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mmercial green tea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Classification of Korean Green Tea Products Based on Chemical Components

  • Chun Jong Un;Choi Jeong;Lim Keun-Cheol;Kim Yong-G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95-299
    • /
    • 2004
  • The prices of domestic green tea products are relatively expensive and price differences within products of the same levels of quality are various. Also, there is no basic criteria on evaluation of green tea quality. To group 43 commercial green tea products into several part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d cluster analyses, this work was done by use of 8 chemical constituents which were analyzed by NIR system. The principal component and cluster analyses revealed 8 groups. The first group included 16 products that had low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The second group included 5 products having high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but lower ash contents. The third group included 13 products showing medium values of 8 constituents. The IV group included 4 products having higher contents of moisture, free amino acids, and theanine. The V group included 1 product showing higher moisture but lower catechins contents. The VI group included 2 products that had higher moisture and catechins contents, but low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The VII group had higher moisture and catechins contents. The VIII group had higher ash and vitamin C content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in flavor evaluation of green tea quality did highly positively correlate with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0.956^{**}),\;theanine\;(0.981^{**}),\;and\;caffeine\;(0.793^{**})$, but negatively with the contents of ash $(-0.884^{**})$. The catechins used as for functional ingredients did correlate with contents of caffeine(+) and vitamin C(-), respectively.

동결건조 미역 된장 블록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eze Dried Soybean Paste Block with Sea Mustard)

  • 정복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8-323
    • /
    • 2003
  • 본 연구는 미역과 된장, 멸치 엑기스, 다시마 엑기스, 바지락 엑기스, 파, 감자, 양파가루, 마늘가루를 이용하여 1조각이 1인분이 되도록 블록을 만들어 동결 건조시킨 후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의 경우 제품 100 g당 조 단백의 경우 녹차 미역 된장제품에 비하여 일반 미역 된장제품의 단백질 함량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일반 제품이 녹차 제품보다 1% 정도 함량이 많았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일반 미역 된장제품보다 녹차 미역 된장제품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일반 미역 된장 제품이 녹차제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구성에서 두 제품 모두 많은 양을 나타낸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 hydroxyprol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Iysine 등이었으며, 대부분이 일반 미역 된장제품에 비하여 녹차 미역 된장제품의 아미노산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의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단일 불포화지방산과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두 제품간의 차이가 별로 없었으며, 포화지방산중에서는 palmit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일불포화 지방산은 oleic acid,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제품의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26:74로, 불포화지방산은 단일불포화지방산에 비해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두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미역 된장제품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낸 유기산은 oxalic acid, 다음으로 tartaric acid였으며, 대부분 녹차제품의 유기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맛, 색,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냄새의 경우 일반 시판 된장제품이 녹차제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제품의 개발로 바쁜 현대인들 특히 맞벌이, 독신자들에게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면서 간편한 방법으로 미역 된장국을 끓여 먹을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 시판되는 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카테킨 함량과 항산화능 비교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Capacities and Catechin Contents of Korean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s)

  • 이민준;권대중;박옥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9-453
    • /
    • 2007
  • Using green tea(GT), oolong tea(OT), black tea(BT) and green tea bag(GTB) out of tea products in market, this study quantified polyphenol and catechins as anti-oxidant substances and analyzed their respective anti-oxidant capacities. As a result, more epigallocathechin(EGC) was found in GT and GTB as well as caffein(CAF) in GT and BT. GT contained more epigallocathechin gallate(EGCG) than other tea types. Both FRAP and ORAC, as two methods of analyzing anti-oxidant capacities, showed that GTB had highest anti-oxidant capacities, while OT had lowest of all. By brand, it was found that all the 3 brands of GT had similarly high anti-oxidant capaciti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TB and BT depending on brand. Out of catechin components, it was found that epicatechin(EC), epicathechin gallate(ECG) and EGCG were major components affecting anti-oxidant capacities.

침출 조건에 따른 녹차 추출물의 성분 조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under the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최혜자;이우승;황선주;이인중;신동현;김학윤;김길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2-209
    • /
    • 2000
  • The factors affecting chemical composition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during extraction process were temperatures and times.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measured in relation to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from water extract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under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50, 70, 9$0^{\circ}C$) and extraction times (1, 3, 5 minute). The change of color intensity during browning reaction, flavonoid components,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y (reducing activity for $\alpha$, $\alpha$'-diphenyl-$\beta$ -picryhydrazyl) of water extracts form green tea increased as extraction temperatures increased from 50 to 9$0^{\circ}C$ and extraction times prolonged from 1 to 5 min. The contents of important free sugars such as sucrose and glucose slightly increased as the extraction time was prolonged, while little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fructose with the prolonged extraction time. Catechins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ommercial steamed green tea were increased at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extraction time. Epigallocatechin (EGC) extracted from 9$0^{\circ}C$ (extraction time 5 min). presented 99.9 mg/g in highest composition of catechin followed by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epicatechin (EC), epicatechin gallate (ECg). The content of vitamin C extracted from green tea was increased about 2 times as the extraction temperature increased from 50 to 9$0^{\circ}C$ and as the extraction time increased from 1 to 5 min. with exception at 9$0^{\circ}C$(extraction time:5 min) which showed less vitamin C content than 7$0^{\circ}C$(extraction time : 3 min) probably due to possible destruction of vitamin C by high temperature.

  • PDF

녹차 카테킨류의 pH에 대한 안정성 연구 (Effect of pH on the Stability of Green tea Catechins)

  • 박영현;원은경;손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7-123
    • /
    • 2002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녹차중의 catechin류에 대하여 열수추출 및 HPLC분석을 통하여 함량을 조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pH조건이 녹차 catechin류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시판 중인 전남 보성산 녹차의 catechin류 함량은 (+)-catechin>(-)-EGCg>(-)-EGC>(-)-EC>(-)-ECg순으로 추출되었고 Total catechin류의 함량은 103.72mg/g이었다. 녹차에서 분리·정제되어진 catechin류인 (+)-catechin, (-)-EC, (-)-ECg, (-)-EGCg를 pH 3∼11에 대한 안정성을 흡광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techin류의 pH에 대한 영향을 최대흡수파장 및 흡광도 변화로 보면 pH가 높을수록 (+)-catechin과 (-)-EC은 흡광도가 증가되었고 (-)-ECg와 (-)-EGCg는 최대흡수파장이 증가되었다. 또한 7일간 실온에서 저장하면서 기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 산성조건에서는 큰 변화가 없지만 알칼리조건에서는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catechin과 (-)-EC은 알칼리조건에서 흡수파장 400∼430 nm에서 저장기간이 길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이는 녹차의 갈변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녹차 Catechin유도체의 pH 및 저장기간에 대한 영향은 ECg, EGCg에 gallic acid의 결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C, EC의 불안정은 중합반응으로 생각된다. 녹차 catechin류는 대부분 산성에서 저장기간이 길고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리활성이 강한 (-)-EGCg는 산성에서도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차의 기능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pH를 낮게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전자빔 조사가 녹차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 박지희;이정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74-779
    • /
    • 2006
  • 시판되고 있는 녹차잎을 polyethylene 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전자빔을 $0{\sim}30\;kGy$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녹차잎을 $75^{\circ}C$의 물에서 10분간 추출하여 녹차를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자빔 조사는 녹차의 총 페놀 함량(TPC), 총 플라바놀 함량(TFC), 아스코르브산 함량(AAC)을 감소시켰다. 20 kGy의 전자빔 조사는 녹차의 TPC, TFC, AAC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23.46, 32.50, 6.03 mg/g에서 202.88, 31.16, 5.57 mg/g으로 감소시켰다. 전자빔 조사는 또한 카테킨, 카페인, 아질산염 소거능도 감소시켰다. 그러나 전체적인 색도 및 라디칼 소거능은 전자빔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음용 조건으로 추출한 티백 형태 순수 녹차의 카테킨 함량 및 산화방지능 (Effects of commonly used infusion method on catechin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pure green tea packaged in tea bags)

  • 김미선;라찬수;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6-360
    • /
    • 2019
  • 국내외 티백 녹차 10종을 $70^{\circ}C$의 생수 150 mL에 2분간 음용 조건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산화방지능, 카페인 및 카테킨 4종을 정량 분석하였다. 10종의 티백 녹차의 총페놀 함량은 46.3-93.9 mg GAE/g,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3-21.7 mg CE/g, DPPH법과 ABTS법을 이용한 산화방지능은 각각 88.8-175.6 mg VCE/g과 87.9-183.5 mg VCE/g이었다. HPLC를 이용한 정량 분석에서 카페인 함량은 9.3-24.0 mg/g, 총카테킨 함량은 33.8-74.7 mg/g이었다. 총카테킨 함량을 녹차 추출 용액 한잔(150 mL)으로 환산했을 때, 건강기능식품 고시형 기능성 원료인 녹차추출물의 기준 및 규격을 고려치 않는 가정 하에 녹차 티백 3.8-12.5잔을 마시면 카테킨 일일섭취량(300-1,000 mg)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시판 잎차 형태 녹차의 이화학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oose-leaf Green Tea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 이란숙;김상희;박종대;김영붕;김영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9-424
    • /
    • 2015
  • 제주, 보성, 하동산 차엽의 우전, 세작, 중작 및 대작 상품명을 쓰고 있는 시판 잎 녹차의 색은 녹차 등급이 높을수록 즉 채엽시기가 빠를수록 L값과 녹색도인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산 녹차가 보성 및 하동산 녹차에 비해 L값과 b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테킨 분석 결과 EGC 함량은 차엽 산지에 관계없이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GCg, ECg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카테킨류 중 EGCg 함량이 95.39-116.25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보성산 녹차가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모든 차엽에서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제주산 우전의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각각 33.43, 17.84, 20.84 mg/g으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산화방지 활성은 측정방법에 상관없이 등급이 높은 우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 및 하동산 녹차의 경우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보성산 녹차는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녹차의 주요 산화방지 성분인 개별 카테킨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DPPH 활성은 EGCg, ECg 및 총카테킨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BTS 활성은 EGC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 그리고 카테킨, GCg 및 ECg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茶) 제조중(製造中)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의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 (Chemical Change of Major Tea Constituents during Tea Manufacture)

  • 김창목;최진호;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04
    • /
    • 1983
  • 1982년(年) 8월(月) 장성지방에서 수휴(收携)한 차엽(茶葉)으로 전통적(傳統的)인 볶음차(茶) 제조방법(製造方法)과 상업적(商業的) 제조방법(製造方法)에 따라 각각(各各) 녹차(綠茶)와 홍차(紅茶)를 제조(製造)하고 생엽(生葉)과 녹차(綠茶), 홍차(紅茶)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인 tannin, caffeine 총(總)아미노산 유리당(遊離糖)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측정(測定),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엽(紅葉)의 tannin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1.79%, 12.03%, 7.89%, 3.43%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에서는 2% 증가(增加)하였고, 홍차(紅茶)에서는 56.5%가 감소(減少)하였다. 2.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의 caffeine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2.05%, 2.58%, 1.63%, 1.58%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에서는 25.9% 증가(增加)하였고, 홍차(紅茶)에서는 3.1% 감소(減少)하였다. 3.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 의 총유리당(總遊離糖)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15.78mg/g, 25.19mg/g, 120.72mg/g, 28.18mg/g 으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와 홍차(紅茶)에서 각각(各各) 78.2%, 76.7% 감소(減少)하였다. 4.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의 총(總) 아미노산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279.59mg/g, 206.52mg/g, 120.54mg/g, 97.84mg/g으로 제조(製造) 후(後) 녹차(綠茶)와 홍차(紅茶)에서 각각(各各) 26.1%, 18.8% 감소(減少)하였다.

  • PDF

음용 차의 항우식 효과 (Anticariogenic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Tea)

  • 정일용;이주영;김미아;이대우;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37-44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일상적으로 마시는 서로 다른 네 종류의 차 티백을 이용하여 차가운 생수나 뜨거운 생수로 5분 또는 10분 동안 우려내는 일상적인 방법으로 차를 추출하였을 때 각각의 추출물이 Streptococcus mutans 세균막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균주는 S. mutans UA 159를 이용하였고 1%의 sucrose와 각각의 차 추출물을 웰 플레이트에 넣고 배양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세균막 형성을 비교 했을 때 녹차와 홍차에서 추출 온도가 높을 때 세균막 형성이 적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추출 시간을 달리 하고 $72^{\circ}C$ 온수로 많은 양을 추출 했을 경우 세균막 형성을 비교 했을 때는 네 종류 차 모두 추출 시간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추출량에 따른 비교에서는 녹차와 홍차의 경우 같은 시간, 같은 온도로 추출하였을 때 추출량이 적다면 오히려 세균막 성장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