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diets

검색결과 3,713건 처리시간 0.031초

Bacillus sp. Mk22의 섭취가 Penaeus monodon 새우의 성장증진과 Vibrio parahaemolyticus와 흰반점바이러스(WSSV)의 감염 감소에 미치는 영향 (Growth Enhancement of Shrimp and Reduction of Shrimp Infection by Vibrio parahaemolyticus and White Spot Syndrome Virus with Dietary Administration of Bacillus sp. Mk22)

  • 세카르 아쇼크쿠마;파크얌 마야브;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1-26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호염성 세균 Bacillus sp. Mk22를 사료에 섞어 투여함으로써 Penaeus monodon 새우의 성장증진과 Vibrio parahaemolyticus 와 흰반점바이러스(WSSV)의 감염 감소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새우는 45일 동안 3가지 먹이를 공급하였 는데, 무첨가(대조구), 시판 프로바이오틱, 그리고 Bacillus sp. Mk22이었다. 호염성세균 Mk22를 투여한 새우들은 다른 그룹들의 새우들보다 성장(7.1 ± 0.21 g), 생존율(94.3 ± 0.58%), 체중증가(178 ± 4.93 g), 그리고 감소된 사료전환효율(0.8 ± 0.03 g)을 보였다. Bacillus sp. Mk22를 투여한 새우들은 다른 그룹의 새우들보다 새우배양 수조안에서 낮은 비브리오 수자(0.02 ± 0.01 × 102 CFU/ml)를 보였다. 이 세 그룹의 새우들을 비브리오나 WSSV로 공격감염을 하였다. 비브리오 감영에서는, 시판 프로바이오틱그룹과 Mk22 그룹에서 배양수조의 물 감염과 경구투여감염에서 치사 새우가 없었다. WSSV 감염에 대해서는, Mk22 그룹의 경우 새우배양 수조 감염에서는 68%의 생존율과 경구투여 감염에서는 20% 생존율이 45일째에 관찰되었고, 대조구와 시판 프로바이오틱 그룹에서는 모두 훨씬 빠른 시간 내에 100% 사망률을 보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표지인,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 활성은 비브리오와 WSSV 감염된 Mk22 그룹 모두에서 다른 그룹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사실은 Bacillus sp. Mk22는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었고, 이는 감소된 감염효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Red Deer(Cervus elaphus)의 녹용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on Velvet Antler Production in Red Deer(Cervus elaphus))

  • 전병태;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77-584
    • /
    • 2003
  • 본 연구는 급여사료의 단백질 수준과 고단백질 사료의 급여시기가 레드디어의 녹용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급여사료의 단백질 수준을 13%(LL구)와 19%(HH구)로 달리하였으며 또한 단백질 함량 19%의 사료 급여시기를 각각 낙각 전(HH구)과 낙각 시점(LH구)으로 달리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했다. 녹용의 주간 둘레는 상대, 중대 및 하대 부위의 둘레를 합산한 평균치로서 1998년과 1999년의 실험 모두 HH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나머지 두 처리구와의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녹용의 주간 길이 역시 2년간의 실험에서 모두 HH구가 가장 길었고 LH구가 가장 짧았으나 유의성(P>0.05)은 인정되지 않았다. 급여사료의 단백질 수준에 따른 처리간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녹용의 주간 둘레와 길이는 각각 녹용생산에 밀접한(P<0.01)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용생산성에 있어서는 1998년의 경우 HH구가 평균 2,600$\pm$1,000g으로서 가장 높았고 LH구가 2,287$\pm$826g으로 가장 낮은 생산성을 나타냈으나 처리간의 유의성(P>0.05)은 인정되지 않았다. 1999년의 실험에서도 HH구가 평균 3,038 $\pm$867g으로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으며 LH구가 2,739$\pm$1,079g으로 가장 낮은 생산성을 나타냈으나 역시 처리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일당 녹용생산량은 1998년의 경우 HH구가 43$\pm$16g으로 가장 높았고 LH구가 38$\pm$15g으로 가장 낮았으나 처리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1999년의 실험에서도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쑥분말 급여가 이유자돈의 생산성과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Powder Supplementation on Growing Performance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Weanling Pig)

  • 김영민;김재황;김삼철;이문도;신재형;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51-558
    • /
    • 2003
  • 본 시험은 쑥(Artemisia montana Pampan) 분말을 이유자돈 사료에 0%, 0.5%, 1.0% 및 2.0% 수준으로 대체하여 급여할 경우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영양소 소화율 및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과 적정 첨가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4처리, 4반복, 반복당 7두로서 총 112두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0${\sim}$14일령 동안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15${\sim}$28일령 동안의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처리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1.0% 첨가구가 증가하였고(P<0.05) 쑥분말 0.5% 첨가구와 2.0% 첨가구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만 나타냈다. 한편, 전 기간 동안의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사료섭취량은 모든 쑥분말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사료요구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건물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쑥분말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조단백질 소화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에서 증가(P<0.05), 인 소화율은 쑥분말 2.0% 첨가구에서 증가(P<0.05)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와 인 배설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2.0%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P〈0.05) 쑥분말 0.5% 첨가구와 1.0% 첨가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만을 나타냈다.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있어서 $NH_3$ 발생량은 48시간 발효시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쑥분말 첨가구들에서 뚜렷하게 감소하였고(P<0.05) $H_2S$ 발생량은 전반적으로 쑥분말 첨가구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유자돈 사료에 쑥분말을 1.0${\sim}$2.0%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하는 것이 생산성 향상과 유해가스 발생량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배양산삼 분말 및 그 발효산삼배양액 분말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ultured Wild-ginseng Powder or its Fermented Culture By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Parameters in Finishing Pigs)

  • 박준철;김영화;정현정;이성대;장해동;김인철;이상진;이재정;이찬호;이상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19-826
    • /
    • 2006
  • 본 시험은 발효산삼배양액 분말 및 배양산삼 분말 급여에 따른 돼지 생산성과 혈액, 도체 및 육질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동물은 2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 육성비육돈 36두를 공시하였으며, 개시체중은 65.81±2.02kg 이였다. 시험사료는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설정하였고, 처리구 1(T1)은 기초사료의 lupin 2.5%를 발효산삼배양액 분말로 배합하였고, 처리구 2(T2)는 기초사료의 lupin 0.2%를 배양산삼 분말로 배합하였다. 시험구는 암수 동일한 비율로 각 처리구당 4마리씩 3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생산성에서 일당 증체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인 T1과 T2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혈장의 생화학적 조성에서 total protein은 T1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Blood urea nitrogen은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Glucose와 albumin은 T1이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alcium은 T1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inorganic phosphate는 T1이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혈장의 지질 구성물의 조성에 있어서 triglyceride는 T1이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Total cholesterol은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HDL cholesterol은 T1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도체 및 육질 특성에서 도체중량, 도체율, 정육율, 등지방두께는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고기내 수분과 조지방도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발효산삼배양액 분말 및 배양산삼 분말 급여는 돼지의 생산성, 도체 및 육질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혈장의 구성물질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이용한 발효산삼배양액 분말 및 배양산삼 분말은 돼지 사료 원료로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료급원과 급여기간이 Charolais 거세우 근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and Time on Feed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Muscle of Charolais Steers)

  • 최낙진;강수원;권응기;조원모;전병수;박병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47-860
    • /
    • 2006
  • 본 시험은 n-6 및 n-3 계열 다중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풍부한 사료원을 Charolais 거세우에게 각각 사료 급여기간을 달리하여 급여하였을 때 근내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수행은 영국 IGER (Institute of Grassland and Environmental Research) 연구소 육우 사양실험실에서 실시 하였으며, 공시축은 총 28두 Charolais 거세우로서 ad libitum으로 조사료 급여를 하였다. 그리고, 두 개의 지방원료원으로서 C18:2 n-6 함량이 풍부한 대두와 C18:3 n-3함량이 풍부한 아마종실을 60일 및 90일간 공급하였으며, 농후사료는 총 건물섭취의 73%으로 하였다. 도체중, conformation 및 fatness score는 60일 사료급여구와 비교하여 90일 사료급여구에서 높게 조사되었다(P<0.05). 공시축의 m. longissimus thoracis의 중성지방내 총지방산 함량은 지방원료원에 의한 영향은 없었지만, 반면에 인지질 내 총지방산 함량은 아마종실 급여구에 대략 15% 높게 나타났다(P<0.05). 근육 중성지방 내 C18:3 n-3와 cis-9, trans-11 CLA 함량은 아마종실급여구에 유의성있게 높게 조사되었으며(P<0.001), 반면에 C18:2 n-6 함량은 대두 급여구에서 높았다 (P<0.001). 근육 인지질 내 CLA와 C18:3 함량은 아마종실급여구에 높게 나타났으며, C18:2 n-6 함량은 대두 급여구에 높았다. 한편, 근육 중성지방 내 C14:0, C16:0, C16:1, CLA, C18:1 n-9, C18:2 n-6 및 C18:3 n-3 함량은 90일 사료급여구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근내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사료급여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C18:2 n-6:C18:3 n-3 비율과 n-6:n-3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아마종실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험은 대두 혹은 아마종실 같은 사료급여와 급여기간에 의하여 쇠고기 근내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변화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아마종실 급여는 쇠고기 내 지방산 함량이 조성이 인체 건강과 관련한 영양적 지표에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유자돈에 있어 대두유, 우지 및 코코넛 오일의 첨가가 생산성, 혈청 지질변화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ybean Oil, Tallow and Coconut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erum Lipid Change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Weaned Pigs)

  • 조진호;김해진;진영걸;유종상;민병준;김진동[;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33-40
    • /
    • 2007
  • 본 연구는 이유자돈에 있어 대두유, 대두유와 우지의 혼합 급여 및 대두유와 코코넛유의 혼합급여가 생산성, 혈청 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등지방 두께, 정육율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개시시 체중 6.92±0.01kg 인 3원 교잡종 [(Yorkshire×Landrace)×Duroc] 자돈 120두를 공시하여 35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일반대두유 5%를 함유한 처리구(CON), 일반대두유 4.5%와 우지 0.5%를 함유한 처리구 (T0.5), 일반대두유 4.5%와 코코넛유 0.5%를 함유한 처리구(C0.5) 및 일반대두유 4%와 코코넛유 1.0%를 함유한 처리구(C1.0)의 4 처리를 하여 처리당 6반복, 반복당 5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이유자돈의 생산성에 있어서는 14~35일과 전체 시험기간 동안 일당증체량 및 일당사료섭취량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대두유와 코코넛유를 혼합급여한 처리구가 대두유와 우지를 혼합급여한 T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개시시, 14일 후, 35일 후(종료시)에 측정한 등지방 두께 및 정육율의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 개시 14일 후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C1.0구가 C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동맥경화지수에 있어서는 C0.5구가 T0.5 및 C1.0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시험 종료시(35일) 지방소화율에서는 C1.0구가 T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이유자돈 사료 내 대두유와 코코넛 오일의 혼합급여는 대두유와 우지의 혼합급여와 비교하였을 때 사료효율 및 지방소화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 첨가가 거세한우의 도체특성과 CLA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Rice Bran and Roasted Soybean in the Diet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CLA in Hanwoo Steers)

  • 김성일;이광호;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435-442
    • /
    • 2013
  • 본 연구는 비육후기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가 거세한 우의 도체특성과 CLA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평균 20.92 개월령 (평균체중 599.89 kg)의 거세한우 36두를 대조구, 미강 첨가구 및 볶은대두 첨가구로 나누고 각각의 처리구는 12두씩 체중과 월령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 수준은 시험사료 내 조지방 함량을 5%로 설정하고, 조지방 부족분을 각각의 첨가원료 (미강과 볶은 대두)로부터 보충 되도록 설계하여 314일 동안 비육시험을 실시하였다. 종료 시 체중은 대조구, 미강 첨가구 및 볶은대두 첨가구가 각각 754.58, 783.33 및 755.67 kg으로 나타났다. 일당증체량은 미강 첨가구 (0.57 kg), 볶은대두 첨가구 (0.50 kg) 및 대조구 (0.50 kg) 순으로 나타났으나,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요구율의 경우 미강 첨가구가 대조구와 볶은대두 첨가구에 비하여 각각 14.5%와 12.8%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의 육량형질과 육질형질은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육질등급 $1^{{+}{+}}$ 등급 출현율은 볶은대두 첨가구 (50.0%)가 대조구 (33.33%)와 미강 첨가구 (25.0%)에 비하여 높은 출현율을 보였으며, $1^+$ 이상 등급 출현율에서도 볶은대두 첨가구 (75.0%)가 미강 첨가구 (66.67%)와 대조구 (41.66%)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 부위별 c9, t11 CLA는 신장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 (0.21%)가 미강 첨가구 (0.15%)와 대조구 (0.16%)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등심지방의 경우에도 볶은대두 첨가구 (0.21%)가 대조구 (0.16%)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 부위별 t10, c12 CLA 함량은 등심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TVA 함량은 신장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 (2.56%)가 대조구 (2.27%)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피하 및 등심지방의 TVA 함량은 볶은대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15.09와 6.92% 증가되었지만,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거세한우의 비육후기에 미강의 첨가는 사료요구율이 개선되었고, 볶은대두의 첨가는 도체등심 내 CLA 함량이 증가되었다.

콜레스테롤 식이가 Pcsk9 유전자 조절을 통해 남성 생식기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holesterol on Male Reproductive Tracts by Regulating PCSK9 Gene)

  • 임화선;배효철;송권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3-118
    • /
    • 2016
  •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PCSK9) 유전자는 주로 간에서 분비되며 저밀도지단백질 수용체(LDLR)와 결합체를 이루어 세포 내 저밀도지단백질 수용체를 약화시킴에 따라 저밀도지단백질(LDL) 흡수를 감소시킨다. PCSK9은 심혈관 질환 및 상염색체 우성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깊은 연관성을 나타내며 발병 메커니즘을 조절하는 주요한 인자로서 치료제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생식계통 내에서 PCSK9의 발현 및 기능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 콜레스테롤 식이에 따라 수컷 랫드의 생식기관 (음경, 전립선, 정소) 내 Pcsk9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과도한 콜레스테롤의 축적으로 인한 이상지질혈증은 수컷 랫드의 생식기능장애와 내분비교란을 유발하지만 이를 일으키는 조절 인자와 메커니즘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진의 선행연구에서는 고 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혈중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레벨이 증가 및 고밀도지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 후, Pcsk9의 mRNA 발현은 음경 조직 내에서 8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발현은 주로 발기 조직인 음경해면체 및 요도해면체 내 요도상피세포에서 주를 이룸을 확인하였다. 또한 Pcsk9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립선 비대증 조직 내에서 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Pcsk9은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의 정소 조직내에서 정상 정소 조직에 비해 약 28% 감소하였으며 정자발생에 주요한 정세관 내 정원세포, 정모세포, 정세포에서 그 발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Pcsk9 유전자가 수컷 랫드 생식기관 (음경, 전립선, 정소)에서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Pcsk9이 남성 생식기관의 성장 및 발달 메커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알곡과 속대 추출물을 첨가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가 흰쥐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ekso 2 Corn Kernels and Cob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 이기연;김재은;홍수영;김태희;노희선;김시창;박종열;안문섭;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399-405
    • /
    • 2016
  •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한 식이를 2주간 급여한 결과,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 첨가로 인한 식이섭취량 감소효과는 없었으며 체중 증가율은 대조군(C)대비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식이효율에서는 처리군(T3)을 제외하고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장기중량은 실험군 간의 체중 당 신장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체중 당 간 무게는 대조군(C)이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처리군(T2)가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전체 실험군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군(T2)이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낮았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군(T2)이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대조군(C)의 간 조직 내 MDA 함량이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처리군 T3와 T4가 대조군(C) 대비 간 조직 내 MDA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대조군(C)의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모든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 처리군(T1~T4)의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돈 및 육성돈에 있어 α-1,6-galactosidase와 β-1,4-mannanase의 사료내 첨가가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α-1,6-Galactosidase and β-1,4-Mannan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Nursery and Growing Pigs)

  • 권오석;김인호;이상환;홍종욱;김지훈;문태현;이지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11-218
    • /
    • 2003
  • 본 연구는 양돈사료내 대두박 항영양인자인 $\alpha$-galactosides와 galatomannan의 분해를 유도하는 $\alpha$-1,6-galactosidase와 $\beta$-1,4-mannanase의 사료내 첨가가 자돈 및 육성돈의 성장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1은 개시시 체중 10.57$\pm$0.30kg의 3원 교잡종 자돈 6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설계는 옥수수-건조유청-대두박 위주의 사료에 NRC (1998)의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처리한 대조구 (CON), 대조구 사료내 복합효소제를 0.1% 첨가한 처리구로 하였다. 사양시험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EC0.1 처리구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EC0.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P<0.05).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시험 2는 개시시 체중 22.30$\pm$0.45kg의 3원 교잡종 육성돈 36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에 NRC (1998)의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처리한 대조구 (AME, adequate ME diet), 대조구 사료내 복합효소제를 0.1% 첨가한 처리구 (AME+EC0.1, Adequate ME diet+ 0.1% 복합효소제), 대조구 사료에서 대사에너지 함량을 4% 낮춘 사료에 복합효소제를 0.1% 첨가한 처리구 (LME+EC0.1, Low ME diet + 0.1% 복합효소제)로 하였다. 총 30일간의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AME 처리구와 비교하여 복합효소제 처리구가 유의적인 성장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건물 및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AME 처리구와 비교하여 복합효소제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P<0.05). 결론적으로, 자돈 및 육성돈 사료에 복합효소제의 첨가는 성장능력 및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