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Rhus lacque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Biological Detoxification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Stem Bark by Mushroom Species

  • Choi, Han-Seok;Kim, Myung-Kon;Park, Hyo-Suk;Yun, Sei-Eok;Mun, Sung-Phil;Kim, Jae-Sung;Sapkota, Kumar;Kim, Seung;Kim, Tae-Young;Kim, Sung-J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35-942
    • /
    • 2007
  • The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RVSB) has been used in herbal medicine to treat diabetes mellitus and stomach ailments for thousands of years in Korea, despite its content of the plant allergen, urushiol. A new biological approach for the removal of urushiol from RVSB using mushrooms is described. All mushroom species (11 sp.) employed in this study were able to grow on RVSB, although the growth rate (mm/day) was lower than the control (sawdust). The components of urushiol congeners [C15 triene (m/z 314), C15 diene (m/z 316), C15 monoene (m/z 318), and C15 saturated (m/z 320)] were purified by HPLC and identified by GC-MS. A C15:3 (3-pentadecatrienly catechol) was found to be most abundant in RVSB. Urushiol analogues decreased remarkably from 154.15 to 10.73 mg/100 g (approximately 93%) by Fomitella fraxinea, whereas Trametes vercicolor showed only a 1.46% degradation capacity despite its 2 fold higher growth rate. Similarly, laccase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 for F. fraxinea and low for T. vercicolor. Moreover, approximately 98% detoxification was accomplished by F. fraxinea cultivated on RVSB supplemented with 20%(w/w) rice bra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hrooms can be used in the detoxification of RVSB.

평택 대추리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대형옹(甕)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A Study on the Bonding Materials used for the Great Jar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from Daechuri Site, Pyeongtaek)

  • 조남철;김수철;김우현;신연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1-376
    • /
    • 2010
  • 평택 대추리 유적에서는 원삼국시대로 추정되는 대형옹이 발굴되었으며, 발굴 시 파손된 편들에서 접합한 흔적들을 선명히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형옹편들을 접합할 때 사용한 접착제의 성분을 실체현미경, FT-IR, py-GC/MS를 이용하여 알아보았으며, 같이 붙어 있는 직물의 종류를 투과광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실체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한 결과 옹편과 접합부위 사이에는 접착물질로 보이는 검은색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으며, 아래에는 직물의 단면 모양을 지닌 선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검은색 접착물질을 FT-IR과 py-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 옻칠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투과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옻칠과 함께 붙어있던 직물의 종류를 알아본 결과 대마(hemp)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고대 유물을 수리할 때 사용한 재료들에 대하여 자료가 거의 없음으로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원삼국시대 이전부터 대형옹를 접합할 때 옻칠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고대로부터 사용되어온 접착제에 대하여 체계적인 성분조사가 이루어진다면 고대 유물에 사용되었던 접착.복원제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옻나무 근삽시 삽목시기와 삽수의 절단 효과 (Effects of Cutting Time and Scions Section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4
    • /
    • 2003
  • 옻나무의 근삽에 의한 묘목생산에 있어서 적정삽목 시기와 삽수의 절단 여부에 따른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목시기가 빠를수록 신초는 3-4주 후부터 발생하여 늦은 경향이었으나 삽식 10주 후의 신초 형성율은 높은 경 향이었는데 3월 15일과 25일 및 4월 5일 삽목구는 84% 이상이었으며, 신초는 삽목시기가 늦을수록 각시기별로 고르게 발생하는 경향이었다. 묘소질은 4월 5일과 3월 25일 삽목구가 수장, 주당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모두 가장 양호하였다. 절단하지 않은 삽수로부터 신초의 발생은 2주 후부터 시작되었으나 절단한 삽수로부터는 3주 후부터 시작되어 약 1주일이 늦었다. 그러나 삽식 6주 이후부터 10 cm의 크기로 절단한 삽수의 신초발생율은 급격히 증가하여 10주 후에는 84%이었으나 절단하지 않은 삽수의 신초발생율은 54%로 매우 낮았다. 절단하지 않은 삽수의 묘가 경시적으로는 양호하였으나, 수장, 분지수 및 경직경 등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Effec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RVS) on Cell-associated Detoxificant Enzymes and Glucose Oxidase-mediated Toxicity in Cultured Mouse Hepatocytes

  • Lim, Kye-Taek;Lee, Jeong-Chae;Jung, Hee-Young;Jo, Sung-Ky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25-131
    • /
    • 2000
  • The ethanol extra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RVS), the Korean Lacquer tree, was subsequentely isolated and fractioned into two portions using distilled water (SED) and 99% ethanol (SEE) as elution buffers through silica gel column (4x28 em, 22 $\AA$. 28~200 mesh). To know the antioxidative effect of the RVS extracts, primary hepatocytes were exposed to hydroxyl radical generated by 20 mU/$m\ell$ glucose oxidase with SED or SEE for 4 hr. The addition of 100$\mu\textrm{g}$/$m\ell$ SED in culture medium showed good protection from glucose oxidase (GO)-mediated cytotoxicity of hepatocytes, showing approximately equivalent to control. When the hepatocytes were incubated with 100 $\mu\textrm{g}$/$m\ell$ SED or SEE only for 4 hr. the activities of cell-associated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were elevated up to 1.22 fold and 1.4 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Further increase, 1.88fold in SOD activity or 1.64fold in catalase activity, was also observed when the hepatocytes were incubated with 100 units/$m\ell$ of commercial SOD or catalase for 4 hr. Moreover. the glucose oxidase-mediated cytotoxicity in cultured hepatocytes was generally reduced upon addition of lysate obtained from SED or SEE-stimulated hepat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n cultured hepatocytes, RVS ethanol extract can efficiently reduce cytotoxicity induced by glucose oxidase and may increase the activity of cell-associated SOD and/or catalase, thereby preventing and/or scavenging superoxides and hydroxyl radicals in this experiment.

  • PDF

아까시재목버섯이 옻나무 껍질의 urushiol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enniporia fraxinea on Eliminating Urushiol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Stem Bark)

  • 이지현;정석태;강지은;최한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7-3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urushiol 제거에 적합한 장수버섯 종균용 원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세 가지 곡물조, 현미, 통밀에서의 장수버섯 균사체 증식속도는 각각 4.92±0.05, 2.20±0.03, 1.93±0.03 mm/day 이었다. 장수버섯이 배양된 곡물종균의 laccase의 활성은 각각 0.86±0.02, 0.04±0.01, 0.01±0.00 U/mL 이었다. 증식속도와 효소활성 측면에서 장수버섯 종균용 곡물로는 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조에 배양된 장수버섯 종균을 옻나무에 배양하였더니 3일차에 urushiol이 최대 86.6% 감소하였고 7일차에 98.5%까지 감소하였다. Urushiol 제거를 위한 적정 배양기간은 3일이었으며 이때 flavonoid 잔존량은 68%, phenolic 성분의 잔존량은 42% 이었다. 액체종균을 사용하여 배양한 것과 비교했을 때 urushiol을 제거하기 위한 증식기간이 10일에서 3일로 단축되었다.

F.T.-I.R.에 의한 한국산 옷액의 경화거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Hardening Behavior of Korean Rhus Lacquer by F.T.-I.R.)

  • 이필우;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0-14
    • /
    • 1990
  • 한국산 옻액의 경화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F.T.-I.R. 분석을 수행하였다. Acetone 추출한 urushiol의 F.T.-I.R. peak는 $3,422cm^{-1}$, $2,928cm^{-1}$, $1,622cm^{-1}$, $1,475cm^{-1}$, $1,281cm^{-1}$, $984cm^{-1}$, $947cm^{-1}$, $735cm^{-1}$이었다. 또한, 옻액의 정시경화거동에서 $1,651cm^{-1}$ peak는 urushiol-quinone이 laccase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산화중합한 후 982와 $947cm^{-1}$의 conjugated diene와 결합해서 dimer 형성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생물 발효차의 Theaflavin.Thearubigin에 의한 옻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aflavin and Thearubigin from Microbial Fermented Teas on Urushiol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손미예;남상해;박석규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11권3호
    • /
    • pp.44-48
    • /
    • 2006
  • 본 연구는 옻(Rhus verniciflua)에 대한 국산 미생물 발효차 폴리 페놀물질 인 theaflavin(TF)과 thearubigin(TR)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조사하였다. HPLC, column chromatography 및 TLC로 이용하여, 한국 원주산, 일본산 및 중국산 락커(lacquer)로부터 아주 강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long chain alkylphenol을 함유하는 crude urushiol 성분을 분리하였다. 고분자 이중 및 삼중불포화물질의 함량은 중국산 라커의 crude urushio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중국산 라커의 crude urushiol에서 유발되는 접촉성 알레르기 피부염 발생은 5%농도에서 한국산이나 일본산 라커의 시료보다 높았으며, TF 및 TR를 처리한 모든 농도에서 접촉성 알레르기 피부염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발효차의 폴리페놀성 TF와 TR은 옻의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유의적인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CEPA 처리(處理)가 옻나무의 칠액분비(漆液分泌) 및 수피생리(樹皮生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EPA on the Secretion of Lacquer and Bark Physiology of Lactree(Rhus verniciflua Stokes))

  • 최태봉;김만조;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16-125
    • /
    • 2000
  • 본 연구는 CEPA(2-chloroethyl phosphonic acid)처리가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의 수피생리 및 해부학적 변화와 칠액의 분비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강원도 횡성군에 조성된 7년생 옻나무단지에서 크기가 비슷하고 생장이 균일한 개체 40본을 선발하여, CEPA가 각각 0%, 0.1%, 1%, 10% 함유된 lanolin pastes를 1.2m 높이에서 4방향으로 처리하고 5주 후 농도별 수피두께와 수피내 옻산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피조직의 해부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피조직을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CEPA 처리시 수피의 내피두께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수피내 옻산 생산량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CEPA 0.1% 처리시 평균 내피두께는 1.65mm이고, 1% 처리구는 1.96mm였으며, 10% 처리구에서 3.59mm로 대조구의 1.43mm에 비해 약 2.5배 증가하였다. 이는 사부조직의 확대와 세포간극이 넓어진 것에 기인한다. 또한 CEPA에 의해 수피내 옻산 분비가 촉진되어 CEPA 처리목은 무처리목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옻산을 분비하였다. 수피내 단위면적당 평균 옻산함량은 CEPA 0.1% 처리구의 경우 $5.11mg/cm^2$이였고, 1% 처리구는 $6.86mg/cm^2$였으며, 10% 처리는 $12.12mg/cm^2$으로 대조구의 $4.29mg/cm^2$보다 2.8배 증가하였다. 옻나무 내피를 해부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단위면적당 칠액구 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전체 칠액구 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칠액구의 크기가 외피쪽으로 갈수록 현저히 커졌다. 또한 CEPA를 처리한 나무의 경우 유세포가 치밀하였으며, ray층 수가 무처리구의 경우 1-2층인데 반하여 처리구에서는 2-3층으로 잘 발달되어 있었다.

  • PDF

원주산과 옥천산 참옻나무의 부위별 flavonoid 및 urushiol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Flavonoid and Urushiol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Grown in Wonju and Okcheon)

  • 이원재;강지은;최지호;정석태;김명곤;최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8-163
    • /
    • 2015
  • 참옻나무의 줄기전체, 껍질, 목질부위에 함유되어있는 총 phenol 함량은 원주산이 각각 15.73, 13.29, 13.21, 옥천산이 16.14, 16.63, 14.81 mg gallic acid/g db이었다. 총 flavonoid 함량은 원주산이 32.04, 15.16, 31.05, 옥천산이 45.51, 22.09, 43.48 mg quercetin/g db로 나타났다. Flavonoid 성분 중 fustin이 껍질 부위에서는 성분합계양의 98%이상, 줄기와 목질에서는 73.0-86.7%를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다. Butein은 부위별로 0.31-2.17, fisetin은 0.27-3.32, sulfuretin은 0.15-0.80 mg/g db 함유되어 있었다. 각 부위별 urushiol 함량의 합계는 각각 5.09-6.29, 55.05-56.30, 0.38-0.39 mg/100 g dry base로 껍질에 다량함유 되어 있었다. 껍질에 함유된 urushiol congener들의 분포는 C15:3 (pentadecatrienyl catechol)이 63%, C15:1 (pentadecenyl catechol)이 33-35%, C15:2 (pentadecadienyl catechol)가 2-3% 함유되어 있었다.

옻나무 근삽시 BA 처리방법과 삽식법의 효과 (Effects of BA Treatment and Cut Planting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9
    • /
    • 2002
  • 옻나무의 묘목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근삽에 있어서 BA의 처리방법과 삽식법을 공시하였다. 삽식 당일에 삽수를 1,000 mg/L BA 용액에 1분간 침지처리가 적하법보다 초기에 신초의 발생율은 낮았으나 5주 이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10주 후에 는 약 85%로 가장 높았으며, 적하법에서는 BA의 처리 간격이 신초의 발생에 큰 영향이 없었다. 2일 간격으로 100 ${\mu}\ell$의 BA를 적하한 삽수에서 수장이 가장 컸으며 엽수도 많았고, 다음으로 침지처리가 묘소질에 효과적이었다. 분지의 발생은 침지처리구 보다는 적하처리구의 유묘가 삽수와 가까운 지점에서 발생하였다. 평삽이 사삽과 직삽에 비하여 신초의 발생이 약 1주일 빨랐고 신초의 발생도 3주 이후부터 6주까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삽식 10주 후의 신초발생율은 약 96%로 가장 높았다. 평삽구의 묘가 약 40cm로써 가장 컸으며 평삽구의 묘가 약 40cm로써 가장 컸으며 제 1분지의 발생부위도 낮은 경향이었다. 평삽의 경우 각각 다른 부분에서 발생하는 2~3개의 신초를 각각 분리하여 하나의 묘목으로 생육시킴으로써 묘목의 대량증식에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