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um river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5초

금강에 서식하는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Pisces, Bagridae)의 초기 생활사 (Early Life History of Black Bullhead, Pseudobagrus koreanus(Pisces, Bagridae), from Kum River, Korea)

  • 강언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4-190
    • /
    • 1998
  • 한국 고유종인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의 인공종묘 생산과 자원 증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초기 생활사를 조사하였다. 눈동자개의 수정난은 점액 물질이 두텁고 단막 표면위에 방사상의 주름무늬가 있어 특징을 보였다. 난은 구형으로 직경이 $2.59{\pm}0.08$(2.45~2.70, n=10)mm 이었으며 유구는 없다. 수용 $21{\sim}23^{\circ}C$에서 수정 후 첫 번째 난할은 수정 2시간 후에 시작되었으며 이어지는 난할은 약 30분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난할 중 특징으로는 난황 표면이 굴곡하는 운동으로 상실기에서 낭배기 끝까지 관찰되었다. 부화는 수정 후 72시간에 시작하여 90시간에 완료되었으며 부화 자어는 전장 5.41~5.81mm, 항문앞 거리 2.76~2.94mm이었고 근절수는 15~16+33~34(48~50)이었다. 부화 1주 후의 자어는 수염과 부레가 완성되었고 제2등지느러미를 제외한 모든 지느러미가 형성되었으며, 크기는 전장 9.67~10.52mm, 항문앞거리 5.20~5.65mm 이었다. 부화 2주 후의 자어는 모든 지느러미와 반문이 완성되었고 점액이 분비되며, 크기는 체장 14.59~16.02mm, 두장 3.31~4.16mm, 항문앞거리 8.07~9.31mm 이었다.

  • PDF

현시선호와 진술선호 자료의 결합을 통한 조건부 가치측정법 소득조정계수의 추정 (An Empirical Test for CVM Calibration Factor through Combining Revealed and Stated Preferences Data)

  • 엄영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3호
    • /
    • pp.337-366
    • /
    • 2004
  • 비시장재 가치평가기법 중의 하나인 조건부 가치평가법(CVM)은 응답자들이 가상적 환경질 변화에 대한 지불의사를 표시할 때 현실적 예산제약조건에 기초하지 않기 때문에 과다평가피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여행비용법에 기초한 레크리에이션 수요함수와 조건부 가치평가법에 기초한 지불의사함수를 효용이론의 틀 안에서 결합 추정하는 과정에서 CVM 응답과 관련된 소득조정계수(income calibration factor)를 추정함으로써 CVM의 유효성과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수요함수와 지불의사함수의 결합추정모형은 최근 새만금 사업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만경강 유역의 수질개선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결함추정의 결과 중요 경제변수인 가격과 소득 그리고 수질변수들은 경제이론이 설명하는 바대로 수요함수와 지불의사 함수에 통계적으로 유효한 영향을 미쳤다. 소득조정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1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실제 레크리에이션 수요행동에 비추어 가상적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를 진술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예산과장의 측면에서 체계적인 편의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주의 깊게 설계된 CVM 연구가 비시장재인 환경질의 변화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불의사를 도출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 PDF

호소 및 하천에서 환경호르몬 Bisphenol-A의 분해거동에 관한 연구 (Degradation Behavior of Endocrine Disrupter Bisphenol-A in the Lake and Stream)

  • 강호;신경숙;김선기;진창숙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59-69
    • /
    • 2001
  • 본 연구는 자연수중의 미생물을 식종원으로 하는 TOC-HANDAI법과 OECD 생분해법을 활용하여 자연수 환경내에서 환경호르몬물질인 비스페놀 A와 노닐페놀의 생분해성을 비교평가하였다. TOC-HANDAI법에 의한 BPA분해는 73-78% 이었고 OECD법은 이보다 다소 높은 77-81%를 나타내었다. 두 방법을 통한 BPA의 분해양상은 대체로 2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즉 초기 1주일 이내에는 분해반응속도(k$_1$)가 0.24-0.34day$^{-1}$로 아주 빠르게 분해되었고, 그 후에는 아주 완만한 분해양상을 나타내었다(k$_2$는 0.02-0.05 $day^{-1}$). 이는 BPA가 자연수계에서 TOC로 약 20-25%가 중간생성물로 잔존하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이 중간대사물이 완만한 분해과정에 기여하고 있다. 수계 환경에 따라 분해율이 현저하게 차이를 보이지만 노닐페놀은 20-48% 정도 밖에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 환경호르몬 물질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금강수계내 조사대상 하천과 대청호수의 조사지점에서 BPA는 모두 불검출되었다. 그러나 공단폐수 종말처리장 유입수에서 평균 25 ppb가 검출되었다.

  • PDF

Comparison of Reservoir Sediment in Kum River Basin

  • Hwang, Jong Yeon;Han, Eui Jung;Kim, Tae Seung;Kim, Tae Keun;Yu, Soon Ju;Kim, Shin Jo;Yoon, Young Sam;Chung, Yong Soon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107-120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general feature of reservoir sediment in Daecheong, Sapkyo and Kumkang reservoir. For investigations, sediments were sampled at four sites in Dae-Cheong and two sites in SapKyo and Kumkang in June and October. The items for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water content, loss on ignition(IG), porosity of sediment, contents of element such as hydrogen, nitrogen, carbon, phosphorus contents and nutrient release rates. Loss on ignition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organic substance. And its ranges were determined 2.4~16.2% in Daecheong reservoir, 5.6~27.9% in Sapkyo and 4.8~18.7% in Kumkang reservoir. And, total phosphorus contents in sediments were measured $677{\sim}5,238{\mu}g/g$ in Daecheong, $780{\sim}1,417{\mu}g/g$ in Sapkyo and $604{\sim}1,452{\mu}g/g$ in Kumkang reservoir. And release rates of nutrients were calculated $0.05{\sim}8.63mgP/m^2day$ and $4.99{\sim}36.56mgN/m^2day$ in Daecheong, $1.83{\times}10^{-3}{\sim}3.23{\times}10^{-2}mgP/m^2day$ and $1.97{\sim}.22mgN/m^2day$ in Sapkyo, $8.31{\times}10^{-3}{\sim}6.51{\times}10^{-2}mgP/m^2day$ and $0.89{\sim}4.42mgN/m^2day$ in Kumkang reservoir, respectively. And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humus level of sediments. As a result of elemental analysis, C/N ratio was determined 3.0~13.1 in Daecheong reservoir, 6.5~13.0 in Sapkyo and 3.6~12.6 in Kumkang reservoir, respectively. From the elemental analysis, humus levels of reservoirs were changed from mesohumic to oligohumic state in all reservoirs.

  • PDF

토양중 Paraquat의 효과적인 추출방법 (Extraction Method for Paraquat from Soil)

  • 권진욱;김용석;최종우;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9-244
    • /
    • 1997
  • 토양중 tightly bound paraquat의 효과적인 추출방법을 모색코자 HCl 및 $H_2O_2$첨가 그리고, keldahl 분해장치를 이용하여 회수율 및 여과시간의 단축을 조사하였으며, ammonium chloride와 calcium chloride의 농도와 진탕 시간을 달리하여 loosely bound paraquat의 유출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50g에 70ml의 conc. HCl을 첨가하여 시간별로 진탕하고 여기에 진한 황산을 가하여 1시간동안 환류 추출한 결과, 60분간 진탕할때 기존의 추출방법에 비해 A토양은 1.15배 높은 96.7%의 회수율과 4.64배 단축된 14분의 여과 시간을, B토양은 1.09배 높은 84.0%의 회수율과 4.91배 단축된 11분의 여과시간을 나타냈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회수율의 증가는 물론 여과시간의 단축, pH조정과정에서 과다한 NaOH사용을 통한 총용량의 증가 방지, 그리고 전체적인 실험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었다. 2. HCl의 첨가에 의한 진탕과정 없이 $H_2O_2$만을 첨가하는 경우, $H_2O_2$ 30ml첨가하여 30분간의 환류 재추출하는 것이 적정 수준이었는데, 회수율은 증대하였으나 여과시간의 단축은 거의 없었다. 반면, 50ml의 $H_2O_2$ 첨가만으로도 회수율의 증대는 있었으나 실험의 위험성을 고려시 적절하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3. Kjeldahl 분해장치를 이용한 방법으로 회수율의 증대를 나타내는 경향은 있었으나, 반복간의 큰 오차를 나타내었으므로 추출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4. Loosely bound paraquat의 추출을 위해 0.01, 0.1, 1, 10M ammonium chloride와 calcium chloride를 이용하여 1.5, 3, 6, 12, 24시간으로 진탕시간을 달리하여 분석한 결과, 시간, 농도, 추출액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모든 처리구에서 paraquat은 검출한계 미만의 수준이었다.

  • PDF

알칼리 처리된 제지슬러지의 메탄발효에 미치는 몇몇 첨가제의 효과 (The effects of some additives on Methane Fermentation of Paper Mill Sludge treated with Alkali)

  • 최종우;이규승;박승희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4-142
    • /
    • 1995
  • 제지슬러지의 메탄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온($35^{\circ}C$)과 고온($60^{\circ}C$) 메탄발효를 실시하였으며, 발효 촉진제로 기질(ethyl acetate), $F_{430}$의 구성성분(nickel), 생육인자 및 환원제(sulfur) 등의 화합물을 첨가한 후 메탄 생성 효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1. 제지슬러지를 단순히 $60^{\circ}C$로 가열해 주어도 섬유소가 분해됨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으며, pH를 교정하기 위한 NaOH처리로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중온($35^{\circ}C$) 메탄발효 가스중 40%의 메탄함량을 나타낸 처리구는 nickel trioxide(5일), nickel sulfate(10일), nickel acetate(15일) 순 이었다. 3. 중온에서의 메탄생성 효율은 대조구(0.62%), ethyl acetate(0.21%), nickel acetate(2.14%), nickel sulfate(3.02%), nickel trioxide(3.34%)로 대조구에 비하여 최고 5.4배까지 증가하였으며, nickel화합물에서는 acetate< sulfate< trioxide의 순으로 메탄발효를 촉진하였다. 4. 고온 메탄발효 가스중 40%의 메탄함량을 나타낸 처리구는 nickel trioxide(3일), 혼합(5일), sodium sulfide(6일), 대조구(10일)의 순이었다. 5. 고온에서의 메탄생성 효율은 대조구(9.6%), ethyl acetate(4.8%), sodium sulfide(16.5%), nickel trioxide(19.8%), 혼합(31.9%) 처리구순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최고 3.32배의 보다 높은 효율을 보여 주었으며, 중온 보다는 약 10배의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6. 중온과 고온 메탄발효후 pH는 메탄발효가 잘 진행된 발효조는 7.0($60^{\circ}C$, 혼합처리구)이었으나, 진행되지 못한 발효조($35^{\circ}C$, ethyl acetate)에서는 5.4로 나타났다. 7. 메탄발효폐액의 특성은 메탄발효가 잘 진행된 폐액의 COD 값이 컸으며, 전질소 함량은 낮았고, pH는 중성을 유지하였다.

  • PDF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기수성 비브리오균의 생리${\cdot}$생태적 특성과 수산식품의 위생 대책 1.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병원성 Vibrio sp.의 분리와 동정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molytic Vibrios and Development of Sanitary Countermeasure of Raw Fisheries Foods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vel Pathogenic Vibrio sp. Producing Hemolysin)

  • 김영만;최길배;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1-366
    • /
    • 1997
  • 금강 하구의 물에서 분리된 sucrose 분해성 Vibrio 속 중에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균주의 독성을 시험한 결과와 기존에 알려진 12종의 병원성 Vibrio 녹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장소의 환경조건은 염도가 $4.7\%_{\circ}$, pH가 7.6, 수온이 $24^{\circ}C$ 및 conductivity가 $7800{\mu}MHOS$이었다. 2.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염분 요구도를 비교한 결과 sucrose를 분해하는 병원성 Vibrio인 V. alginolyticus, V. cholerae, V. cincinnatiensis, V. fluvialis, V. furnissii 및 V. metschnikouii와는 확실히 구별되었다. 3. 생육가능한 염도는 $0.5\~7.5\%_{\circ}$이었으며 생육가능한 pH는 $4.5\~9.5$이었다. 4. TCBS 평판한천배지에서 균의 집락은 전형적인 황색집락이었으며, 전자현미경에 나타난 균의 형태은 콤마상 간균이었다. 5. 새앙쥐에 대한 치사독성이 확실하였으며, 사람과 면양 적혈구에 대한 용혈성이 확인되었고 rat 피부혈관 투과성 항진작용이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 균은 병원성이 확인되었고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Vibrio 속으로 확인되어 이 균을 Vibrio sp. D5로 명명하였다.

  • PDF

기수에서 분리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미분류 Vibrio sp.의 세균학적 특징 -2. Vibrio mimicus와 유사한 Vibrio sp. E10의 세균학적 특성-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dentified Vibrio sp., Hemolysin Producer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2.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sp. E10 Similar to Vibrio mimicus-)

  • 김영만;유홍식;오희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5-550
    • /
    • 2002
  • 금강 하구에서 분리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V. mimicus와 유사하지만 분류되지 않은 기수성 Vibrio속으로 추정되는 균주 Vibrio sp. E10 (V. kunsan)의 세균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인 생화학적 시험과 전자현미경 상의 형태에서는 V. mimicus와 유사하였지만 TCBS 배지 상의 colony 형태는 V. vulnifirus와 유사하였으므로 V. mimicus와는 차이를 보였다. Human과 sheep blood agar에서의 뚜렷한 용혈환과 rat에 피부혈관투과항진 작용으로 용혈독성이 있었으며, mouse에 대한 치사독성이 있었으므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생육 가능한 환경 조건은 염도 0$\~$$4.5\%$, pH 6.2$\~$9.2, 온도 $14\~42^{\circ}C$이 었다. Vibrio sp. E10의 16S rDNA 염기서열은 10여종의 V. cholerae와 1종의 Vibrio mimicus의 염기서열과 $99\%$의 상동성을 보여 유사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세균 자동동정기를 이용한 동정 결과, genus는 Vibrio 속으로 동정되었으나 species는 일치하는 균종이 없었다. 알려진 Vi-brio속 중에서 유사성이 높았던 V. mimicus와 비교해 볼 때 18종류의 항목이, V. cholerae와는 11종류의 항목이 다른 반응을 나타내어 미분류 균종으로 확인되었다.

EFDC를 이용한 군산항의 유사 퇴적고 계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diment Deposition Height Computation at Gunsan Port Using EFDC)

  • 이동주;박영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531-545
    • /
    • 2013
  • 본 논문은 군산항의 유사퇴적 현상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합리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기 위해, 잘 알려진 EFDC 3차원 유사이송모형을 기초로 군산항의 퇴적고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EFDC KUNSAN_SEDTRAN MODEL(2012)의 적용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모형은 금강하구수리현상변화조사 보고서(Gunsan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Port Office, 2004)의 여러 현장 관측치를 가지고 검정 및 검증을 수행했다. 검정 및 문헌조사를 통해, 본 모형의 점착성토사 침강속도(WS, Settling velocity), 퇴적한계전단응력(TD, Critical deposition stress), 기준침식률(RSE, Reference surface erosion rate), 침식한계전단응력(TE, Critical erosion stress)은 각각 2.2E-04m/s, 0.20 $N/m^2$, $0.003g/s{\cdot}m^2$, 0.40 $N/m^2$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군산항의 13정점의 퇴적고(71일) 및 내항과 외항 정점의 부유사농도(15일)의 모형 계산치와 현장 관측치를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퇴적고 계산을 위한 모형의 적용성은 NSE계수가 0.86, 부유사농도 시간평균 상대오차(RE)가 23%로 평가되었다.

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연구 - Cercaria tapidis, Cercaria harengulae 의 기생율 변동 (Studies on parasitic trematodes in bivalves -Variation of infection rate of Cercaria tapidis and Cercaria harengulae-)

  • 김영길;이근광;김영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30
    • /
    • 1995
  • 1980~1982 년에 서해안 금강 하구산 바지락과 맛조개의 생식소내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유충인 Cercaria tapidis 와 Cercaria harengulae 의 기생율을 보고 한 후 동지역에서 13~14 년이 경과한 1994~1995 년 1 월까지 바지락과 맛조개에서 흡충류 유충의 기생율 변동 상황을 조사하였다. 먼저 바지락에 기생한 Cercaria tapidis 는 년평균 기생율이 1981 년의 5.7% 보다 2.4 배가 많은 14.0% 로 증가하였고, 월 기생율이 가장 높았던 달은 10 월의 32.0% 로 1981 년 12 월의 23.3% 보다 훨씬 높은 기생율을 나타냈다. 또 바지락에서의 Cercaria harengulae 의 년평균 기생율은 1980 년의 5.0% 보다 감소한 2.3% 이었으며, 월 기생율이 가장 높았던 1994 년 5 월의 6.7% 는 1980 년 3 월의 19.0% 보다 훨씬 감소된 기생율이었다. 맛조개에서의 Cercaria harengulae 의 년평균 기생율은 1981~1982 년의 10.2% 보다 감소된 6.9% 이었고, 월 최고 기생율도 1981 년에는 8 월에 23.4% 이었으나, 1994 년에는 4 월의 13.3% 로 감소 되었다. 또 Cercaria tapidis 는 1980 년 조사시와 같이 크기가 클수록 기생율이 높았으나, Cercaria harengulae 는 오히려 각장이 작을수록 기생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