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2.1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2.1의 공간정보 웹 시각화 적용 기초 (Application Basics of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to Web Visualization of Geo-based Information)

  • 박한샘;김광섭;이기원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123-135
    • /
    • 2016
  • 최근 위치정보 기반 광고, 개인용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공간정보 응용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보편적인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고부가 콘텐츠와 연계하여 온라인 지도 편집과 같은 전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정보 기반 웹 서비스들을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사용하는 것을 쉽지 않다. 물론 이 같은 실정이 공간정보 관련 서비스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다양한 분야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웹 콘텐츠를 다루는 데 필요한 기술적 사양이 필요하다. 이에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개발하여 공표하였으며,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은 이를 참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증심사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른 웹 서비스 분야에 비해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적용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나 실무 적용 서비스 사례가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웹 콘텐츠 접근성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여러 응용 분야 중에서 공간정보 웹 시각화 분야를 중심으로 이 지침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주요 웹사이트의 접근성에 관한 분석 (Web Accessibility of Major Korean Web sites)

  • 이양규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2권4호
    • /
    • pp.33-44
    • /
    • 2005
  • Universal accessibility of web sites Is critical in a highly interconnected world. The web site should be usable by anyone, regardless of Individual capabilities and disabilities. But in reality, the users with disabilities are discriminated by inaccessible wed sites. This research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major web sites of Korea based on World Wide Web Consortium's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1.0. The result shows that the average number of accessibility errors per web site is 2.77 much higher than that of Unites States. Automated testing and manual testing of web accessibility provides complementary results.

  • PDF

국내 종합병원의 웹 접근성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tate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on General Hospital Websites in Korea)

  • 김용섭;오군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7-10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웹 접근성 동향을 살펴보고 웹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제도와 웹 접근성 실태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지침을 근거로 종합전문요양기관 종합병원 등 80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웹 접근성 실태를 조사하였다. 평가항목은 접근성 베이스 평가기준으로 웹 접근성 지침1의 대체텍스트 제공, 지침2의 프레임사용제한, 키보드로만 운용 등 3개 항목, 사용성 베이스 평가기준으로 음성서비스 제공, 글자크기 조정, 다국어 웹사이트 제공, 웹 접근성 방침 공시 등 4개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웹 접근성 준수율을 나타내기 위하여 KADO-WAH2.0을 사용하였다. 평가결과 웹 접근성 준수율이 전체적으로 미흡한 수준이었으나, 과거와 비교하여 상당한 수준까지 개선되었다. 그리고 준수하는 의료기관과 그렇지 못한 의료기관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한편 많은 병원들이 웹 접근성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공공성 공익성이라는 특성을 가진 의료기관에 대해서도 웹 접근성 확보를 위한 독자적인 접근성 지침의 수립,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의 제고,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 법 제도적 보완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웹 접근성과 웹 표준화 향상을 위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연구 (A Study on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and Web Standards)

  • 이용희;김환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2
    • /
    • 2014
  • 최근에는 인터넷 웹 컨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대학교, 그리고 기업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인 KWCAG2.0은 1.0에 비해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명확한 대체 텍스트 제공, 데이터 테이블의 명확한 구분 및 키보드 접근과 사용 등에 대한 지침을 더욱 준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급속도로 변화되는 웹 및 모바일 환경에서 모든 사람이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시스템(CMS : Content Management System)을 개발 하였다. 이를 위하여 KWCAG(Korean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W3C XHTML-1.0-Strict DTD, W3C CSS2를 기반으로 웹 접근성 및 웹 표준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 하였다. 본 시스템은 WYSIWYG 방식으로 제작이 되어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웹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바일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하였다.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Public Agency Homepage)

  • 김혜리;이상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9-25
    • /
    • 2017
  • 오늘날 웹 사용이 일상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일반인들 역시 웹 사이트를 사용할 때 표준화 되지 않아 불편을 호소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 소외 계층인 장애인 등은 접근성이 보장되지 않은 웹 사이트로 인하여 불편을 겪으며 정보격차라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인증마크 획득을 위한 인증심사를 진행하여 이러한 실질적 사례를 통해 실무자나 관리자로 하여금 웹 접근성의 인식을 제고하고 웹 호환성과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은 채 제작된 노후화된 기존 공공기관 웹 사이트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존 문헌 및 선행연구가 많이 있으나 여전히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아직까지 새로이 제작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공기관 홈페이지에 처음 접속한 사용자들이 불편을 많이 격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2015년 4월 개정된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을 준수하여 가이드라인의 실효성을 특정 공공기관 사이트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하여 검증하도록 하였다.

국내 인터넷 웹 페이지에 나타난 기본심폐소생술 정보의 질 평가 (Evaluating the Quality of Basic Life Support Information for Primary Korean-Speaking Individuals on the Internet)

  • 강희도;문형준;이정원;최재형;이동욱;김현수;강인구;김도의;이현정;이한유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25-132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basic life support (BLS) information for primary Korean-speaking individuals on the internet. Methods: Using the $Google^{(C)}$ search engine, we searched for the terms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Korean)' and 'cardiac arrest (in Korean)'. The accuracy, reliability and accessibility of web pag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guidelines for CPR &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the health on the net foundation code of conduct and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respectively. Results: Of the 178 web pages screened, 50 met criteria for i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BLS information was not enough (median 5/7, IQR 4.75-6). 23(36%) pages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2010 AHA guidelines. Only 24(48%) web pages educated on how to use the automated electrical defibrillator. The attribution and transparency of the reliability of pages was relatively low, 20(40%) and 16(32%). The web accessibility score was relatively high. Conclusion: A small of proportion of internet web pages searched by Google have high quality BLS information for a Korean-speaking population. Web pages based on past guideline were still being searched. The notation of the source of CPR information and the transparency of the author should be improved. Th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BLS information exposed to the Internet are continuously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