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ndemic

검색결과 1,762건 처리시간 0.026초

Intestinal Helminths Recovered from Humans in Xieng Khouang Province, Lao PDR with a Particular Note on Haplorchis pumilio Infection

  • Chai, Jong-Yil;Sohn, Woon-Mok;Jung, Bong-Kwang;Yong, Tai-Soon;Eom, Keeseon S.;Min, Duk-Young;Insisiengmay, Bounnaloth;Insisiengmay, Sithat;Phommasack, Bounlay;Rim, Ha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4호
    • /
    • pp.439-445
    • /
    • 2015
  • A survey of intestinal helminths was undertaken in riparian people in Xieng Khouang Province, Lao PDR. Fecal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643 people (289 males and 354 females) residing in 4 districts (Nonghet, Kham, Phoukout, and Pek) and were examined by the Kato-Katz technique. The overall helminth egg positive rate was 41.2%, and hookworms revealed the highest prevalence (32.7%) followed by Trichuris trichiura (7.3%) and Ascaris lumbricoides (5.6%). The positive rate for small trematode eggs (STE), which may include Opisthorchis viverrini, heterophyids, and lecithodendriids, was 4.4%. For recovery of adult helminths, 12 STE or nematode/cestode egg-positive people were treated with 40 mg/kg praziquantel and 15 mg/kg pyrantel pamoate, and then purged. Mixed infections with 2 Haplorchis species (H. pumilio and H. taichui), Centrocestus formosanus, Opisthorchis viverrini, a species of cestode (Taenia saginata), and several species of nematodes including hookworms and Enterobius vermicularis were detected. The worm load for trematodes was the highest for H. pumilio with an average of 283.5 specimens per infected person followed by C. formosanus, H. taichui, and O. viverrini. The worm load for nematodes was the highest for hookworms (21.5/infected case) followed by E. vermicularis (3.2/infected cas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urveyed areas of Xieng Khouang Province, Lao PDR are endemic areas of various species of intestinal helminths. The STE found in the surveyed population were verified to be those of heterophyids, particularly H. pumilio.

2세 남아에서 충체 배출로 발견된 회충증 1예 (A Case of Expulsion of an Adult Ascaris Worm from the Anus of a 2-year-old Boy)

  • 조연종;최식경;김수정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77-82
    • /
    • 2020
  • 한국의 회충 감염률은 1970년대까지 높았으나 성공적인 기생충 관리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최근 회충 유행 지역으로부터의 인구 유입 및 해외여행 증가, 수입 농산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성인에서 회충감염으로 장폐쇄나 췌담관 질환이 유발된 증례 보고들이 있었다. 저자들은 회충증을 의심할 만한 위험 요인이 없는 2세 남아의 기저귀에서 회충 성충이 발견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아침에 환아의 어머니가 기저귀를 갈다가 움직이는 충체를 발견하여 내원하였다. 특이 과거력 없이 평소 건강하던 환아로 이상 증상은 없었고 신체 진찰에서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충체는 길이 약 25 cm, 폭 5 mm의 선충으로 머리와 꼬리는 원추상을 보여 회충으로 추정하였고 대변 기생충란 검사에서 Ascaris lumbricoides의 불수정란이 확인되어 회충증으로 진단하였다. 구충제인 알벤다졸 400 mg을 1회 경구 투여 후 추적 관찰하였고 추가적인 회충 발견이나 증상 발생은 없었다. 전체적인 기생충 감염률이 감소하여 관심이 줄어드는 현실에서 회충 감염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

21세기 초 한국의 인구구조 및 질병양상 (Perspective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Health Problems of Koreans in 21st Century)

  • 김정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2호
    • /
    • pp.175-185
    • /
    • 1994
  • In order to anticipate disease pattern and health problems of Koreans in the 1st part of 21st century (by the year 2020), transition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mortality and morbidity data during the last 30 years Koreans have experienced were reviewed. On the actual basis of epidemiologic transition process that has undergone during last 30 years since 1960 along with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elective national health policies (family planning, medical insurance and etc.), following changes can be expected in the 21st century in Korea,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urrent rate of progress is maintained.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alone will be doubled the population of 1960 by the year 2013 : aged Population older than 65 years will be increased from 3.3% in 1960 to 11.4% in 2020 with increased average age of the population from 23.6 year in 1970 to 39.2 year in 2020; urban population from 28% in 1960 to 83% in 2005. GNP/capita has increased tremendously from U.S. $120 in 1970 to $6,749 in 1992, and the government estimated it would be 519,350 in 2010 and $29,460 in 2020. Growth and developmental indices of childre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social status of women also showed a remarkable improvement and anticipated to make futher progress. Leading causes of mortality and morbidity have shown a striking change during the last 30 years, from infectious diseases to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and man-made injuries. Occurrence of communicable diseases may become minimal although viral hepatitis, venereal diseases Including AIDS, and well adapted herpes virus infections will maintain their endemic level. Newly evolving infectious agents, however,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because of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and human behaviours. Tuberculosis may increase up to the epidemic level when AIDS prevails. Ischemic heart diseases may increase steadily with increasing occurr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whereas cerebrovascular diseases may be decreased slowly. Musculaskeletal diseases which contribute a lot to the disability of aged people may be a major health problems due to increased aged population. Mental diseases, particularly that caused by alcohol and drug abuse, and senile dementia may become a prominent health problem. On the other hand injuries caused by traffic and industrial accidents that have shown most striking increase till now may be decreased considerably by intensive intervention. The health policies in the 21st century will be oriented to the health promotion for good quality life rather than life-savings.

  • PDF

Fishborne Trematode Metacercariae Detected in Freshwater Fish from Vientiane Municipality and Savannakhet Province, Lao PDR

  • Rim, Han-Jong;Sohn, Woon-Mok;Yong, Tai-Soon;Eom, Kee-Seon S.;Chai, Jong-Yil;Min, Duk-Young;Lee, Soon-Hyung;Hoang, Eui-Hyug;Phommasack, Bounlay;Insisengmay, Sithat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253-260
    • /
    • 2008
  • Freshwater fish from Vientiane Municipality and Savannakhet Province, Lao PDR were examined by the muscle compression and artificial digestion methods to know the infection statu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In the fish from Savannakhet, 2 species of metacercariae, Opisthorchis viverrini and Haplorchis taichui, were detected. O. viverrini metacercariae were found in 6 species of fish, Puntius brevis, Hampala dispar, Esomus metallicus, Mystacoleucus marginatus, Puntioplites falcifer, and Cyclocheilichthys armatus. H. taichui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3 species of fish, P. brevis, P. falcifer, and M. marginatus. In the fish from Vientiane, 4 species of metacercariae, O. viverrini, H. taichui, Haplorchis yokogawai, and Centrocestus formosanus, were detected. Among them, O. viverrini metacercariae were found in 7 species of fish, Onychostoma elongatum, C. armatus, H. dispar, P. brevis, Cyclocheilichthys repasson, Osteochilus hasseltii, and Hypsibarbus lagleri. The metacercariae of H. taichui were detected in 6 species of fish, C. repasson, O. elongatum, C. armatus, H. dispar, Labiobarbus leptocheila, and Cirrhinus molitorella. The metacercariae of H. yokogawai were found in 9 species of fish, C. repasson, O. elongatum, C. armatus, H. dispar, Labiobarbus leptocheila, O. hasseltii. C. molitorella, Hypsibarbus wetmorei, and H. lagleri. The metacercariae of C. formosanus were detected in 4 species of fish, C. repasson, P. brevis, O. hasseltii, and C. molitorella. From thes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fish borne trematode metacercariae, i.e. O. viverrini, H. taichui, H. yokogawai and C. formosanus, are prevalent in various species of freshwater fish from Savannakhet Province and Vientiane Municipality, Lao PDR.

$CO_2$농도와 온도 상승이 멸종위기식물 단양쑥부쟁이의 종생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Ecological Responses of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Endangered Hydrophyte)

  • 한영섭;김해란;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9-180
    • /
    • 2012
  • 단양쑥부쟁이(Aster altaicus var. uchiyamae)는 한국특산식물이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II급으로 하천변에 서식하는 식물이다.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가 단양쑥부쟁이의 생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O_2$농도와 온도가 상승된 처리구와 대조구에서 종자를 파종하고, 유식물을 키워 발아율, 식물계절학,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단양쑥부쟁이의 발아율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더 낮았다. 처리구에서 살아있는 잎의 지속 시기는 대조구보다 더 길었다. 개화와 꽃의 지속 시기, 종자 성숙 시기는 처리구에서 더 느렸다. 지상부와 지하부 무게는 처리구에서 더 가벼웠다. 개체 당 꽃대 수와 꽃대 당 종자개수는 처리구에서 더 적었다. 개체 당 꽃대무게, 꽃대 당 종자무게 그리고 종자 한 개 무게는 처리구에서 더 가벼웠다. 이상으로 볼때, $CO_2$농도와 온도상승은 단양쑥부쟁이의 생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외래식물에 의한 대학 교정 생태계의 교란 (Disturbance of University Campus Ecosystems by Alien Plants)

  • 김세은;이효혜미;차현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80-92
    • /
    • 2015
  • 귀화식물은 외국으로부터 들어와 야생에서 자라는 외래식물로서 대부분 번식력이 뛰어나 우리 생태계에서 서식지를 확대하며 토종식물들을 위협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동인구가 많고, 비교적 큰 규모의 생물서식공간을 제공하는 대학교 캠퍼스에 자연 생태계로 유입되어 귀화된 외래종이 얼마나 많이 서식하고, 어떠한 물리적 환경 요인이 귀화식물의 분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캠퍼스는 천안시 소재의 단국대학교, 백석대학교, 상명대학교, 호서대학교를 대상으로 각 교정에 출현하는 귀화된 외래종 (원예종 제외) 및 고유종을 조사하고, 교지와 녹지 면적, 각 학교 사이의 거리 및 고속도로와 거리를 조사하였다. 발견된 총 식물종과 외래종 수는 각각 189종과 43종이었고, 단국대 136종과 35종, 호서대 108종과 25종, 상명대 103종과 31종, 백석대 97종과 26종이 출현하였다. 각 대학 교정에서 외래종의 풍부도는 고속도로와 가까울수록 높았다. 또한 대학 간의 도보거리가 가까울수록 출현 외래종 식물상의 유사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학 교정에서 외래종에 의한 생태계 교란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인간 활동이 외래종의 분포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Coastal Sand Dune in Sinduri, Taean Gun)

  • 송호경;박관수;박혜림;서은경;소순구;김무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59-68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il properties, ordination, and vegetation of the coastal sand dune in Sinduri, Taean-Gun. 1. The Orobanche coerulescens and Ixeris repens that are a peculiar species were found in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the Salix purpurea var. japonica that is an endemic species of korea was found in that place. The plant communities was categorized into seven groups, such as Rosa rugosa community, Vitex rotundifolia communit, Carex kobomugi community, Imperata cyl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and Calamagrostis epigeios community. 2. The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concentration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lower in the study sites than in forest soil of seashor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oil exchangeable Ca, Mg, and K concentrations between in the study site and in the forest soil of seashore. The soil pH was ranged from 5.69 to 7.63. The soil texture in the study site was sand or loamy sand. 3.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nduri coastal sand dune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 are as follows; the soil pH was the most effect to the community distribution, and CEC, total nitrogen, soil organic matter, and the amount of silt in soil have some correlation with community distribution. 4.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nduri coastal sand dune community and soi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Calamagrostis epigeios community was found in area that have high soil moisture content; the Rosa rugosa community was found in area that have high soil CEC,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and low soil pH; the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and 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were found in area that have low soil CEC,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and high soil pH; the Imperata cyl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and Carex pumila community were found in area that have medium soil CEC,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and soil pH.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항산화 및 미백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Immature Seeds of Abeliophyllum distichum)

  • 장태원;박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6-544
    • /
    • 2017
  •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물푸레나무과의 관목으로 전세계적으로 1속 1종의 중요한 식물자원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미선나무 자생지를 보존하고 멸종위기식물로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 관련 단백질인 tyrosinase, TRP-1, TRP-2, MITF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수준의 발현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활성산소종에 효과가 뛰어났으며, 활성산소종은 노화, 염증, 암 등 다양한 질병을 야기시킨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활성은 페놀류 화합물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놀류 화합물은 천연 폴리페놀이라고 불리는 파이토케미칼로서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식물 방어 기작의 일환으로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이다. 페놀류 화합물은 노화, 항암을 포함한 많은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tyrosinase, TRP-1, TRP-2 단백질 및 mRNA를 조절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은 멜라닌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및 mRNA를 억제하였다. MITF는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과 전사에 연관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미백활성, 페놀류 화합물, 항산화 활성 사이의 연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천연 식물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항산화제 및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한국 농촌지역의 회충 감염율, 감염량 및 역학적 변수 (Prevalence, Worm Burden and Other Epidemiological Parameters of Ascaris lumbricoides Infection in Rural Communities in Korea)

  • 채종일;금구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241-246
    • /
    • 1985
  • 우리나라 8개 농촌지역의 회충 감염율, 감염 량 및 기초산란율(basic reproductive rate)등 역학적 변수의 상관관계를 관찰함으로써 우리나라 회충감염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들 감염율, 감염량 등은 대변검사는 물론 pyrantel pamoate투여후 충체 회수결과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조사지역의 충체양성률(감염율)은 16.5~79.5%의 범위에 있었고 이것은 대변검사에 의한 충란양성률 3.3~66.7%보다 9~18%가 높은 수치이었다. 조사대상 주민의 평균 회충 감염량은 지역에 따라 0.21에서 8.44로 나타났고 개인별 감염량 분포는 'k'치가 0.38~0.54인 부이항분포(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를 보였다. 2. 이 조사에서 나타난 충체양성률은 Anderson과 May의 수식 $p=1-(1+M^{*}/k)^{-k}$ (p : 충체양성률, $M^*$ : 평형상태의 평균 감염량)에 의해 구한 이론치와 거의 일치하여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회충감염률과 감염량의 상관관계는 이 수식에 의해 매우 정확히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또 회충 암컷 1마리가 평생 산출하는 무수한 충란중 다음 숙주에 성공적으로 감염되고 성숙되는 암컷의 수를 표시하는 기초산란을(R)은 지역에 따라 1.03에서 2.11까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R'치가 1에 가까운 지역은 역학적으로 재감염의 breakpoin떼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므로 회충 박멸이 매우 희망적이지만 전국적으로 'R'치가 1이하로 될 때까지 우리나라 회충관리사업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희귀수종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의 삽목증식 (Propagation of Cutting Method of a Rare Endemic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in Korea)

  • 송정호;장경환;허성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8-373
    • /
    • 2010
  •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는 누워서 자라는 상록침엽관목으로 수고 60 cm까지 성장한다. 지리적으로는 동북아시아에 한정되어 분포하는 수종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고산지대의 산정부근에서만 극히 일부 자생하여 멸종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위기종(Endangered species)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본 연구는 희귀수종 눈향나무의 유전자원보존을 위한 삽목증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시기 및 발근촉진제의 종류별 농도에 따른 발근특성을 조사하였다. 삽목 발근율은 삽목시기와 발근촉진제의 종류 및 농도에서 각각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삽목은 8월보다 5월이 적정한 시기로 판단되었으며, 발근율과 발근특성을 고려한 발근촉진제의 종류 및 농도는 IBA 1000 $mgL^{-1}$ 처리하는 것이 발근율 36.4%(무처리 30.4%)로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삽수의 발근에 따른 뿌리의 수, 길이 및 굵기에 대한 특성에서는 모두 발근촉진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