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asthma patients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27초

만성폐질환자의 증상 경험과 삶의 질 - 기관지천식과 기관지확장증 환자를 중심으로 -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Bronchial Asthma and Bronchiectasis -)

  • 박순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70-478
    • /
    • 2002
  • Purpose: In this study,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QoL)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BA) and Bronchiectasis(BRC) were examined to develop nursing strategies. Method: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61 outpatients with BA and 43 outpatients with BRC in January and February, 2001.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8.0. Result: The mean scores of symptom experience were 11.3 and 10.8 in patients with BA and BRC,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QoL was 18.0 in patients with BA and 19.2 in patients with BRC.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the symptom experience according to sex and occupation in patients with BA, and to the religion and occupation in patients with BRC. The mean score of QoL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come in patients with BA, bu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s with BRC. The score of QoL ha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symptom experience in patients with BA(p=.000) and with BRC(p=.022). Conclusion: The degree of symptom experience negatively correlated with QoL. Therefore, symptoms experienced by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ment of nursing strategies for patients with BA and BRC.

  • PDF

기관지 천식의 연무흡입 폐환기스캔 소견 (Radioaerosol Inhalation Imaging in Bronchial Asthma)

  • 김범수;박영하;박정미;정명희;정수교;신경섭;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6-52
    • /
    • 1991
  • Radioaerosol inhalation imaging (RII) has been used in radionuclide pulmonary studies for the past 20 years. The method is well accepted for assessing regional ventilation because of its usefulness, easy fabrication and simple application system. To evaluate its clinical utility in the study of impaired regional ventilation in bronchial asthma, we obtained and analysed RIIs in 31 patients (16 women and 15 men; age ranging 21-76 years) with typical bronchial asthma at the Department of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January, 1988 to August, 1989. Scintiscans were obtained with radioaerosol produced by a BARC(Bhabha Atomic Reserch Center, India) nebulizer with 15 mCi of $^{99m}Tc-phytate$. The scanning was peformed in anterior, posterior and lateral projections following 5-minute inhalation of radioaerosol on sitting position. The scans were analyzed and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pulmonary function study and the findings of chest radiography. Fifteen patients had concomitant lung perfusion image with $^{99m}Tc-MAA$. Follow-up scans were obtained in 5 patients after bronchodilator therap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1) attack type (4 patients), (2) resistant type (5 patients), (3) remittent type (10 patients) and (4) bronchitic type (12 patients). Chest radiography showed hyperinflation, altered pulmonary vascularity, thickening of the bronchial wall and accentuation of basal interstitial markings in 26 of the 31 patients. Chest radiographs were norma! in the remaining 5 patients. Regardless of type, the findings of RII were basically the same, and characterized by the deposition of radioaerosol in the central parts or in the main respiratory air ways along with mottled nonsegmental ventilation defects in the periphery. Peripheral parenchymal defects were more extensive than that of expected findings from clinical symptoms, pulmonary function test and chest radiograph. Broomstick sign was present in 17 patients. The abnormality of RII was poorly correlated with perfusion scans. In all 5 patients treated with bronchodilators, follow-up study demonstrated a decrease in the degree of radioaerosol deposition in the central air way with improved ventilation defects. This study indicates that RII is a useful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regional ventilation abnormality and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bronchodilators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 PD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hihyo-san to Protect Respiratory Tissues from Asthmatic Damage

  • Cho, Ju-Hyung;NamGung, Uk;Kim, Dong-Hee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10-718
    • /
    • 2006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hyo-san (CHS) administration on asthma induced by Alum/OVA treatment in the mice. In CHS-treated animal group, lung weight, which was increased after asthma in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lung, peripheral lymph node (PLN) and spleen tiss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HS-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asthma control group. The number of immune cells including natural killer (NK) cells in asthmatic animals was largely regulated by CHS treatment, showing a similar pattern as that of CsA-treated positive control group. Levels of mRNAs encoding inflammatory cytokines IL-5, IL-13, $TNF-{\alpha}$, and eotaxin were determined by RT-PCR in the lung tissue and showed decreases in CHS-treated group to the similar levels of CsA-treated control group, Histamine level in the serum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S-treated group than asthma-induced control group. Both ha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results showed decreased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reduced immune cell infiltration, and normalized epithelial cell layering in the bronchial tissue of CHS-treated mouse group. Thu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HS may be useful for protecting bronchial tissues from consistent inflammatory damages that occur in asthma patients.

Short-term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on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Asthma: An Assessment of Effect Modification by Prior Allergic Disease History

  • Noh, Juhwan;Sohn, Jungwoo;Cho, Jaelim;Cho, Seong-Kyung;Choi, Yoon Jung;Kim, Changsoo;Shin, Dong Chu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9권5호
    • /
    • pp.329-341
    • /
    • 2016
  •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hort-term effect of ambient air pollution on emergency department (ED) visits in Seoul for asthma according to patients' prior history of allergic diseases. Methods: Data on ED visits from 2005 to 2009 were obtaine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o evaluate the risk of ED visits for asthma related to ambient air pollutants (carbon monoxide [CO], nitrogen dioxide [$NO_2$], ozone [$O_3$], sulfur dioxide [$SO_2$], and particulate matter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10{\mu}m$ [$PM_{10}$]), a generalized additive model with a Poisson distribution was used; a single-lag model and a cumulative-effect model (average concentration over the previous 1-7 days) were also explored. The percent increase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for each interquartile range (IQR) increment in the concentration of each air pollutant. Subgroup analyses were done by age, gender, the presence of allergic disease, and season. Results: A total of 33 751 asthma attack cases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trongest association was a 9.6% increase (95% CI, 6.9% to 12.3%) in the risk of ED visits for asthma per IQR increase in $O_3$ concentration. IQR changes in $NO_2$ and $PM_{10}$ concentrations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D visits in the cumulative lag 7 model. Among patients with a prior history of allergic rhinitis or atopic dermatitis, the risk of ED visits for asthma per IQR increase in $PM_{10}$ concentration was higher (3.9%; 95% CI, 1.2% to 6.7%) than in patients with no such history. Conclusions: Ambient air pollutan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D visits for asthma, especially among subjects with a prior history of allergic rhinitis or atopic dermatitis.

강남성모병원과 제주의료원 내원 환자의 간접 Latex 응집 반응에 의한 Toxoplasma 항체가 (Toxoplasma antibody titers by indirect latex agglutination test in patients of Kangnam St. Mary's Hospital and Cheju Medical Center)

  • 최원영;남호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3호
    • /
    • pp.171-176
    • /
    • 1989
  • 강남성모병원의 일반 내원 환자 1,019명, 내원 환자 중 천식으로 진단된 1,030명, 그리고 제주의료원에 내원 한 환자 780면 등 총 2,829명에 대하여 Toxoplasma 항체가를 측정하기 위해 간접 latex 응집반응을 실시하였다. 간접 latex 응집반응의 양성 항체가를 1 : 32로 볼 때, 강남성모병원 일반 내원 환자에서는 19명이 양성으로 1.86%(남자 550명 중 12면으로 2.18%, 여자 469명 중 7명으로 1.49%), 천식 혹은 알레르기 환자에서는 11명이 양성으로 1.07%(남자 470명 중 4명으로 0.85%, 여자 560명 중 7명으로 1.25%)이었으며, 제주의료원 내원환자 에서는 45명으로 5.77%(남자 530명 중 33명으로 6.23%, 여자 250명 중 12명으로 4.80%)이었다. 연령적 분포로는 강남성모병원 일반 환자와 제주의료원 내원 환자의 남자에서 50대에 높은 빈도를 보였고, 전체 여자에서는 일반적으로 30대, 40대 및 60대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양성 항체가를 보인 75명의 항체가별 분포로는 1 32가 32명으로 42.7%, 1 : 64가 21명으로 28.0%, 1 : 128이 8명으로 10.7%, 1 256이 6명으로 8.0%, 1 : 512가 3명으로 4.0%, 그리고 1 : 2,048 혹은 그 이상의 항체가를 보유한 사람은 5명으로 6.7%였다.

  • PDF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천식 증상의 정도에 따른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의 유전자 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beta_2$-Adrenergic Receptor in the Severity of Bronchial Asthma)

  • 심재정;김제형;이승룡;권영환;이소라;이상엽;강세용;강용구;조재연;인광호;원남희;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1호
    • /
    • pp.77-89
    • /
    • 1998
  • 서 론: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유전자에는 여러 종류의 다형성(polymorphism)가 존재하며, 천식 환자에서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의 대표적인 변이는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의 아미노산이 대치된 부분으로 Arg16-Gly, Gln27-Glu, Val34-Met 및 Thr164-Ile 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속적인 $\beta_2$ 교감신경 유도체의 자극에 대하여 세포표면으로 부터 세포내의 전달과정이 둔화되어 점차 세포전달이 없어질 수도 있는 desensitization 또는 수용체와 수가 감소하는 downregulation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식환자에서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의 desensitization 또는 downregulation 뿐만 아니라 천식 표현형과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논란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의 가장 흔한 16, 27, 34 및 164 의 아미노산에 해당하는 유전자의 다형성을 MASA (Mutated Allele Specific Amplification)법으로 시행하여 각각의 다형성의 발생 빈도와 천식의 심한 정도와 연관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는 천식 환자 103명이었으며, 이중 남자는 54명, 여자는 49명으로 평균 연령은 46.6세 (19~80세)였고 이환 기간은 4.7년이었다. 대상 환자는 경미하고 간헐적 증상을 보인 30명, 지속적인 경미한 천식 환자는 32명으로 경미한 천식은 모두 62명이었으며, 중등증의 천식 증상은 17명 및 중종의 천식증상을 보인 환자는 24명이었다. 이중 1년 중에 6개월 이상 전신적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환자는 39명이었으며, 투약 중에도 야간 발작이나 야간 기침이 발생되었던 환자는 44명이었다. 대상 환자로부터 10cc의 전혈구를 체취 하여 분리된 림파구에서 분리된 DNA를 이용하여 MASA 방법으로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16번, 27번, 34번 및 164번째 아미노산의 다형성을 검색하였고, 천식의 심한 정도 따른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의 분포와 야간 천식의 발작이나 증상의 유무에 따른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결 과: 16 번째 Arginine이 Glycine으로 변이는 heterozygous 변이가 67명, homozygous 변이가 13명으로 heterozygous 변이가 65.1%로 가장 많았다. 27번째 Glutamine이 Glutamate로 변이는 heterozygous만 11명으로 10.7%였으며, 34번째 Valine이 Methionine으로 변이를 일으키는 100번째 핵산의 경우도 heterozygous만 6명으로 5.8%였다. 27 번째와 34번째 아미노산의 변이를 일으키는 homozygous 변이와 164번째 아미노산의 변이는 대상 환자 중에는 없었다. 천식 증상의 심한 정도를 경종 및 중등증, 중중으로 2 구분하여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다형성의 발생빈도를 관찰한 결과 중증의 천식환자에서 16번째 아미노산의 변이의 빈도는 많았으나 (p=0.015), 27번, 34번 및 164번째의 아미노산의 변이는 천식 증상의 정도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야간 천식 증상의 유무에 따른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다형성은 16, 27, 34 및 164번째 아미노산의 핵산의 변이와 연관성이 없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다형성은 Arg 16, Gln 27 및 Val 34의 변이가 존재하고, Arg 16이 가장 많았으며, Thr 164는 없었다.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증상이 심한 중증 천식은 $\beta_2$ 교감 신경 수용체의 다형성중 Arg 16의 변이는 중증 천식과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야간 천식 발작이나 증상과 $\beta_2$ 교감신경 수용체 다형성은 서로 상관이 없었다.

  • PDF

한국인 기관지 천식 허증(虛證), 실증(實證) 환자와 EDN1 유전자 다형성과의 상관성 연구 (Association Study in Endothelin 1 (EDN1) Gene Polymorphism and Excess or Deficiency Syndrome in Korean Asthmatic Patients)

  • 염유림;김관일;백현정;김미아;이범준;김진주;김수강;정주호;정희재;정승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7-64
    • /
    • 2016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a 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he expression of SNPs of EDN1 gene polymorphism with the clinical phenotype in bronchial asthma patients with either excess or deficiency syndrome.Methods: Ninety-four healthy control subjects and 52 asthma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sthma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deficiency syndrome and those with excess syndrome. We searched the exonic and promoter areas of the EDN1 gene in the NCBI website SNPs with <0.01 minor allele frequency (MAF) and <0.01 heterozygosity. Pro programs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and p-valu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tic data.Results: In our genotype and allele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dominant 2 model of the rs3087459 SNP genotype and also in the CGG haplotyp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asthma group. Genotype and allele analyses were conducted between the deficiency and excess syndrom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ominant and log-additive model and also in the frequency of C-alleles of rs3087459 SNP geno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dominant 1, dominant and log-additive model and T-allele of rs5370 SNP genotype. The AGG haplotype also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Conclusions: EDN1 SNPs (rs3087459, rs5370)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ymptomatic excess syndrome in Korean asthmatic patients.

운동유발성 천식과 위식도역류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duced Asthm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 이흥범;이양덕;김현철;이용철;이수택;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203-209
    • /
    • 2000
  • 연구배경: 위식도역류는 정상인 보다 천식환자에서 약 30-85% 정도 높다. 최근 운동에 의해 위식도역류가 증가한다는 보고를 통해 운동시 증가하는 위식도역류가 운동유발생 천식의 발생에 기여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운동유발성 천식의 기왕력이 있는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검사와 식도내 pH측청, 운동 전후의 폐활량 검사를 시행하여 위식도역류와 운동유발성 천식을 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유발성 천식과 기관지천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메타콜린 기도 유발시험(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MBPT)을 시행하여 대상환자를 운동유발성 및 메타콜린 과민성 천식군(Group I, EIA and methacholine hypersensitive asthma group), 운동 유발성 천식군(Group II, EIA group), 대조군(Group III)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전체 18명의 환자 중 남자는 6 명, 여자는 12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41.1 세이었다. 본 연구에 참가한 모든 환자는 병력상 운동유발성 천식을 의심할 만한 기왕력을 갖고 있었으나, ${\Delta}FEV_1$이 20% 이상 감소한 환자는 대상 환자 18명중 15명이었다. 대상 환자 중 ${\Delta}FEV_1$이 20% 이상 감소한 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MBPT 결파상 PC20 값이 8 mg/ml 이하에서 $FEV_1$이 20% 이상 감소하여 기관지천식으로 진단된 환자는 12명이었으며, 나머지 3 명은 음성을 보여 운동유발성 천식(Group II)으로 판정하였다. 전체 18예 모두 운동 전에는 의미있는 식도내 pH 감소는 없었으며 운동 후 5예에서 식도내 pH 4 이하로 60초 이상 감소하고, pH 4 이하의 시간 백분율이 7.0% 이상을 보여 위식도역류성 질환으로 진단하였으며, 이중 3예는 Group 1 이었고, 나머지 2예는 Group II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운동유발성 천식 환자에서 위식도역류의 빈도는 33.3%(5/15) 이었다. 모두 5 명의 환자에서 위식도역류가 관찰됨으로써 위식도역류가 다른 여러 요인들과 더불어 운동유발성 천식의 병태생리의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운동유발성 천식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시에 위식도역류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의미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악화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역할 (The Role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in Exacerbation of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유지연;김동규;엄광석;신태림;박용범;이재영;장승훈;반준우;김철홍;박상면;이명구;현인규;이규만;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497-503
    • /
    • 2005
  • 연구배경 :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악화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국내의 자료는 충분치 않다. 방 법 : 급성 악화로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에 내원한 천식환자 20명과 COPD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비강 분비물과 객담에서 PCR과 배양을 통해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rhinovirus, coronavirus는 PCR을, influenza A, B, RSV, parainfluenza virus는 배양을 통해 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결 과 : 천식의 급성 악화로 내원한 환자의 평균 연령은 45.4(${\pm}16.7$)세였고, 평소 $FEV_1/FVC$는 1.9/2.9L(65.5%)였다. 급성 악화 시 13예(13/20, 65%)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rhinovirus 9예, coronavirus 2예, influenza A 2예, RSV 1예, parainfluenza virus가 1예였다. rhinovirus와 coronavirus, rhinovirus와 RSV가 동시에 검출된 예가 각각 1예가 있었다. COPD 환자의 평균 연령은 71.5(${\pm}8.4$)세였으며, 평소 $FEV_1/FVC$는 1.1/2.6L(42.3%)였고, 악화 시 14예(14/24, 58.3%)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rhinovirus 10예, coronavirus 3예, influenza A가 4예였으며 2예에서 rhinovirus와 coronavirus가 동시에 검출되었고, 1예에서 rhinovirus와 influenza A가 동시에 검출되었다. 결 론 :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국내에서도 천식 및 COPD 악화의 주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천식 및 COPD 환자의 악화에서 치료에 있어서 항생제 사용에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강황이 난황의 비강내 점적을 통하여 유발된 생쥐의 천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rcuma longa Rhizoma on Asthma induced intra-nasal instillation of Ovalbumin in Mice)

  • 이준헌;김종한;박수연;최정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35
    • /
    • 2008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cuma longa Rhizoma(CLR) on asthma. Methods : Detecting splenocyte proliferation rates, cytokines and antigen specific antibody isotype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In addition, the present author I also investigated changes in spleen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lung tissues. Results : Oral administration of CLR lowered spleen weight and splenocyte proliferation rates. In addition, levels of IL-4, IL-17A and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GM-CSF), Th2 driven cytokines, were lowered respectively and IFN-g, and Th1 driven cytokine, were elevated by CLR. Levels of Ovalbumin(OVA) specific IgE and IgGl in BALF were also lowered by oral administration of CLR too. Conclusion : CLR is useful to treat patients with asthma and the mechanisms are related to the in suppression of Th2 skewing rea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