의 국산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더 크게 팽화되었다. 4. 경도는 샘플 C가 22.60 dyne/$ extrm{cm}^2$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D가 16.50, A가 15.75, B가 13.83으로 나타났다.

  • PDF

발아현미의 품질특성

  • 금준석;최봉규;박종대;이현유;박현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71-171
    • /
    • 2003
  • 발아현미란 적당한 온도와 수분, 산소 등을 공급해 현미의 싹을 1~5 mm까지 발아시킨 것으로 현미의 영양과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식미는 현미보다 훨씬 부드러운 쌀이다. 발아현미 등 발아곡식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93년 독일의 한 식품연구소에서 곡식의 발아시 발아전에는 없던 새로운 영양성분이 생겨나거나 증가한다는 연구발표가 계기가 되었다. 현미에는 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한 각종효소,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몸에 좋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현미가 갖는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백미를 주식으로 하고 있는 이유는 현미의 조리가 어렵고 부드럽게 씹히지 않고 꺼칠하여 식미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미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풍부한 영양을 고루 섭취하고 간편한 취사와 부드러운 조직감으로 식미 기호도를 높인 발아현미가 등장하였다. 따라서, 찹쌀과 멥쌀 발아현미에 대한 영양성분과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발아현미밥 및 가공제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4$0^{\circ}C$에서 20시간 발아시킨 찹쌀 발아현미(수분함량 15.45%)와 멥쌀 발아현미(수분함량 15.02%)의 품질 특성중 amylose 함량은 각각 4.9%, 17.9%, 환원당은 4.91%, 2.28%, 유리당은 찹쌀 발아현미가 glucose 0.42%, sucrose 0.15%, maltose 0.27%이고 멥쌀 발아현미가 glucose 0.59%, sucrose 0.50%, maltose 0.24%였다. 찹쌀과 멥쌀 발아현미의 색차값은 각각 L값 60.30, a값 2.12, b값 23.52과 L값, 59.51, a값 3.15, b값 23.04이다. 호화도는 1.67%, 5.21%이고, 조직감중 hardness는 7.53 kgf, 8.93 kgf로 멥쌀 발아현미가 높았다. 찹쌀 발아현미의 아밀로그램 특성은 호화 초기온도가 42$^{\circ}C$였으며, breakdown값은 94, set back값은 -48이었으며, 멥쌀 발아현미의 특성은 호화 초기온도가 7$0^{\circ}C$였으며, breakdown값은 0, set back값은 123이었다. 비타민 E 함량은 찹쌀 211.79 $\mu\textrm{g}$/kg, 멥쌀 310.59 $\mu\textrm{g}$/kg이고, 총식이섬유 함량은 4.21%, 3.17%이다. 발아현미 원곡간의 향기패턴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발아현미 제조 후 찹쌀, 멥쌀 모두 이취 성분은 거의 없었다. 발아현미의 절단 내면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찹쌀 발아현미 cell이 멥쌀 발아현미보다 작았으며, 표면 구조도 찹쌀 발아현미가 더욱 조밀하였다.

  • PDF

발아현미밥의 품질특성 비교

  • 금준석;최봉규;박종대;이현유;박현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72.1-172
    • /
    • 2003
  • 현미가 몸에 좋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현미밥은 침지시간 및 취반시간이 길고 압력밥솥 등을 이용해서 뜸들이는 시간도 길어지는 등 우리의 식단을 현미식으로 바꾸기가 쉽지 않다. 또한 현미의 조직감과 식미는 소비자에게 높은 기호도를 얻지 못하여 현미 발아시 부드러워지는 조직감과 기능성 영양성분의 증가를 고려한 발아현미 무균포장밥이 출시되었다. 발아현미 무균밥은 발아현미가 약 50% 첨가된 제품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는 사회적 변화와 고품질 원료를 이용한 식미의향상 등으로 소비자 판매량이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현재 유통되고 있는 대표적 발아현미무균밥 제품 2종을 대상으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쌀소비 촉진을 위한 가공밥류 제품 및 다양한 쌀가공 제품들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시중에 유통중인 발아현미밥 A(수분함량 64.44%)와 B(수분함량 64.48%)의 색차값은 A가 L값 68.46, a값 -0.92, b값 9.49였으며, B는 L값 69.32, a값 -1.10, b값 9.77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조직감 측정 결과에서는 B가 씹힘성(chewiness), 검성(gumminess), 경도(hardness)가 A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A가 glucose 0.20%, sucrose 0.15%, maltose 0.18%였고, B는 glucose 0.14%, sucrose 0.32%, maltose 0.17%였다. 발아현미밥의 비타민 E함량은 A가 30.67 $\mu\textrm{g}$/100g, B가 46.89 $\mu\textrm{g}$/100g으로 B에 더 많이 존재하였다. 총식이섬유 함량은 A가 2.80%, B가 2.20%였다. 현미, 발아현미, 발아현미밥의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한 다량의 아미노산이 존재하였으며 혈압강하 기능성 성분인 GABA(${\gamma}$ -amino butyric acid) 함량은 현미가 4.7 mg/100 g, 발아현미 20.8 mg/100 g이었으며, 동결건조 후 분석한 발아현미밥의 GABA 함량은 5.7 mg/100 g이었다. 발아현미밥의 관능검사 결과는 색, 윤기, 맛, 부착성, 응집성, 탄력성이 A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외관의 경우도 A가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전반적으로 A가 B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더 나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 PDF

표고버섯을 첨가하여 제조한 강정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ngjeong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Lentinus edodes)

  • 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1-245
    • /
    • 2007
  • 영양학적, 생리학적 장점이 많은 표고버섯을 다양한 식품으로 이용하기 위한 적절한 가공방법을 모색하여 고부가가치를 갖는 식품으로 개발을 하고자 표고버섯을 첨가한 강정을 제조하여 첨가 수준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표고버섯 첨가 강정의 일반성분은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수분, 조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증가하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조지방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은 대조구가 59.10로 가장 높았으며, 표고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b값은 L값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의 경우 증가하였다. 또한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현저한 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정의 물성 측정 결과 gumminess, brittleness, cohesiveness, springiness는 대조구와 20%, 30% 시료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40% 첨가구부터 그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ardness의 경우 40% 첨가구까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는 색(color), 향미(flavor), 맛(taste), 바삭바삭한 정도(crispiness)와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등 모든 검사 항목에서 3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40% 이상 첨가시 기호도가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강정에 표고버섯을 일정 비율로 첨가하여 표고버섯 강정을 제조하고, 여러 특성을 조사한 결과 기존의 쌀강정에 비하여 표고버섯 첨가 강정이 더 우수한 제품이 될 수 있었고, 최적의 첨가량은 쌀 튀밥을 기준으로 30%로 나타났다.

새우의 품질에 미치는 가열 및 건조방법의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Shrimp)

  • 김현구;조길석;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86-294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새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건물 100g당 81.4mg이었으며, 동결 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그의 함량이 $5{\sim}28%$가 적었다. 새우의 신선도와 관계가 있는 volatile basic nitrogen과 trimethylamine의 함량은 열풍건조한 것이 동결건조한 것보다 이들의 함량이 높았고 세균수는 동결건조한 것이 열풍건조한 것보다 낮았다. 생새우를 가열하거나 건조하면 L값이 크게 상승하여 새우의 색깔이 밝아졌는데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그 폭이 더 컸고 색차는 L값과 반대현상을 나타냈다. 생새우의 무기질 중에는 칼슘 함량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칼륨, 나트륨이었으며, 이들 무기질 성분은 전체 무기질 성분의 96%를 차지하였으며 가열 및 건조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 PDF

열풍건조에 따른 선식용 곡류원료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특성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n Raw Cereal for Sunsik by Hot-air Drying Methods)

  • 김진희;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5-419
    • /
    • 2012
  • 선식용 원료로 사용되는 검정쌀, 검정콩, 차조를 원료로 사용하여 열풍건조에 따른 물리화학적 효과와 미생물학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수분함량은 8%정도로 건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단백질, 탄수함량, 지질, 회분의 성분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건조온도에 따라서는 유의차가 없는 범위에서 차이가 없었다. 색차의 경우 L값, a값, b값이 증가하였으나 흑미의 경우 b값이 변화가 없었으며, 차조는 L값이 차이가 없었다. 건조조건에 선식원료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건조 선식용 시료는 물성이 감소하였으며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물성치는 증가하였다. 건조조건에 따른 선식용 원료의 미생물 변화를 살펴본 결과 총균수는 2 log 내지 3 log 감소하였으며 B. cereus를 제외하고는 다른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