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oy sauce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9초

오미자 즙의 첨가량에 따른 불고기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auce with Various Amount of Omija Extract Juice)

  • 남정석;최수근;김동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7-25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LOHAS 컨셉에 적용 기능한 한방 재료를 소스에 응용하고자 다양한 효능, 효과의 기능성 이 입증된 오미자를 간장을 주재료로 한 소스인 불고기 소스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소스의 물리적, 관능적 평가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소스를 입증하고자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오미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 조회분, 조단백질은 낮아졌고, 조지방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색도에서 L값은 첨가량 증가 시 점점 높아졌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오미자 착즙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오미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 염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점도는 이와 반대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오미자 불고기 소스만을 가지고 정량적 묘사 분석에서는 오미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 향, 맛, 후미는 강하다고 평가되었고, 기호도 검사 결과 모든 항목에서 5% 첨가 소스가 가장 선호하였다. 오미자불고기의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오미자 착즙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의 강도 소스의 향, 오미자의 맛 정도가 강하다고 평가되었고, 누린내, 짠맛, 단맛, 누린맛이 약하다고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대조군을 비롯하여 5가지의 시료를 첨가량을 달리한 결과 5%의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의 간장 불고기 소스에 다른 과일즙을 첨가하여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ntitumor Activity of Peptide Fraction from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 Lee, Hong-Jin;Lee, Ki-Won;Kim, Kyoung-Heon;Kim, Hyun-Kyung;Lee, Hyong-J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628-630
    • /
    • 2004
  • Antitumor activities of a peptide fraction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SSP) were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vivo using cancer cell lines and F9 teratocarcinoma-bearing BALB/c mice. SSP exerted a dose-dependent antiproliferative effect on P388D1 mouse lymphoma, F9 mouse teratocarcinoma, and DLD-l human colon cancer cells with $IC_{50}$ values of 11, 50, and $50\mug/ml$, respectively. Tumor growth in F9 teratocarcinoma-bearing BALB/c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80 and 200 mg/kg/day of SSPs, was inhibited 10.3% and 52.4%, respectively, and survival days increased by 11.9% and 22.1%,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antitumor activities exerted by SSP in vitro and in vivo suggest the feasibility of using SSP as an antitumor agent.

돌연변이에 의한 한국간장균의 유전적 육종 (Genetic Breeding of Korean Soy Sauce-Fermenting Bacillus by UV Mutation)

  • 김종규;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4호
    • /
    • pp.346-350
    • /
    • 1988
  • 한국재래식간장에서 분리한 특향생성 Bacillus sp.의 NTG 변이주를 모균주로하여 자외선에 의해 2차 돌연변이시킴으로써 amylase, protease의 생산성이 증강된 우량간장 발효균주를 개발할 수 있었다. 변이주는 모균주에 비해 amylase의 경우 58%, protease의 경우 41% 정도 증강시킬 수 있었으며 그 생성효소들은 최적반응 pH, 최적반응온도 등 효소학적 특성이 거의 유사하였다. 5M의 고농도 식염용액에서도 그 작용이 크게 저하되지 않았으며 효소생산농도 2M정도까지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Zygosaccharomyces rouxii와 Candida versatilis의 동시 고정화에 의한 Air Bubble Column Reactor에서 간장의 연속적 속성 생산 (Continuous rapid Production of Soy Sauce by Coimmobilized Mixed Culture system of Zygosaccharomyces rouxii and Candida versatilis using Air Bubble Column Reactor)

  • 류병호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455-460
    • /
    • 2003
  • 간장의 속성 발효를 위한 방법으로 간장 발효에 간여하는 Z. rouxii BH-90과 C. versatilis BH-91 혼합 균체를 동시 고정화하여 이를 air bubble column reactor에 충진하여 국 고온 분해액을 주입하면서 연속적으로 발효를 시도하였다. 균체의 고정화 담체로는 실리카겔: 3% 알긴산소다 (1:1의 비율) 혼합액을 사용하여 Z. rouxii BH-90과 C. versatilis BH-91을 동시 고정화하여 air bubble column reactor에 충진하여 발효시킨 결과 발효 96시간 경과시 ethyl alcohol이 2.4% 생성되었으며 4-ethylguaiacol은 18mg/L가 생성되었다. Air bubble column reactor에서 Z. rouxii BH-90과 C. versatilis BH-91 혼합균체의 동시 고정화 beads의 연속적 속성 발효시 시작일로부터 30일까지는 ethyl alcohol이 2.5∼2.8%로 거의 일정하게 생성되었고, 40∼7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그리고 동시 고정화 균체의 발효에서는 40일까지는 4-ethylguaiacol의 함량이 16∼18mg/L로 거의 일정하게 생성되었으나 발효 45일 이후 70일까지는 약간 감소하였다. 발효종료 후의 제품을 분석한 결과 동시 고정화 균체의 발효액에서는 2.4%의 ethyl alcohol이 생성되었고, 18mg/L의 4-ethylguaiacol이 생산되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glutamic acid, leucine, arginine, aspartic acid, Iysin 및 valine이 전체 아미노산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통 장류로 제조한 양념육의 숙성 중 맛성분 변화 (Changes in Taste Compounds of Seasoned Pork with Korean Traditional Sauces during Aging)

  • 하경희;주선태;박구부;성낙주;류현지;박기훈;김일석;진상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857-866
    • /
    • 2005
  • 한국 전통 장류를 이용한 양념 돈육의 맛성분에 관한 연구로 돼지고기의 등심을 채취하여 $5{\time}15{\time}5$cm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양념액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28일간 숙성하면서 양념육(간장소스 양념육, T1; 고추장소스 양념육, T2; 된장소스 양념육, T3)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Citric acid와 fumaric acid는 숙성 14일 높게 나타났으며, 고추장소스로 양념한 돈육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ropionic acid와 lactic acid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된장소스로 양념한 돈육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리 아미노산은 간장소스로 양념한 돈육에 비해 된장과 고추장소스로 양념한 돈육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기간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숙성기간동안 IMP 는 감소한 반면, inosine은 증가하였으며, inosine은 간장소스로 양념한 돈육에 비해 된장과 고추장소스로 양념한 돈육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기간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는 숙성기간의 증가에 따라 향과 맛은 물론 연도와 다즙성도 증가되어 기호성도 숙성 초기에 비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기존의 양념육은 간장소스가 대부분이었으나 고추장소스나 된장소스를 활용한다면 맛과 품질이 우수한 다양한 양념육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둥시 장아찌 제조 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 차원섭;백신경;나경민;박준희;오상룡;이원영;천성숙;최웅규;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17-322
    • /
    • 2003
  • 떫은감 품종의 하나인 둥시를 이용하여 감장아찌 제조 중 과육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염도 변화는 저농도 간장 및 된장 침지의 경우 다소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고농도의 간장 및 된장 침지의 경우 침지 기간 내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 침지액 감장아찌의 경도는 간장 및 된장 모두 $20{\sim}80%$ 농도에서는 침지 초기에는 증가하다가 침지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장 침지 감장아리의 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명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침지액 농도를 달리하였을 경우 농도가 낮을수록, 침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았으며, 침지액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침지액의 간장 및 된장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감장아찌 중의 탄닌함량의 변화는 모든 침지액 농도에서 침지 기간이 지속될수록 탄닌의 함량은 저장 초기에 서서히 감소되다가 침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첨가량에 따른 탄닌함량의 변화폭은 크지 않았다. 침지액의 간장 및 된장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감과육에 존재하는 연화효소인 polygalacturonase와 pectinesterase 활성 변화는 간장침지 및 된장침지 모두 침지 초기부터 효소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침지 기간이 경과할수록 효소활성은 더욱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침지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효소활성이 억제되었다.

고추냉이즙을 첨가한 간장 양념 계육의 냉장 저장 중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oy Sauce Seasoned Chicken Meat with the Blended Wasabi (Wasabi japonica Matsum) Juice during Cold Storage)

  • 서광명;정장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79-588
    • /
    • 2012
  • This study was tested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blended wasabi ju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oy sauce seasoned chicken meat at $4^{\circ}C$ for 12 days. The proximate analysis on the blended wasabi juice (w/w) showed 76.55% water, 4.15% crude protein, 0.58% crude fat, and 1.31% as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 of the samples. The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 amount of the blended wasabi juice, but the redness ($a^*$) tended to decrease.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was lower with the increased addition of the blended wasabi juice. The level tendencies in the salinity and water-soluble solid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the blended wasabi juice adde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total counts of viable cells and coliforms were lower in the juice-treated groups. In the preference test of the samples, the seasoned chicken breast with 2% blended wasabi juice was the most preferred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color, saltiness, sweetness, flavor, and texture.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 Sauce Using Sandfish

  • Myong-No Yi;Jong-Rak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7회 학술발표회
    • /
    • pp.182.3-182
    • /
    • 1976
  • A laboratory study was made for developing an fermentative method of producing conventional Korean soy sauce type of product from sandfish and defatted soy bean Koji of Aspergillus oryzae as raw material and enzme source, respectively. As an attempt to shorten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dmixture, consisting of pre-chopped sandfish slurry and the Koji of Asp. oryzae (100:15, wet fish weight/dry Koji weight) with added water equal to the fish weight (v/w), was first allowed, while being agitated at 450rpm, to undergo digestion for a 5 hour period at $50^{\circ}C$ with no added salt and then then, after adding 20% salt (w/v), the hydrolysate mixture was ripened for up to 13 weeks at $30^{\circ}C$ and $45^{\circ}C,$ At intervals, an aliquot was withdrawn for determining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organoleptic changes taking place in the sandfish-defatted soy bean koji mixture during both digestion and ripening period.

  • PDF

여주분말 함유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 함량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ochemical property,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soy sauce added with bitter melon powder)

  • 황정은;이동희;주옥수;이희율;김수철;박경숙;엄봉식;조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38-1148
    • /
    • 2017
  • 본 연구는 여주 분말 첨가 간장의 기능성 화합물인 phenolic acid(p-hydrobenzoic acid)와 이소플라본(daidzein 및 genistein)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여주 분말 10% 첨가 간장의 pH 변화는 5.83(0% BMP), 5.47(5% BMP) 및 5.32(10% BMP)에서 5.28, 5.36 및 5.16으로 감소하였고, 총산은 반대로 0.06%, 0.07% 및 0.09%에서 0.30%, 0.28% 및 0.36%로 증가하였다. 한편 염도는 감소하였고, Bacillus와 효모의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여주 분말 첨가 간장은 모두 공통적으로 90일째 isoflavone 배당체 형태가 감소하는 반면, total phenolics 및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과 phenolic acid 함량, 항산화 활성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 저해활성은 증가하였다. 특히 10% 여주 분말 첨가 간장의 경우 glutamic acid(GA, 9,876.09 mg/100 mL)와 ${\gamma}$-aminobutyric acid(GABA, 325.02 mg/100 mL) 함량이 다른 간장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0% 여주 분말 첨가 간장은 90일째 항산화 활성(DPPH, ABTS, ${\cdot}OH$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과 ${\alpha}$-glucosidase 저해율은 각각 96.07%, 97.27%, 59.47%, 1.98, 및 79.96%로 아주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3-Monochloro-1,2-propanediol(3-MCPD)의 안전성 및 위해성 평가 (Safety and Risk Assessment of 3-Monochloro-1,2-propanediol (3-MCPD))

  • 이병무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11
    • /
    • 2002
  • 3-Monochloro-1,2-propanediol(3-MCPD) is currently being a matter of concern because of its toxicity. 3-MCPD produced during the acid hydrolysis of soybean products has been reported to be mutagenic, neurotoxic, nephrotoxic and spermatotoxic. Howerer, the carcinogenicity of 3-MCPD is a controversial issue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3-MCPD characteristically showed a variety of toxicities in reproductive system such as, decrease in sperm number and sperm motility, infertility, loss of sperm function, and weight decrease in ovary. Due to the toxicity of 3-MCPD, exposure to 3-MCPD has been proposed to be reduced to as low a level as technologically feasible. 3-MCPD can be detected in soy sauce or non-soy sauce products. The legal limit for 3-MCPD this year has been suggested to be 20 ppb($\mu\textrm{g}$/kg)in the European Community. In Korea, the permissible level of 3-MCPD is expected to be 0.3 ppm. In this study, 3-MCPD was toxicologically evaluated in terms of risk assessment in hum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