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H on the Stability of Green tea Catechins

녹차 카테킨류의 pH에 대한 안정성 연구

  • 박영현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 원은경 (연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
  • 손동주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The five main green tea catechin components such as (+)-catechin,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from commercial green tea by HPLC. Amounts of catechin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 (+)-catechin > (-)-epigallo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the following green tea catechins to pH in the range from 3 to 11 was studied using of ultraviolet spectroscopy :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reen tea catechins were not stable at high pH and that the pH-, and time-dependent spectral alternatives were not reversible In conclusion, low pH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green tea catechins.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녹차중의 catechin류에 대하여 열수추출 및 HPLC분석을 통하여 함량을 조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pH조건이 녹차 catechin류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시판 중인 전남 보성산 녹차의 catechin류 함량은 (+)-catechin>(-)-EGCg>(-)-EGC>(-)-EC>(-)-ECg순으로 추출되었고 Total catechin류의 함량은 103.72mg/g이었다. 녹차에서 분리·정제되어진 catechin류인 (+)-catechin, (-)-EC, (-)-ECg, (-)-EGCg를 pH 3∼11에 대한 안정성을 흡광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techin류의 pH에 대한 영향을 최대흡수파장 및 흡광도 변화로 보면 pH가 높을수록 (+)-catechin과 (-)-EC은 흡광도가 증가되었고 (-)-ECg와 (-)-EGCg는 최대흡수파장이 증가되었다. 또한 7일간 실온에서 저장하면서 기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 산성조건에서는 큰 변화가 없지만 알칼리조건에서는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catechin과 (-)-EC은 알칼리조건에서 흡수파장 400∼430 nm에서 저장기간이 길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이는 녹차의 갈변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녹차 Catechin유도체의 pH 및 저장기간에 대한 영향은 ECg, EGCg에 gallic acid의 결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C, EC의 불안정은 중합반응으로 생각된다. 녹차 catechin류는 대부분 산성에서 저장기간이 길고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리활성이 강한 (-)-EGCg는 산성에서도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차의 기능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pH를 낮게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희, 박종대, 이란숙, 한대석 : 침출수의 pH가 녹차 침출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1, 1024-128(1999)
  2. 여생규, 안철우, 이용우, 이태기, 영호, 김선봉 :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4, 299-304(1995)
  3. 최성희, 이병호, 최홍대 : 시판 녹차중 카테킨의 함량 분석,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1, 386-389(1992)
  4. 박춘옥, 진성현, 류병호 : 사람의 Low Density Lipoprotein에 대한 녹차의 항산화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8, 850-858(1996)
  5. Graham, H.N. :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Prev. Med., 21, 334-350(1992) https://doi.org/10.1016/0091-7435(92)90041-F
  6. 원은경 : 고콜레스테롤 섭취토끼의 혈소판 활성화에 관한 녹차의 영향,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0)
  7. 이주원, 신효선 : 녹차 물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5, 759-763(1993)
  8. 김영숙, 정연화, 전순실, 김무남 : 온도와 수분활성을 달리한 녹차 저장중의 비효소적 갈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7, 226-232(1988)
  9. 김성수, 이미경, 한 억, 오상룡, 이성우 : 녹차생엽의 자숙 및 튀김에 의한 화학성분 변화, 한국식문화학회지, 5, 229-233(1990)
  10. Mendel Friedman and Hella S. Jurgens : ESect of pH on the Stability of Plant Pheno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8, 2101-2110(2000) https://doi.org/10.1021/jf990489j
  11. 김상희, 박종대, 이란숙, 한대석 : 침출수의 pH가 녹차 침출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1, 1024-1028(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