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fish fauna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9초

탐진강수계 고도 및 하구로부터 거리에 따른 어류구성 및 분포특성 (Fish Distribution and Compositions Along with Altitude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in the Tamjin River Basin, Korea)

  • 문운기;배대열;서진원;안광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2-522
    • /
    • 2012
  • This study is focused on fish fauna and distributional features along with physical gradients and stream orders in the Tamjin River basin, Korea. Fish sampling and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09 to 2010.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collected were 47 species of 16 family. The group of cyprinidae was mostly abundant. Both fish abundance and biotic index were declined with increasing altitude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Two species of Zacco temminckii and Pungtungia herzi were prevalent in most of sampling sites and showed no altitudinal and longitudinal differences. Most other species, however, were spatially restricted to specific regional altitudes. Several species including Zacco platyp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P. herzi were broadly distributed from river mouth to 50 km. Eight species including Z. temminckii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only appeared in over 10 km from the river mouth. Both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Pseudobagrus koreanus were classified as "upstream dewelling species" observed only in over 30 km from the river mouth. High proportion of tolerant and omnivorous species were more dominated in the downstream zone of the dam, whereas intolerant and insectivorous species were abundant in the upstream zone of the dam. The variable of stream ord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fish species and total individuals collected. Sensitive species including insectivore had a declining tendency with increasing stream order, while tolerant specie including omnivore species had relatively increased with stream order. Overall, our study suggested that fish distribution considerably depends on altitudinal gradient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as well as physical habitat.

남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The Fish Fauna and its Community Stucture in the Nam River, Nakdong River System, Korea)

  • 양홍준;금지돈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220-231
    • /
    • 2002
  • 2000년 4월부터 2001년 9월까지 남강댐 하류의 본류와 유입하천의 어류상 및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채집된 어류는 11과 30속 39종이었으며, 그 중 잉어과 어류가 58.9%, 기름종개과 어류가 12.8%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채집된 종에서 한국 고유종은 R. uyekii, A. koreensis, A. yamatsutae, C. leuciscus, S. chankensis tsuchigae, S. gracilis majimae, S. variegatus wakiyae, M. yaluensis, M. rapidus, k. nakdongensis, N. multifasciata, L. mediadiposalis, C. herzi, O. platycephala의 14종이었다. 본류에서만 채집된 종은 P. esocinus, S. scherzeri, P. altivelis, C. argus의 4종이었으며, 지류에서만 채집된 종은 R. ocellatus, C. splendidus, S. gracilis majimae, H. longirostris, M. yaluensis, M. rapidus, Z. temmincki, M. mizolepis, K. nakdongensis, N. multifasciata, P. fulvidraco, L. mediadiposalis, C. herzi, O. platycephala의 14종이었다. 본류의 다양도 지수는 0.979로 지류의 다양도 지수 0.966보다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류의 St.3과 지류의 St. 1, 16은 조사지역 중에서도 각각 높은 다양도 지수 (1.05, 0.962,0.956)와 낮은 우점도(0.102,0.369,0.200)를 보여 안정된 군집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 및 국내의 다른 수계에서 도입된 종은 M. salmoides, L. macrochirus, O. bidens와 P. fulvidraco의 4종이었다.

보길도 소하천 담수어류상 및 군집구조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 한정호;박찬서;안광국;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80
    • /
    • 2017
  •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

Nutrient regime, N:P ratios and suspended solids as key factors influencing fish tolerance, trophic compositions, and stream ecosystem health

  • Kim, Seon-Young;An, Kwang-G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505-515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ream nutrient regime, N:P ratios and suspended solids on fish tolerance/trophic compositions and stream ecosystem health, based on multi-metric model, during 2008-2013. Also, stream ecosystem health was evaluated in relation to chlorophyll-a (CHL) as a measure of algal productivity or indicators of trophic state to water chemical parameters. Total number of sampled fish species were 50 and showed a decreasing trend from 2008 to 2013. The minnow of Zacco platypus, based on the catch per unit effort (CPUE),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25.9%) among the all species. Spatial heterogeneity was evident in the fish tolerance guilds that showed the dominance of sensitive species (89%) in the headwaters (S1) and the dominance of tolerant species (57%) in the urban. These conditions were directly influenced by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nd organic matter (COD). The N:P ratios, as a barometer of water pollution, had a negative linear function (R2 = 0.40, P < 0.01) with CHL, and the ratios had an important role in changes of COD concentration (R2 = 0.40, P < 0.01). Under the circumstances, the N:P ratio directly influenced the relative proportions of fish trophic/toleranc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of omnivore (Om) and insectivore sp. (In) on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nitroge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P > 0.05) to the two compositions, but phosphorus influenced directly the two guilds [slope (a) = -32.3, R2 = 0.25, P < 0.01 in the In; a = 40.7, R2 = 0.19, P < 0.01 in the Om]. Such water chemistry and fish trophic guilds determined the stream ecosystem health, based on the multi-metric fish model.

양식 황복에서의 요각류(Clavellopsis hugu, Taeniacanthus yamagutii) 기생에 관한 국내보고 (Two species of Parasitic Copepods (Clavellopsis hugu and Taeniacanthus yamagutii) from the Cultured Marine Fish, Takifugu obscurus, from the Western Coast of Korea)

  • 최상덕;홍성윤;박광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9-127
    • /
    • 1998
  • 기생성 요각류 2종, Clavellopsis hugu(Lernaeopodidae; Siphonostomatoida)와 Taeniacanthus yamagutii(Taeniacanthidae; Poecilostomatoida)이 한국산 양식 황복의 구강, 코, 표피 등에 기생하고 있음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아울러 이종의 형태학적 특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Clavellopsis huge의 체형, 제2 촉각, 큰 턱 및 제2 소악 등은 다른 종과 쉽게 구별된다. 암컷의 두흉부는 동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제2 촉각은 2분지, 큰 턱의 날은 톱니 모양, 제2 소악은 두흉부 기저에 완전히 융합될 bulla 형태이다. 수컷의 두흉부와 몸통은 완전히 융합된 난형이며, 두쌍의 악각은 집게형이다. Taeniacanthus yamagutii의 주요 특징은 제2소악이 견고하고, 악각의 갈고리 기저에 돌기가 있으며, 제2-4 바깥 다리의 가시 끝에 촉각이 1개씩 있다. 이들은 모두 한국 미기록종이며, 양식산 복어(Takifugu obscurus)는 새로운 숙주이다.

  • PDF

중국 망둑어아목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Research of the Gobioid Fishes (Perciformes: Gobioidei) in China)

  • Wu, Han-Lin;Zhong, Jun-Sheng;Chen, I-Shiung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sup1호
    • /
    • pp.63-72
    • /
    • 2009
  • The taxonomic research based on extensive investigations and specimen collections throughout all varieties of freshwater and marine habitats of Chinese waters, including mainland China, Hong Kong and Taiwan, which involved accounting the vast number of collected specimens, data and literature (both within and outside China) were carried out over the last 40 years. There are totally 361 recorded species of gobioid fishes belonging to 113 genera, 5 subfamilies, and 9 families. This gobioid fauna of China comprises 16.2% of 2211 known living gobioid species of the world. This report represents a summary of previous researches on the suborder Gobioidei. A recently diagnosed subfamily, Polyspondylogobiinae, were assigned from the type genus and type species: Polyspondylogobius sinensis Kimura & Wu, 1994 which collected around the Pearl River Delta with high extremity of vertebral count up to 52-54. The undated comprehensive checklist of gobioid fishes in China will be provided in this paper.

평림천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 평림댐 상·하류 수질 및 하천건강성평가와 함께 - (A Study on Fish Community in Pyeonglim Stream - with Water Quality and Stream Health Assessment in Up- and Downstream of Pyeonglim Dam -)

  • 서진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3호
    • /
    • pp.151-160
    • /
    • 2009
  • In order to use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of species diversity and stream health with dam development, fish investigation in up- and downstream of Pyeonglim Dam was seasonally conducted in 2007~2008. In addition, data of water qualities, investigated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re used to determine a water quality standard level in Pyeonglim Stream, and it revealed that water environment condition was good in the stream.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4 study sites was 5,449 representing 9 families 25 species, and there were 8 Korean endemic species (32.0%) including Rhodeus uyekii,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Microphysogobio yaluensis. Two species of Zacco temminckii (37.5%) and Zacco platypus (26.3%) were dominant and subdominant in all sites. There were few individuals of the $2^{nd}$-class endangered species (Sand lamprey, Lampetra reissneri) and the introduced species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found in the upstream of the dam. and further investigation for conserv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and for prevention of the introduced species is needed in future. With fish fauna and multi-metric health assessment model in each sampling attempt, index of biotic integrity(IBI) was evaluated and it resulted mostly in good(26~35) and excellent(36~40) condition in all sites.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not on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th fish composition but also stream health assessment in order to conserve healthy aquatic ecosystem.

중량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의 장기 변동 (Long-term Changes of the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Jungrang Creek, Seoul, Korea)

  • 김교붕;길혜경;유병태;김민영;배경석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63-70
    • /
    • 2002
  • 서울을 지나는 한강 하류수계의 중랑천 어류상과 어류 군집의 현황 및 변동을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조사하였다. 출현하는 어류의 총 종수는 6과 14종이었으며, 총 개체수는 108,366개체였다. 중랑천은 1980년대와 1990년까지는 수질의 악화와 하천변 환경 훼손으로 물고기가 서식하지 못했으나 1990년대 초반 이후 유역 수질개선정책으로 수질이 다소 회복됨에 따라 오염 내성종인 잉어 및 붕어 등이 처음으로 출현하였다. 그후 1996년 6종, 1998년 9종, 2000년 11종으로 어류의 다양성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다. 어류의 개체수현존량은 1996년 164개체, 1998년 146개체, 2000년108,094개체로 3998년 이전에는 계절별로 변동이 적었으나 2000년도의 봄철과 이른 여름철의 산란기에는 중랑하수처리장 방류수가 유입되는 지점의 하류수역과 수중보에 의해 형성된 정체수역에서 105,225개체와 2,754개체가 조사되었다. 특히, 한강 하류에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는 잉어 및 붕어가 산란기에 중랑천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개체수가 조사되었다. 2000년 4월 21일과 6월 11에는 중랑천 하수처리장 방류구 하류지점과 수중보내의 정체구역에서 용존산소가 고갈되어 많은 물고기가 수면으로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중랑천의 주요 우점종은 붕어와 잉어이며, 우점도지수는 0.79${\sim}$l.00으로 매우 높았다. 종다양도지수와 종풍부도지수는 0${\sim}$과 0${\sim}$1.41로 매우 낮았으며, 중류지역에서 이들 지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랑천의 어류상은 매우 빈약하며, 군집구조도 단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수반도와 금오열도의 담수어류상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Yeosu Peninsula and Geumo Islands, Korea)

  • 채병수;윤희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5-235
    • /
    • 2007
  • 여수반도와 금오열도의 섬들 중 하천이 발달한 돌산도, 금오도, 개도의 39개 지점에서 2003년과 2005년에 걸쳐 담수어류상과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 내의 하천들은 대부분 길이가 짧고 유폭이 좁았다. 주된 하상구성물질은 cobble, pebble, gravel이었으며, 하구에 인접한 곳은 주로 gravel과 sand로 되어 있었다. 39개의 조사지점 중 상류형인 Aa형이 18지점으로 가장 많았다. 담수어류상의 조사에서 모두 16과 39종 3,397개체가 채집되었는데, 생활형 구분으로는 일차담수어가 27종(69.2%), 주연성 어종 9종(23.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과별 어종구성은 Cyprinidae가 12종(30.8%), Gobiidae가 10종(25.6%)으로 많았다. 한반도 고유종은 Rhodeus uyekii 등 8종이 확인되었는데, 여수반도에서는 8종 모두 나타났고 금오도에서는 1종, 돌산도와 개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외래종은 Lepomis macrochirus 1종이 출현하였다. 각 지구별 우점종을 보면 여수반도에서는 Zacco temminckii, 돌산도에서는 Rhinogobius brunneus, 금오도에서는 Leucopsarion petersii, 개도에서는 Oryzias latipes가 우점종이었다. 군집분석의 결과 여수반도가 가장 다양하고 안정된 집단의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섬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다양도와 풍부도가 떨어졌다. Kichulchoia brevifasciata가 본 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본 지역에서는 절멸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Acanthorhodeus gracilis와 L. petersii는 본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분포가 알려지게 되었다.

국내 6개 하천에서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상 (Fish Fauna Using Fishway on Six River in Korea)

  • 김동억;박제철;황종서;김동섭;이완옥;황길순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55-264
    • /
    • 2020
  • 국내 주요 6개 하천의 보에 설치된 어도에서 2~9년 이상 매월 연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어류의 어도이용을 조사하였다. 어류의 어도 이용은 어도 출구부에서 trap에 의한 직접 채집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6개 지점의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군집구조는 차이를 보였다. 어류의 어도 이용은 대략 2~7종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것은 어류의 어도 이용이 종적 생리특성에 따라 특화된 결과로 보이며, 단순히 어도에서의 흐름에 따라 어도 이용을 유인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6개 지점에서 어도 이용 어류의 분포는 하천의 위치 및 보에 설치된 어도형식에 따라 달랐다. 이러한 차이는 해양 및 하구로부터 이동한 회유종의 분포 여부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어도형식에 따른 수리특성의 차이도 영향을 주었다. 대체로 어도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을 보이는 버티컬슬롯식 어도에서 어도이용 종수가 적고 유영능력이 좋은 어류의 비율이 높았다. 어도를 이용하는 주요 어류의 분석결과는 어도 계획과 이를 위한 주요 대상종의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