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umgang (Riv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1초

금강(대청댐 상류) 유역 주민의 장내 기생충 및 간흡충 감염 실태 (Intestinal parasite and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mong the inhabitants in the upper stream of Taechong Dam, Kumgang (River))

  • 김종환;나영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07-214
    • /
    • 1994
  • 대청댐 상류 금강유역, 옥천 금산, 무주지역 주민의 장내 기생충과 간흡충란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1월부터 10월까지 743명의 대변 검사를 셀로판후층도말법과 formalin-ether원 심침전법으로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충란 및 원충시스트 총양성률은 40.8%(연충 8종. 원충 5종)이었다 각 종별 양성률은 간흡충 30.8%. Metanonim종 14.5%, Fosiola종 0.7%, Toenia종 1.5%, 회충 0.4%, 요충 0.l%, 구충 0.1%, 편충 1.6%, 대장아메바 0.7%. 이질아메바, 왜소아메바, 람블편모충이 각각 0.3%와 요드아메바 0.1%이었다 지역별 총양성률은 충청북도 옥천이 51.1%로 가장 높았고 괴음이 충청남도 금산이 50.8%이었으며 전라 북도 무주는 3개 군지역 중에서 비교적 낮은 양성률(28.6%)을 보였다. 금강 중.상류 지역에서는 간흡충과 Metagonimus종이 아직도 높은 양성률을 보이고 있으며 Taenia종도 크게 감소되지 않았으나 토양 매개성 장내 기생연충과 원충은 대단히 많은 감소를 보였다.

  • PDF

제주도의 강우특성을 고려한 한천유역의 면적감소계수 산정연구 (Calculation of the Areal Reduction Factor of Hancheon River Basin based on Considering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in Jeju Island)

  • 강명수;양성기;김용석;강보성;양세창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89-1397
    • /
    • 2017
  •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fixed-type Areal Reduction Factor (ARF) of the Hancheon River basin in Jeju Island, and compared the calculated ARF and the ARF of the four major river basin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s a result, the maximum fluctuation ratios of ARF for the four major river basins calculated using area, frequency, and initial duration time were significant: 7.61% for the Hangang River basin; 12.69% for the Nakdonggang River basin; 8.09% for the Kumgang River basin; and 17.98% for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 of ARF for the Hancheon River basin based on 48 hours was 2.13%, and it was smaller than the one for the four major river basins: 8.92% for the Hangang River basin; 11.41% for the Nakdonggang River basin; 8.87% for the Kumgang River basin; and 17.17% for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had the highest difference.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관한 연구 (Standing Crop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in Kumgang River, Korea)

  • 이석구;부성민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47-353
    • /
    • 2000
  •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알기 위하여 현도, 마암, 장암, 나포에서 1998년 10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매월 1회 채수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현도에서 7월에 $39.5{\times}10^3cells ml^{-1}, 마암에서 7월에 112.1{\times}10^3cells ml^{-1}, 장암에서 7월에 125.5{\times}10^3cells ml^{-1}, 나포에서 8월에 288.6{\times}10^3cells ml^{-1}로 최대였으며, 현도와 마암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5.0{\times}10^3Cells ml^{-1}이하였고, 나포에서는 5.0{\times}10^3Cells ml^{-1}$ 이상이었으며, 장암은 그 중간이었다. 각 조사 정점의 현존량은 마암이 현도보다 3배 이상 높았고, 장암이 마암보다 1.3배, 나포는 장암보다 2.1배 높아서, 중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현존량 조사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장암의 현존량이 최대였고, 다른 계절에는 나포에서 가장 높았다. 현존량의 시공 분포 변화는 중심형의 소형 규조류 Cyclotella spp.와 Stephanodiscus spp. 및 사상 규조류 Aulacoseira spp.의 번무에 기인하였다.

  • PDF

탁수에 의한 금강모치(Kumgang fat minnow; Rhynchocypris kumgangensis) 개체군의 생태적 영향 (Ecological Effects of Kumgang fat minnow(Rhynchocypris kumgangensis) on Turbid Water)

  • 이재용;최재석;김재구;장영수;이광열;김범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4-191
    • /
    • 2008
  • 어류개체군에 대한 탁수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탁수하천(대기, 자운천)과 비탁수하천(봉산천, 계방천)에 분포하는 금강모치 개체군의 체장-체중 관계와 비만도지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탁수하천과 비탁수하천간의 금강모치 평균전장을 비교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강에서 체장-체중 관계에 따른 회귀계수 b값은 봉산천에서 3.21, 그리고 대기천에서 3.07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북한강에 위치한 탁수하천의 회귀계수 b값은 비탁수하천의 값보다 약간 높았다. 그 값은 계방천에서 3.20, 자운천에서 3.23으로 각각 나타났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금강모치 개체군 단계에서 만성 탁수의 영향이 적음을 보여준다.

금강유역의 언어와 문화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Kumkang Region)

  • 도수희
    • 인문언어
    • /
    • 제8집
    • /
    • pp.223-239
    • /
    • 2006
  • This paper centers around the etymological meanings of place names of the Kumkang region, restricting the discussion to a selected group of place names which make it possible to infer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light of the latitudinal or longitudinal isoglosses. The legends of Komnaru and Choryongdae, for instance, derive directly from place names. Dialectal distribution i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phonological features that are not very different between upper and lower reaches of the Kumkang river. The dialects get much more similar as they go further down to the lower region of the river. The original "Komanara(熊津)", also called "Northern Headland(北津)", underwent the sound change of Komannaru > Komkang > Kumkang(錦江), the last being alternatively abbreviated as Kum(錦). During the last half of the 14th century-around the close of the Koryo dynasty, that is-a literary work gave the beautified name "Nakhwa-am"(落花巖), meaning 'rock-bluff of falling flowers', to what was originally called Tasa-am(墮死岩), so-called because, in the year of 660 when the Paekje dynasty was being ravaged by the invading enemy, a number of court-ladies ended their lives by plunging into the river from there. It was 'a number of court-ladies'(諸後宮) who died; but by tradition of popular songs, the number has become "three thousand" - a case of hyperbole of course.

  • PDF

하천 및 호소 퇴적물 입도분석 방식의 비교와 입도에 따른 중금속물질의 분포경향 (Comparison of Particle Size Analysis and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River and Lake Sediments)

  • 오형석;신원식;김준하;황인성;허진;신현상;오정은;허인애;김영훈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15-23
    • /
    • 2010
  • 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의 하천 및 호소퇴적물을 대상으로 건식체질법, 습식체질법, 광산란법(PSA) 등의 입도분석법을 비교연구 하였다. 건식체질법의 경우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엉김현상에 의해 오차가 크게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호소시료의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습식체질법은 건식체질법에 비해 복잡하고 노동력이 보다 많이 필요하지만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며 PSA의 경우에도 습식체질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엉김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동결건조 및 과산화수소수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동결건조의 경우 엉김현상을 일부 개선할 수 있었으나 여전히 습식체질에 비하여 미세입자의 분율이 적게 나타났다. 입도별 중금속의 용출량 및 함유량이 조사되었으며 예상된 바와 같이 호소 및 하천시료 모두 미세입자에서 높은 농도의 중금속이 용출되었다. 퇴적물의 관리에 있어서 정확한 입도분석법의 사용과 미세입자에 대한 관리가 보다 중요하다.

한국(韓國) 근대기(近代期) 내륙지방(內陸地方) 도시주택(都市住宅)의 유형(類型)과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ypes and Changes of the Urban Houses in the Korean Inland during the Period 1910-1945)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3호
    • /
    • pp.53-66
    • /
    • 1998
  • In the meantime, the study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house had been produced so many achievements in korea, but modern house is yet to be solv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esent the basic research data in order to build up an objective study for urban house in the modern age(1910-1945), Following to a study on the foreigner's house in grid-type settlement of Open Ports, in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modern houses of urban areas in korean inland, and then clarify types and changes of them. In the first year($1995{\sim}96$), the modern houses of Central Inland Districts(arrounding river Kumgang)-Kunsan kanggyong Puyo Kongju Pugang Chongju were investigated by the layout of room, the construction and materials, the design and style, etc. In the second year($1996{\sim}97$), the modern houses of Open Market(開市場)-Seoul Taegu Kwangju Taejon Chonju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as above. The traditional house transformed by differentiation and addition of room(kan), the various types were respectively adopted for the korean reforming and western cultural house. In the layout of room, the types of plan were gradually concentrated from the single wings of korean traditional house.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later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entrance, corridor, and internal toilet/bathroom. But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andal) and a series of three rooms had been entirely maintained, composed of master bedroom/living room(daechung)/room. And the traditional town house with shop and storage, being built closely to each other and walled up both sides, it had taken gradually the extensive characteristics in itself. By the displacement of shop/dwelling/ storage. the various types were respectively adopted for the separated, multi-storied, and complex type. The type of them was gradually changed to the narrow and linear form. And so with the stockpile of fundamental datas about modern houses in korean urban areas, we expect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knowledge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house at present which are required to the understanding of transition as well as types.

  • PDF

퉁사리(Liobagrus obesus)의 초기 생활사 (Early Life History of the Liobagrus obesus(Pisces, Amblycipitidae))

  • 서원일;윤성민;김춘철;황선영;이성훈;이충렬;손영목;김익수;한경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1호
    • /
    • pp.41-45
    • /
    • 2006
  • 이 연구는 2004년 4월부터 7월까지 충청북도 영동군 금강 지류에서 퉁사리의 산란 습성을 관찰하였고, 반두와 족대로 수정란을 채집하여 전남대학교 자원생물실험실로 옮겨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부화는 수온 $19.5{\sim}24.9^{\circ}C$(평균 $22.8^{\circ}C$)에서 상실기로부터 225시간 15분에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7.30{\sim}7.90mm$(평균 7.66mm)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열려 있었으며, 꼬리 말단이 휘어져 있었다. 등지느러미 부분이 융기되었으며, 자어의 근절수는 14+28=42개였다. 부화 후 16일째, 전장 $13.00{\sim}14.05mm$(평균 13.48mm)에는 꼬리 지느러미 줄기가 $11{\sim}12$개, 마디는 5개, 가슴지느러미에 10개의 줄기, 3개의 마디가 형성되었고, 난황이 모두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에 달하였다. 부화 후 24일째, 전장 $15.31{\sim}17.20mm$(평균 16.31mm)에는 가슴지느러미에 거치가 $2{\sim}3$개가 형성되었고, 반문이 성어의 형태를 닮아 있었으며, 모든 지느러미 줄기 수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 단계에 접어들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