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yam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34초

생마 신선편이 제조를 위한 천연 향신료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 류희영;배경화;금은주;박상조;이봉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52-657
    • /
    • 2007
  • 천연 향신료를 이용한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 제조를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향신료들을 대상으로 물 추출물 및 메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향신료의 추출효율은 향신료에 따라, 추출용매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들의 성분 분석 결과 향신료의 우수한 영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물 추출물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검토한 결과, 물 추출물들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페퍼민트 추출물에서 트롬빈 타임이 26배 이상 연장되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DPPH 소거능 평가결과 계피 및 로즈마리 추출물에서 각각 $61.3{\mu}g/ml$$84.3{\mu}g/ml$$IC_{50}$를 확인하였다. 한편 메탄을 추출물들에서는 타임, 생강, 및 계피 추출물이 생마 저온부패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로즈마리 추출물은 생마 저온부패균에 대한 항균력은 없었으나, 강력한 항충치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계피 및 산초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타임 및 계피 추출물에서 강력한 DPPH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이 동시에 우수한 페퍼민트 및 계피 물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신선편이는 $4^{\circ}C$에서 24시간 보관 후에도 페퍼민트 및 계피 유래의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천연 향신료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우수하면서, 기능성, 관능성이 강화된 신선편이 제조가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Activity of Young Astronomers Meeting in 2020 Season

  • 이가인;백인수;강지수;김이곤;이용희;임효빈;정미지;최보은;최우락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56.2-57
    • /
    • 2020
  • 2019년 10월, 젊은 천문학자 모임(Young Astronomers Meeting, 이하 YAM)은 가을 정기총회를 가졌으며, 2020년 임원진으로 회장 서울대학교 이가인, 부회장 서울대학교 백인수 회원이 선출되었다. 운영위원으로는 서울대학교 강지수, 경북대학교 김이곤, 경희대학교 이용희, UST 임효빈, 충남대학교 정미지, 세종대학교 최보은, 연세대학교 최우락 회원이 임명되었다. 매년 진행되어 오던 YAM 워크샵이 지난 2월 27일에 1박 2일동안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무기한 연기되었고 이밖의 많은 활동들에도 제약이 따랐다. 현재 YAM은 본 모임의 온라인 소식지인 <하늘사랑> 제 9호 발간 및 온라인 모임을 준비함으로써 직접 만나기 어려운 회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본 포스터에서는 2020년 상반기 활동을 보고하고 하반기 활동 계획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oscorea opposita Thunb. Solution Fermented by Lactobacillus bulgaricus

  • Park, Ju-Hyun;Ahn, Joung-Jwa;Kwak, Hae-S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73-779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am (Dioscorea) solution fermented by L. bulgaricus, the 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Dioscorea opposita Thunb. on stomach lesions, an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fermented dairy products. When the concentration of yam increased, the pH increased in raw powder samples but not in extracted powder samples. In 6% raw powder containing the sample, the viable cell counts showed a dramatic increase, whereas those in extracted yam powder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oncentrations during 32 h of fermentation. The viscosity of extracted yam powder showed a lower value than that of raw powder, which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fermentation. The solution of Dioscorea opposita Thunb. raw powde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llantoin content compared with the extracted powder (p<0.05). At 2% of added Dioscorea opposita Thunb., 0.65 mg/mL was contained in both samples; however, when 6% of Dioscorea opposita Thunb. was added, the amount of diosgenin increased up to 1.9 mg/mL. When 200 mg of powder/kg body wt. was injected, gastric lesions were apparently reduc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rats. With 100 mg/kg body wt. injected into rats, the protective effect was a little lower than that in 200 mg/kg body wt. Based on these data,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yam powder fermented by L. bulgaricus showed a protective effect on gastric lesions in rats; therefore, it may be included as an added ingredient in yogurt manufacture.

Bending Behavior of Coated Yarns

  • Koo, Young-Seok
    • Fibers and Polymers
    • /
    • 제2권3호
    • /
    • pp.148-152
    • /
    • 2001
  • Cotton yarns were coated with a polymer solution to hold surface fibers to the yam body, which caused fiber-fly generation during knitting process.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coated yarn, especially a bending rigidit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oated yam during knitting. SEM images showing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coated yarn demonstrated that the thickness of a coating material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coating solution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bending rigidity measured using KES-FB2 system showed that the bending rigidity of the coated yam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coating solution increased. The results also revealed the possibility that yarn coated with a low amount of coating material should be employed for further research of reducing fiber-fly generation during knitting process.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아라미드(Nomex) 방적사의 분산염료에 대한 염색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eing Ability of Aramid(Nomex) Spun Yarn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using Disperse dyes)

  • 용관중;박영환;김한석;유기풍;김인회;남성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101
    • /
    • 2003
  • To acquire dyeing ability on aramid(Nomex) spun yarn in supercritical fluid dyeing, supercritical fluid dying(SFD) machine of 3L scale was designed. C. I. Disperse Red 60 and Red 360 were used in this work. It was possible to increase dyeing ability and to get level dyeing of fiber by attaching assistance devices(controlling device of supercritical fluid, nozzle, cover of carrier, etc.) to SFD machine. Physical properties(tensile strength, elongation, shrinkage) of Nomex spun yam treated by SFD were not changed. K/S values of dyed Nomex spun yam with Red 360 were higher than that with Red 60 and color fastness of dyed Nomex spun yam by SFD was similar to that by conventional dyeing method.

Two Species of Penicillium Associated with Blue Mold of Yam in Korea

  • Kim, Won-Ki;Hwang, Yong-Soo;Yu, Seung-Hun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217-221
    • /
    • 2008
  • During 2007 survey of post-harvest diseases of yam performed in May and June, severe tuber loss caused by blue mold was observed in Iksan, Cheonbuk Province. Two species of Penicillium were isolated from the infected tubers. Based on $\beta$-tubulin gene sequence analysis, and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Penicillium sclerotigenum and P. polonicum. P. sclerotigenum, which is a novel to Korea, is presently described and illustrated.

열수 온도, 에탄올 비율, 추출방법에 따른 마(Dioscorea batatas)의 기능성 및 특성 연구 (Functionalities and Properties of Yam (Dioscorea batatas) Extract Depending on Various Water Temperature, Ethanol Ratio, and Extraction Methods)

  • 김재용;금준석;박종대;성정민;최윤상;최현욱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2호
    • /
    • pp.125-133
    • /
    • 2019
  • 마 분말과 생 마의 추출 용매(열수 25, 50, 75, 95℃, 에탄올 25, 50, 75 100%) 및 추출 방법(회분법, 침지법)에 따른 추출물과 추출 후 침전물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았다.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대부분 생 마 보다는 마 분말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마 분말 50% 에탄올 추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제거능은 마 분말과 생 마 모두 75% 에탄올 추출법에서 높은 제거능을 보였고, 가압 가열 추출법은 높은 압력과 온도에 의한 항상화 물질의 파괴로 인해 낮은 제거능을 보였다. 조사포닌 함량은 마 분말과 생 마 모두 95℃ 열수 추출법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능에서는 마 분말의 경우는 95℃ 열수 추출법 또는 가압 가열 추출법, 생 마의 경우에는 95℃ 열수 추출법, 25% 에탄올 추출법 또는 가압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가 가장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전물의 RVA 호화특성 결과 대부분 추출법에서 peak viscosity, trough, final viscosity 등이 control에 비해 증가하는 결과가 나온 반면 95℃ 열수 추출법과 가압 가열 추출법에서는 전분 그래뉼의 파괴를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그로 인한 viscosity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마 분말 75℃ 열수 추출의 경우 전분 그래뉼의 파괴는 SEM에서 관찰되지 않았음에도 viscosity가 감소한 것에 대한 추가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침전물 현탁액의 점도는 마 분말에서 5.82-9.12 cp, 생 마에서 13.88-19.10 cp로 생 마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생 마의 점액 물질에 의한 결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의 추출물과 침전물의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마를 활용한 소재화, 식품 및 피부미용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데이터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마(Dioscorea batatas DECENE) 점질물이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cilage from Yam (Dioscorea batatas DECENE)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 권은경;최은미;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95-801
    • /
    • 2001
  • 한국산 마(Dioscorea batatas DECENE, Yam)에서 점질물(mucilage)의 fraction 1, 2를 분획하여 6주령의 ICR 마우스에게 당 부하 검사(glucose tolerance test)를 실시한 결과 마 점질물 fraction 1이 마 점질물 fraction 2에 비해서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마 점질물 fraction 1을 시료로 채택하여 6주령의 ICR 마우스에게 Alloxa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후 10일간 경구 투여를 실시하고 식이 섭취량 및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중의 포도당 농도와 혈청과 간장 중의 지질 성분과 각종 장기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식이 섭취량은 당뇨대조군과 마점질물투여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거의 2배에 가까운 식이 섭취량을 보였다. 체중의 변화는 정상대조군과 당뇨대조군은 증가한데 반해 마점질물 투여은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토는 시료 투여 직전에 정상 대조군은 $68.00{\pm}6.04\;mg/dL$였으며, 당뇨 대조군과 시료 투여군은 $400.50{\sim}403.50\;mg/dL$였다. 당뇨 대조군의 경우 시료 투여 첫째날부터 종료시까지 고혈당을 유지하였으며, 마점질물 투여군에서는 실험기간 5일째까지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감소하지 않았지만, 시료투여 10일째에 마점질물투여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낮은 혈당치를 나타내었다. 혈액중 중성지방농도는 당뇨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약 1.7배 정도 유의적으로 높았다. 마점질물투여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장의 무게는 y500F1군이 당뇨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에서 마점질물 fraction 1을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체중의 감소 및 혈중 포도당과 중성지방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당뇨병에 대한 개선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PDF

마와 찹쌀의 첨가 비율에 따른 고아미 쑥갠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sukgaen Dduk Made with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Focused on Yam and Glutinous Rice)

  • 하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71-1578
    • /
    • 2014
  •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다이어트 및 당뇨, 성인병 예방식으로 활용 가능한 고아미 2호 쑥갠떡의 거칠고 단단한 텍스처를 부드럽고 쫄깃한 특성으로 개선하기 위해 고아미 2호에 마와 찹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하고 반죽의 치대는 횟수를 달리하여 제조한 후, 텍스처 측정 및 관능검사를 통한 품질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아미 2호 70%에 마와 찹쌀가루를 YG1(25:5%), YG2(20:10%), YG3(15:15%), YG4(10:20%), YG5(5:25%)의 배합비로 첨가량을 달리한 쑥갠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인 멥쌀로 만든 쑥갠떡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마와 찹쌀가루 첨가군 중에서는 마 10%, 찹쌀가루 20% 배합으로 제조한 고아미 2호 쑥갠떡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찹쌀가루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현저하게 높아졌다. 찹쌀가루 첨가로 인해 부드러운 특성은 다소 낮아졌으나 쑥색이 진해지고 특이한 냄새가 미미해진 것을 패널들은 선호하였고 찹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쫄깃한 정도, 구수한 맛, 결의 미세함 정도가 높아졌다. 경도는 대조군이 99.70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와 찹쌀가루가 첨가된 고아미 2호 쑥갠떡 중에서는 마 첨가량이 감소하고 찹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경도가 높아졌다. 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마와 찹쌀가루가 첨가된 고아미 2호 쑥갠떡은 대조군에 비해 씹힘성과 검성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찹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높아져 떡의 쫄깃한 특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약리작용이 있는 쑥과 고아미 2호의 거칠고 단단한 텍스처를 개선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마 10%, 찹쌀가루 20%를 첨가한 반죽을 각각 20번, 40번, 60번, 80번 치대어 제조한 고아미 2호 쑥갠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멥쌀로 만든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마와 찹쌀가루 첨가군 중에서는 40번 치댄 G40이 대조군 다음으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다. 쑥색의 정도, 맛, 질감, 쫄깃함, 부드러움 및 결의 미세한 정도에서도 G40이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멥쌀로 만든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고아미 2호 쑥갠떡의 경우 20번 치댄 G20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치댄 횟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져 부드러워지는 특성을 보였으나 치댄 횟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부드러운 정도가 과도하여 오히려 떡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씹힘성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마와 찹쌀가루 첨가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검성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마와 찹쌀가루 첨가군에서는 치댄 횟수가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으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고아미 2호 쌀가루로 쑥갠떡을 제조하는 경우 마 10%와 찹쌀가루 20% 첨가 배합에 반죽을 40번 정도 치대는 것이 외관, 맛, 쫄깃한 질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이 관능적 측정에서 다른 첨가군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양호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대조군의 쑥갠떡 품질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도하게 치대는 경우에는 오히려 떡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