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honey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5초

Efficient Method for the Rapid Purification of Nosema ceranae Spores

  • Kim, Dong-Jun;Yun, Hwi-Geon;Kim, In-Hui;Gwak, Won-Seok;Woo, Soo-Dong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204-208
    • /
    • 2017
  • Nosema ceranae is an obligate intracellular fungal parasite that causes mortality in honey bees and enhances the susceptibility of honey bees to other pathogens. Efficient purification of Nosema spores from the midgut of infected honey bees is very important because Nosema is non-culturable and only seasonably available. To achieve a higher yield of spores from honey bees,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at the initial release of spores from the midgut tissues was the most critical step. The use of 2 mm beads along with enzymatic treatment with collagenase and trypsin enhanced the homogenization of tissues and the yield of released spores by approximately 2.95 times compared with the use of common 3 mm beads alone. The optimal time for the enzyme treatment was determined to be 1 hr as measured by the yield and viability of the spores. A one-step filtration using a filter paper with an $8-11{\mu}m$ pore size was sufficient for removing cell debris. This method may be useful to purify not only N. ceranae spores but also other Nosema spp. spores.

UPLC-MS/MS를 이용한 벌꿀제품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잔류실태 및 분석법 선진화 (Characterization and screening of pyrrolizidine alkaloids by UPLC-MS/MS: Application to honey)

  • 류회진;김욱희;이은순;김미선;김정곤;윤은선;김현정;김무상
    • 분석과학
    • /
    • 제32권6호
    • /
    • pp.252-261
    • /
    • 2019
  •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Pyrrolizidine alkaloids, PAs)는 식물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이다. 현재까지 약 6,000 여종 이상의 식물에서 660 여개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가 확인되었으며 주로 국화과, 지치과, 콩과 식물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UPLC-MS/MS를 이용하여 벌꿀 속 자연독소의 일종인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7 종에 대한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유통중인 벌꿀제품 84건에 대하여 PAs 함유량을 모니터링하였다. 정량은 전자분무이온화 과정에서 벌꿀에 대한 matrix effect를 줄이기 위해 matrix-matched 검량선을 사용하였다. 직선성은 R2 ≥ 0.998, PAs 7 종에 대한 회수율은 81-108 % 수준이었다. 7종 동시분석법으로 국내 유통중인 벌꿀 84건을 검사한 결과, 7.1 % (6/84건)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검출량은 평균적으로 47.19 ㎍/kg이었다. 또한 검출된 PA 성분은 주로 Lycopsamine과 Echimidine으로 확인되었으며 1.76-202.1 ㎍/kg의 검출범위를 나타내었다.

벌꿀의 밀원별(蜜源別) 품질관련성분(品質關聯成分)의 비교연구(比較硏究) -불포화(不飽和) 고급지방산(高級脂肪酸)의 함량(含量)에 대하여- (Comparative study on some quality-related components of different floral honeys -esp. on the contents of unsaturated higher fatty acids-)

  • 이영근;민병욱;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02-109
    • /
    • 1991
  • 아카시아꿀, 잡화꿀, 밤꿀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및 유리당을 정량분석하고 지방산을 GC-MS로써 분석한 결과 아카시아꿀, 잡화꿀, 밤꿀의 평균 수분 함량은 각각 19.7, 19.1, 18.9%이었으며 회분은 각각의 평균이 0.028, 0.050, 0.050%로서 아카시아꿀에서 비교적 낮았다. 벌꿀의 HMF (hydroxy methyl furfural)는 아카시아꿀과 잡화꿀의 평균함량이 18mg/kg정도이나 밤꿀은 다소 높은 20.21mg/kg 이었으며 유리산도는 밤꿀이 평균 2.28 meq/kg으로서 가장 높으며 아카시아꿀에서는 8.85 meq/kg으로서 가장 낮았다. 유리당의 함량은 밀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3종 모두 포도당 $31.0{\sim}32.0%$, 과당 $35.0{\sim}36.0%$이었고 과당/포도당의 비율도 3종 모두 거의 동일한 1.14 정도이었다. GC-MS에 의한 자방산의 분석에서는 dodecanoic acid, 10-hydroxydecenoic acid, 6,9-undecadienoic acid, tetradecanoic acid, 12-(acetyl oxy)-9-octadecenoic acid 및 14-octadeceno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벌꿀의 품질판정에 이용되고 있는 10-hydroxydecenoic acid의 함량은 3증 모두10mg% 내외이며 $20{\sim}30mg%$에 달하는 시료도 있는 반면 검출되지 않은 시료도 있었다.

  • PDF

Honey Bee Based Load Balancing in Cloud Computing

  • Hashem, Walaa;Nashaat, Heba;Rizk, Rawy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2호
    • /
    • pp.5694-5711
    • /
    • 2017
  • The technology of cloud computing is growing very quickly, thus it is required to manage the process of resource allocation. In this paper, load balancing algorithm based on honey bee behavior (LBA_HB) is proposed. Its main goal is distribute workload of multiple network links in the way that avoid underutilization and over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This can be achieved by allocating the incoming task to a virtual machine (VM) which meets two conditions; number of tasks currently processing by this VM is less than number of tasks currently processing by other VMs and the deviation of this VM processing time from average processing time of all VMs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different scheduling algorithms; honey bee, ant colony, modified throttled and round robin algorithms.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in terms of execution time, response time, makespan, standard deviation of load, and degree of imbalance.

히말라야산 석청 복용 후 발생한 심장독성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분석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with Cardiotoxicity Caused by Himalayan Mad Honey)

  • 김성호;서동우;유승목;김원영;오범진;임경수;손창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9-126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ED) with cardiotoxicity caused by ingestion of Himalayan mad honey. Methods: Medical records of 12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ED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12 with cardiotoxicity caused by ingestion of Himalayan mad hone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4.5 years and 58.3% were men. The median amount of mad honey ingested was 30.0 cc, and the mean time from ingestion to onset of symptoms was 39.4 minutes. All patients had hypotension and bradycardia upon arrival in the ED. The initial electrocardiogram showed sinus bradycardia in seven patients, junctional bradycardia in four patients, and atrial fibrillation with slow ventricular response in one patient. 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normal saline solution only. 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normal saline solution and atropine sulfate in a dose ranging from 0.5 to 2.0 mg.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returned to normal limits within 24 hours in all patients.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all patients with cardiotoxicity caused by ingestion of Himalayan mad honey had severe hypotension, bradycardia, and bradyarrythmias, including sinus bradycardia and junctional bradycardia and all patients responded well to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intravenous normal saline solution and intravenous atropine sulfate.

  • PDF

단백질 전기영동을 이용한 토종꿀의 판별 (Discrimination of Native Bee-Honey and Foreign Bee-Honey by SDS-PAGE)

  • 이득찬;이상영;차상훈;최용순;이해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
    • /
    • 1998
  • 꿀의 식품학적 특성만으로는 토종과 양봉꿀의 판별이 불가능하므로 꿀 속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특성으로 판별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꿀 속의 단백질을 Bradford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한 결과 토종꿀은 $0.1{\sim}3.3\;mg/g$이었고 양봉꿀은 $0.2{\sim}1.6\;mg/g$으로 토종꿀이 양봉꿀의 단백질함량보다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단백질 전기영동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벌꿀의 단백질 pattern을 관찰해 본 결과 토종꿀과 양봉꿀의 주요 단백질의 분자량이 각각 56,000 Da과 59,000 Da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집한 모든 토종꿀과 양봉꿀에서 같은 결과를 나타내어 이들 단백질이 토종벌과 양봉벌의 생리적 차이에 의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 주요 단백질을 두 단계의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주요 단백질은 토종꿀과 양봉꿀을 구별할 수 있는 SDS-PAGE의 marker로 이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꿀의 주요 단백질을 잘 분리하기 위해서는 10%의 gel농도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토종꿀과 양봉꿀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 PDF

전남 홍도를 통과하는 벌매(Pernis ptilorhynchus)의 이동 양상 (Migration Pattern of the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hynchus at Hongdo Island in Korea)

  • 최영복;채희영;김성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0-55
    • /
    • 2009
  •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3년간 봄과 가을에 전남 홍도를 통과하는 벌매(Pernis ptilorhynchus)의 이동 규모를 조사함으로써, 기상에 따른 이동의 영향을 분석하고, 벌매의 이동생태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홍도에서 기록되어진 벌매의 개체수를 살펴보면 2005년 702개체, 2006년 404개체, 2007년 659개체로 나타났고, 이중 봄철에 관찰된 개체수는 2006년 2개체, 2007년 8개체에 불과하여 홍도는 벌매의 가을철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월 20일에서 10월 5일 사이에 많은 이동이 확인되었다. 벌매는 2007년 가을 시간대별로 조사된 538개체의 벌매 중에서는216개체(40.1%)가오전 7시에서 8시 사이에 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시 풍향 선호도는 이동 방향의 오른쪽 뒤쪽에서 불어오는 북서풍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속이 5m/s 미만일 때 벌매의 이동이 더 활발하였지만, 5m/s 이상의 강한 바람일 경우에는 이동의 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풍속과 풍향은 벌매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판단된다. 한반도의 벌매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로 지속적인 이동 개체군의 규모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자료 부족으로 인하여 국내 가을철 이동 집단의 이동경로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향후 국내 위성추적을 통한 이동경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쌀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Dasik Made with Yam(Dioscorea japonica) Powder)

  • 조선의;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8-321
    • /
    • 2010
  • 본 연구는 다식 제조 시 감미와 결착제로서 꿀과 올리고당을 사용하고, 마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만든 쌀다식의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마 분말을 첨가한 쌀다식 제조의 최적의 배합비를 구하고자 하였다. 수분함량은 꿀 첨가군이 올리고당 첨가군보다 낮았으며, 당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꿀 첨가군보다 올리고당 첨가군이 L, a값은 높았으며, b값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 씹힘성, 검성, 응집성은 꿀 첨가군과 올리고당 첨가군 모두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꿀 첨가군보다 올리고당 첨가군이 모든 항목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기호도 검사의 결과 외관, 마의 맛, 단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마 분말 20% 첨가군이 가장 기호도가 높다고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마 분말의 첨가는 쌀다식의 기호도를 높여주고, 꿀과 올리고당을 이용한 다식 제조 시 마 분말 20%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다식의 제조 시 꿀과 올리고당을 감미 와 결착제로 사용하였으나 차후에 더욱 다양한 감미료와 보존성,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다식의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 PDF

한국산 밤꿀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estnut Honey Produced in Korea)

  • 강귀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84-88
    • /
    • 1998
  • 밤꿀과 밤꽃 향기성분의 연관성을 조사코자 밤꿀은 용매추출과 수증기 증류법을 병행하여, 그리고 밤꽃은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GC-MS에 의해 확인 비교하였다. 밤꽃으로 부터 14종의 방향족 화합물, 13종의 탄화수소류, 7 종의 지방산류, 4종의 테르펜류, 1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7종의 기타 성분 등 64종의 성분이 확인되었고, 밤꿀로 부터는 7종의 방향족화합물, 16종의 탄화수소류, 12종의 지방산류, 1종의 테르펜류, 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3종의 기타 성분 등 41종이 확인되었다. 밤꽃 향기의 주요성분으로는 전체 향기의 49.02%를 차지하고 있는 2-phenyl eth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었고 밤꿀 향기의 특징적인 성분으로는 2-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1-(2-aminophenyl) ethanone 등이었다.

  • PDF

LC-MS/MS에 의한 벌꿀 중 잔류 네오마이신의 분석 (Analysis of residual neomycin in honey by LC-MS/MS)

  • 심영은;정지윤;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22권4호
    • /
    • pp.319-325
    • /
    • 2009
  • 벌꿀 중에 잔류하는 아미노그라이코사이드 항생제인 네오마이신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방법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0.1M 염산을 사용하여 벌꿀의 pH를 2로 조절한 후 고체상 추출(SPE) 고체상인 양이온교환 카트리지에 적재한 후 염기성 메탄올로 용리하였다. 용리된 추출물은 이온쌍 시약을 사용한 이온쌍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한 후 LC/(+)ESI-MS/MS의 MR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정량분석을 위해서 spike 한 $5.0{\sim}250{\mu}g/kg$ 농도 범위에서 검정곡선은 좋은 직선성 ($r^2$ > 0.9951)을 나타내었다. 분석방법의 상대표준편차는 11.5~18.7%이었고 정확도는 bias로 10.9~20.9%이었다. 확립된 분석방법은 벌꿀 중에서 네오마이신의 분석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