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ibrary

검색결과 13,600건 처리시간 0.027초

도서관학 교육의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으 교과과정분석을 중심으로-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1-29
    • /
    • 1981
  • Educational chang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 & IS) at Keio university in Japan, standard of L & IS established by Japanese university educational committee, and trend of library science education in three Korean university were comparatively studied. For the efficient conduct of investigation, the art of states of L & IS was also considered. By the influence of American education, public library-oriented Japanese curriculum had changed to special library-oriented curriculum. Late 60's information science was introduced to their curriculum, library science which based upon information science theory endeavor to make its own field in a n.0, pplied science as harmoniz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w. Korean library science education begun with university library-oriented curriculum, accepted speci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t almost same time in late 60's. It gave rise to many problems to organized systematic library science. Consequently, it have needed to harmonize these two fields in near future, reorganize curriculum based on this harmonized knowledge and acquire the consensus about fundamental essence of library science education further.

  • PDF

마운트 엔젤 수도원 도서관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Mount Angel Abbey Library)

  • 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71-79
    • /
    • 2011
  • Mount Angel Abbey library shows not on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alto had shown in his 60s but also special features of his last library project. Special features of Mount Angel library are the result of considering geography and existing context of the sit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mainly come from the Aalto's concept for library especially considering light. Due to steep site, Mount Angel Abbey library has multi-layered and dynamic spatial configuration. Aalto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daylight in the library and applied various kinds of openings to induce natural light. Therefore, Mount Angel Abbey library is the final result of his library type that developed from the Viipuri library of 1930s and his architectural thoughts of 1960s. As a combination of space and light, Mount Angel Abbey library is the outcome of Aalto's unique functional thoughts which maximize the function of the library through efficient induction of natural light.

ONE-PERSON-LIBRARY의 의미론적 해석 (An Analytical Approach to One-Person-Library)

  • 정준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47
    • /
    • 2013
  • 본 연구는 도서관과 사서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다룬 연구이다. "사서의 정체성은 무엇이며 도서관은 과연 무엇을 하는 곳일까?"로부터 연구는 진행된다. 도서관에 대한 인식 역시, 현재의 현상학적 해석이 아닌 본질로 이해하였으며 도서관의 내면적 가치인 정보서비스를 끄집어내게 된 것이다. 그것을 다시 원점으로 도서관을 잠재태로(virtually) 표현하는 과정에 개인의 역할과 기능으로 도서관의 본질을 설명함으로써 나, 개인도 도서관이 될 수 있으며 내가 도서관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정보서비스가 되는 것이다.

Ranganathan, Dewey, and Bong-Suk Park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27
    • /
    • 2012
  •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lives and careers of three great librarians in India, USA, and Korea: S. R. Ranganathan, Melvil Dewey, and Bong-Suk Park, respectively. It also explored their influences and contributions. Their births and early years, and marriage; college years; commitment toward librarianship and careers; achievements in other areas; personalities; and commemorative activities, among others, were analyzed. Their contributions to librarianship and library community in the general theory of library science, professional education,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library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nd library associations and library movement were also investigated. Special focus was on Bong-Suk Park, with a special regard to his unrealized dream for the Korean library community as well as insufficient estimation related to him and his achievements.

도서관주간에 대한 도서관 직원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Survey of Library Staff on Library Week)

  • 심효정;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54
    • /
    • 2022
  • 본 연구는 도서관주간에 대한 관종별 도서관 직원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향후 법정 도서관의 날 및 도서관주간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계가 검토해야 할 내용을 모색했다. 분석결과, 도서관 직원의 도서관주간 참여경험과 주최기관의 행사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부터 시행될 법정 도서관의 날 및 도서관주간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도서관의 날 및 도서관주간 추진 시 중점사항으로는 도서관에 대한 국가적 홍보와 행사를 위한 충분한 예산지원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도서관 직원의 인식조사를 통해 향후 법정 도서관주간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도서관계 인식 개선을 위한 다각적 노력, 다양한 관종 참여 유도를 위한 타 관종과의 연계 협력 및 관종별 협의회 내 추진위원회 구성, 각종 매체를 활용한 적극적 언론 홍보, 예산확보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주민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Users)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61-478
    • /
    • 2008
  • 공공도서관이 지역주민들의 정부 교육, 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지역주민들이 자유롭게 방문하여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정보문화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지역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도서관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동도서관을 이용하는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LAS(Library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도서관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체로 지역주민들의 도서관 불안은 높게 나타났으며, 계층별, 연령별, 학력별, 도서관방문휫수별, 도서관교육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의 정도 차이가 매우 높았다.

  • PDF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Library Anxiety and library Anxiety Scale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 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47
    • /
    • 2004
  • 본고는 도서관 정보 서비스 및 이용자교육의 중요한 연구 영역인 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를 디지털 도서관 환경 측면에서 새로이 검토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디지털 도서관이 활성화되기 전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대부분의 도서관 불안 연구에서 측정도구로 사용된 Bostick(1992)의 도서관불안척도(Library Anxiety Scale: LAS)를 분석하면서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의 변화(예: 디지털 참고 정보봉사, 원격 이용의 증가, 서지교육에서 정보이용교육으로의 질적 전환 등)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그 도구의 한계점을 파악한 후, 이 논의를 토대로 정보이용과 관련된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 대학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Academic Library Polic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7-346
    • /
    • 2012
  • 이 글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의 외형과 속내를 들여다 보면서, 현재 대학도서관계가 당면해 있는 문제의 본질과 원인을 정책적 관점에서 밝혀내고, 향후 대학도서관정책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해 선결해야할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의 문제점을 정책의 로드맵인 '발전계획' 등을 통해 세밀히 검토하고, 둘째, 문제의 원인을 정책의 근간인 관련 법규와 제도, 정책추진체계의 핵심 요소인 정책기구, 행정조직, 전문직 단체 등의 역할과 기능을 통해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이 제대로 서려면 정책의 내용과 추진체계에 있어 어떠한 개선책이 필요한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미국, 영국, 한국 사서직 교육의 비교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the Republic of Korea : a comparative study)

  • 엄영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1-2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situation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by comparing librar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Korea. The qualifications of libraria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present trends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n the three countries are described and compared. It was not intend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the three countries share no similar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Compared with the education of the two countries, Korea has more ways to qualify librarians, more library schools, and lower academic levels for librarians. Library Associations or Institutes of the U. S. A. and the U. K. are involved in library education by accrediting library schools or library school curricula, but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has nothing to do with library education. In case of present trends in library education, Korean institutions seem to lag behind in coping actively with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modern society. Based on the findings, some suggestions are recommended.

  • PDF

한국 공공도서관의 정보제공기능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information-offer-function of public library in Korea)

  • 박인웅;양재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479-504
    • /
    • 1997
  • This is a critical study on the information-offer-function of Korean public library among its several functions. This is not only reviewed about idealogical logical background of formulation of public library in Korea, but also reviewed about changing process o the goal of public library till the development of actual concept of modern public library. This study suggested a proper definition about actual goal of public library in Korea at present. Technocrats say the public library in the future should be both bookless and paperless library. That may mean over-interpretation on information-offer-function of public library among its several functions. When we meet information super highway era, we must not confront information dependence to advanced information countries. Thus, I suggest a way to solve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overeignty through public library in order to avoid the information dependence to advanced information count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