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duced Asthm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운동유발성 천식과 위식도역류와의 연관성

  • Lee, Heung-Bu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Yang-D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Hyun-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Yo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Soo-Te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Rhee, Yang-K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이흥범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양덕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현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용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수택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양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2.29

Abstract

Background: Exercise is a very common precipitant of asthma. Bronche-constriction associated with exercise can occur in 75~90% of individuals with asthma The estimated prevalence(30~85%) of gastroesophageal reflux(GER) in patients with asthma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eneral population. We performed pH monitoring during the exercise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exercise induced asthma(EIA) could be related to GER and acid reflux-induced esophagobronchial reflex-mediated bronchospasm might be a factor for EIA. Method: Following an overnight fast, 18 patients with a suspected EIA(6 men, 12 women) were studied. Monitoring of intraesophageal pH, ECG and spirometry was done for 1 hour before treadmill exercise. After baseline monitoring, subjects underwent symptom-limited treadmill exercise with Bruce protocol and continuous monitoring for 60 min after exercise. Spirometry was done at baseline prior to exercise, and repeated every 10 min after full exercise for 60 min. Results: Exercise-induced bronchoconstriction was noted in 15 patients, who performed MBPT and 12 patients confirmed for bronchial asthma and 3 patients were diagnosed exercise-induced astham. Five of 15 EIA patients demonstrated a pathologic degree of GER. Conclusion: We suggest that GER may be one of pathophysiologic factors of EIA and evoke further concentration on the GER in the EIA patients.

연구배경: 위식도역류는 정상인 보다 천식환자에서 약 30-85% 정도 높다. 최근 운동에 의해 위식도역류가 증가한다는 보고를 통해 운동시 증가하는 위식도역류가 운동유발생 천식의 발생에 기여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운동유발성 천식의 기왕력이 있는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검사와 식도내 pH측청, 운동 전후의 폐활량 검사를 시행하여 위식도역류와 운동유발성 천식을 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유발성 천식과 기관지천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메타콜린 기도 유발시험(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MBPT)을 시행하여 대상환자를 운동유발성 및 메타콜린 과민성 천식군(Group I, EIA and methacholine hypersensitive asthma group), 운동 유발성 천식군(Group II, EIA group), 대조군(Group III)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전체 18명의 환자 중 남자는 6 명, 여자는 12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41.1 세이었다. 본 연구에 참가한 모든 환자는 병력상 운동유발성 천식을 의심할 만한 기왕력을 갖고 있었으나, ${\Delta}FEV_1$이 20% 이상 감소한 환자는 대상 환자 18명중 15명이었다. 대상 환자 중 ${\Delta}FEV_1$이 20% 이상 감소한 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MBPT 결파상 PC20 값이 8 mg/ml 이하에서 $FEV_1$이 20% 이상 감소하여 기관지천식으로 진단된 환자는 12명이었으며, 나머지 3 명은 음성을 보여 운동유발성 천식(Group II)으로 판정하였다. 전체 18예 모두 운동 전에는 의미있는 식도내 pH 감소는 없었으며 운동 후 5예에서 식도내 pH 4 이하로 60초 이상 감소하고, pH 4 이하의 시간 백분율이 7.0% 이상을 보여 위식도역류성 질환으로 진단하였으며, 이중 3예는 Group 1 이었고, 나머지 2예는 Group II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운동유발성 천식 환자에서 위식도역류의 빈도는 33.3%(5/15) 이었다. 모두 5 명의 환자에서 위식도역류가 관찰됨으로써 위식도역류가 다른 여러 요인들과 더불어 운동유발성 천식의 병태생리의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운동유발성 천식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시에 위식도역류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의미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