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7초

Starting Construction of Frailty Cohort for Elderly and Intervention Study

  • Won, Chang Won;Lee, Yunhwan;Choi, Jaekyung;Kim, Ki Woong;Park, Yongsoon;Park, Hyuntae;Oh, In-Hwan;Ga, Hyuk;Kim, Young Sun;Jang, Hak Chul;Korean Frailty Cohort and Intervention Study Group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14-117
    • /
    • 2016
  • A research project, the "Construction of Frailty Cohort for Elderly and Intervention Study,"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been ongoing since December 2015. The Korean Frailty and Aging Cohort Study (KFACS) aim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adverse outcomes associated with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s well as means of prevention. KFACS is a multicenter, longitudinal study, with the baseline survey being conducted in 2016-2017. The sample (n=3,000) consists of those aged 70-84 years, stratified by age and gender, recruited from urban and rural regions nationwide. An in-person interview and health examination are performed every 2 years. This project is also conducting many intervention studies. Project interventions focus on nutrition and exercise.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study compares the effects of 1.2 g/kg versus 1.5 g/kg daily protein intake on sarcopenia and frailty in older Koreans. The exercise trial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program in preventing or reducing frailty.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자산이 미치는 영향: 비동거 자녀와의 경제적, 정서적 지지교환의 매개효과 (Assets of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s: Mediating Effects of Financial and Emotional Support with their Children Not Living Together)

  • 원도연;노재현;신용석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87-705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자산의 영향력과 이들의 관계에서 비동거 자녀와 교환하는 경제적,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로부터 수집된 제5차 자료에서 자녀와 분거중인 65세 이상의 노인 1,977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산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노인의 자산은 자녀와의 경제적 지지교환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노인의 자산은 자녀와의 정서적 지지교환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자산관리 및 노부모-자녀 간 지지교환측면의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Elderly Men and Women: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 공희진;전혜정;주수산나
    • 한국노년학
    • /
    • 제40권3호
    • /
    • pp.511-5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6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기혼 남성 노인 585명과 여성 노인 460명이다. 주요 분석 변수는 만성질환 수, 배우자 관계 만족도, 우울감이며, 선행연구에서 노년기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현재 흡연 여부 그리고 배우자의 만성질환 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SPSS WIN 25.0을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성 노인의 경우 배우자 관계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만성질환 수는 우울감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지만, 높은 집단에서는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여성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을 발견하였으며, 특히 노인 만성질환자가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년기를 영위할 수 있도록 배우자라는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Seniors

  • Chang, Eun Jee;Woo, Hyun-Jae;Jeong, Kyu-Hyo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1호
    • /
    • pp.106-113
    • /
    • 2022
  •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oral health of seniors can affect their physical nutrition and quality of life (QoL). Additionally, poor oral health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dementia, which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geriatric oral health (GOH) on the QoL of Korean senior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seven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conducted in 2018. In total, 4049 seniors were included in our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GOH on QoL according to 5 mediating domains of cognitive function and control variables. To examine each path of mediating effects, bootstrapping with 5000 iterations was performed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Our findings revealed that good GO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oL of seniors. Also, better GOH corresponded to a higher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within all 5 domains: orientation, memory registration, attention/calculation, memory recall, and language and visuospatial ability. In addition, 3 domains of the 5 domains (attention/calculation, memory recall, and language and visuospatial ability)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H and QoL.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adequate management of GOH is crucial for promoting a better QoL and a high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among seniors. To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such as dementia, future studies should take a more targeted approach by examining data according to each cognitive domain and various socio-demographic factors.

고혈압 환자의 악력수준이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ndgrip Strength to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 배은정;박일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37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ndgrip strength level on cognitive impairment in hypertensiv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first to eighth year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Of the 10,254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basic survey, respondents were included that they were diagnosed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had no cognitive impairment. The handgrip strength was based on the highest value of handgrip strength for both hands. Cognitive function using MMSE results and 23 points or less were defined as cognitive impairment. Cox model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hazard ratios (HRs) of cognitive impairment in relation to handgrip strength adjusting for covariates. Results: In the case of hypertension patients, the probability of cognitive decline decreased by 3.0% every time the maximum handgrip strength increased by 1 unit. In the analysis by age, under the age of 64 had a 1.8% decrease in the probability of cognitive decline whenever the maximum handgrip strength increased by 1 unit, and a 3.6% decrease in those over the age of 65. In the gender analysis, male had a 3.2% decrease in the probability of cognitive decline for every 1 unit increase in the maximum handgrip strength, and female had a 2.6% decreas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in hypertensive pati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handgrip strength level on cognitive decline. It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health education on the necessity of increasing muscle strength for hypertension patients in the community.

한국 중장년층에서 거주 지역별 구강건강평가지수(GOHAI)와 삶의 질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and Quality of Life (QoL)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subjects in Korea)

  • 이민선;김미선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5-153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and Quality of Life (QoL)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in Koreausing data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IBM SPSS Statistics), and a t-test was performed for difference between GOHAI and QoL,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associ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ith confounding variables correc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0.05. Results: Urban residents' average Q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rural residents'(Table 1, p>0.05). For subjects under the age of 65, the QoL increased by 0.30 points for urban residents and 0.39 points for rural residents according to GOHAI increased by one unit (Table 2, p>0.05). Also, for subjects aged 65 years or older, the QoL increased by 0.42 points for urban residents and 0.61 points for rural residents according to the GOHAI, increasing by one unit (Table 3, p>0.05).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was lower than that of urban residents. The GOHAI had a stronger impact on QoL among rural residents than in urban areas. In order to address the disparity in QoL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it was believed that policies aimed at improving oral health for rural residents should b etaken in to account.

중고령 남성의 시간-소득자원 확보와 건강증진행동의 관련성: 가용이론의 적용 (Time, Mone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Aged Men: Looking Through the Lens of Capability Theory)

  • 차승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2호
    • /
    • pp.173-19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ime-income availability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physical practic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of older males (55-69).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light on health-behavior chang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ale retirement. The availability of time resources was examined by addressing the amount of weekly paid labor hours. The availability of financial resources was calculated by using the debt-income ratio. The study sample comprised 1,372 (age range 55-69) male respondents of the 2006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6 KLOSA wave 1). The results of CHAID (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analysis uncovered four distinctive combinations of resource types: time-money poor, time rich, money rich, time-money rich. According to logit results, these four groups had different socio-demographic profiles and different health-behavior risks. The time-money poor males were unlikely to perform physical activities needed to improve their health or to quit smoking or alcohol consumption. This group was also more likely to consume alcohol compared to the time-money resource types. In contrast, the time-money rich group was more likely to exercise longer and more frequently than the reference group (time and money poor). The time-rich types, those who have time-only resources and less money, were likely to be smokers and have problems with alcohol consumption.

  • PDF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인지기능의 관계에 대한 일 연구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Korean)

  • 김영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429-439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수준에 따라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사회적 고립을 구성하는 개별 항목이 인지기능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을 배우자 혹은 자녀가 없는 구조적 고립상태와 가족, 친구, 공식적 사회단체 등과 접촉하지 않는 접촉 고립상태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 5차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3,971명을 대상으로 다변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을수록 인지기능 수준이 낮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고립의 여러 구성 요소 중 친구 이웃 고립, 사회활동 고립이 인지기능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노인의 인지기능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를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고립의 영향을 고려할 때 향후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다.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성향점수 분석과 회귀모델을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Propensity Score Approaches)

  • 차선아;배수영;남상훈;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61-77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2020년에 수집된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지역에 거주하는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분류한 인지기능, 종속변수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이다. 인지기능 그룹 간 공변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활용법 중 역확률가중치를 적용 후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역확률가중치 적용 전의 다중회귀분석과 적용 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는 총 6,116명으로 인지정상군 4,367명, 경도 인지손상군 1,155명, 중증 인지손상군 594명으로 구성되었다. 성향점수 역확률가중치 적용 결과로 표준화된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확인하여 0.2 이상인 변수를 다시 통제하고 분석한 다중회귀모델에서 인지기능 그룹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부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정상 vs. 경도: β = -2.534, p < .0001; 정상 vs. 중증: β = -2.452, p < .0001). 결론 : 본 연구 결과에서 인지손상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음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성향점수 활용 후 중증 인지손상보다 경도 인지손상에서 더 부정적인 연관성을 나타낸 결과는 인지손상은 저하된 정도와 관계없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지기능의 감퇴가 나타난 모든 환자들은 구강관리의 중요성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업 이후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관한 연구: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Marital Satisfaction since Unemployment - Difference in Self-esteem by Patterns -)

  • 남석인;김준표;이수진;윤희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8호
    • /
    • pp.97-1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및 실업을 경험한 부부의 관계만족에 대한 종단적 변화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의 특징, 영향요인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2차 년도부터 11차 년도의 자료 중 취업상태에 있다가 이후 5년 간 실업을 경험한 443 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업 후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 유형은 저수준 유지형, 중수준 유지형, 지속적 감소형, 감소 후 증가형, 고수준 유지형의 다섯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계 만족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집단은 부부관계에 긍정 혹은 부정적 변화가 일어나는 집단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업 후 부부관계 만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