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5차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15th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박슬기;이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3호
    • /
    • pp.255-270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편의 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건강 특성, 그리고 건강행태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상태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요인인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우울감 경험, 자살 생각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건강행태 요인으로 아침식사 결식, 패스트푸드, 단 음료 섭취 등과 같은 식생활 행태뿐만 아니라 흡연, 음주, 약물복용 등의 요인도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는 청소년들이 아침식사, 채소, 과일, 우유 섭취와 같은 건강한 식습관 및 충분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자녀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고 손쉬운 건강식을 스스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편의식품 섭취 빈도가 높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금연, 금주와 같은 건강증진 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건강교육이 함께 실시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는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소매 업체가 우선적으로 학교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법률을 제정하거나, 학교 주변 소매 환경에서 양질의 편의식품이 판매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불안의 매개효과. 2020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2차 분석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Fatigue Recovery among Adolescents: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20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지영;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96-60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피로회복 간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중재의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제16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청소년 54,948명이다. 연구변수 간의 관계는 상관분석, 요인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피로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불안을 경유하여 피로회복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매개변인인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피로회복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또한 불안은 스마트폰 과의존과 피로회복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을 대상으로 피로회복을 향상하기 위해 불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에너지드링크 섭취 및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Energy Drinks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 윤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8-22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nergy drinks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Using statistics from the 11th (2015)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ny variations among the subjects were presented as percentages and analyzed by $x^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ample comprised 68,04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Results: In Model 1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factors of energy drinks consumption were gender, weekly allowance, cohabitation with family. and economic status. In the final model where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dded,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gender, school type, weekly allowance, cohabitation with family, stress level, sadness, drinking, smoking and walking days. Conclusion: The result suggests that intensified education on energy drinks consumption is needed not only at schools, but in the whole community. Also, adolescents' awareness of potential health effects of energy drinks, in particular when mixed in alcoholic beverage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health education.

청소년의 건강행태가 현재 알레르기 질환 유병에 미치는 영향: 제15차(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The Effec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15th(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현옥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138
    • /
    • 2020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 the prevalence of current allergic disea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57,303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Data were analyzed using Rao-Scott χ2 test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hile controlling the affec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alth behaviors affecting the current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were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eating habits, drug abuse, and mental health. Smoking behaviors affecting the current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wer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smoking days, liquid e-cigarett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number of liquid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days, e-cigarett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e-cigarette smoking days, amount of smoking, second-hand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s were lifetime drinking, drinking days, the amount of drinking, and severe drinking. Variables such as physical activity exceeding 60 minutes days, intake of energy and sweet drinks, water intake, habitual drug use and mental health behavior such as stress perception, weekday sleep time,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plan/ attempts affect current allergic diseases (p<.001).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urrent allergic disease related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Therefore,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may be helpful to facilitate a health promotion plan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uch diseases and to promote evidence-based health practices at school.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leep Satisfa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 김효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5-18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leep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in Korea.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21,480 subjects who completed the 2018 14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with PASW 18.0.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sleep satisfaction were gender, grade, academic achievement, economic status, living arrangement, physical activity, drinking, smoking, stress,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erceived body ima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considering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sleep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Influences of Smartphone Overuse on Health and Academic Impairment in Adolescents :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7)

  • 문종훈;전민재;송이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7-186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도에 시행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는 청소년(중학생과 고등학생) 64,99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62,276명이 조사에 참여해 참여율 95.8%를 나타냈다. 연구자는 SPS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 검정, 카이제곱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62,276명 중 54,603명으로 87.7%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목적은 메신저(1순위, 27.3%), SNS(2순위, 18.7%), 게임(3순위, 13.3%)으로 나타났다. 하루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206.68±194.73분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206분 이상인 학생은 206분 미만인 학생보다 건강과 학업수행에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학업능력은 약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r=.245).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량이 높을수록 건강수준과 학업능력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저자는 이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음주 실태 ;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Drinking conditions of adolescents ;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86-192
    • /
    • 2017
  •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3년, 2014년, 2015년 최근 3개년간의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음주 행태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사에 참여한 표본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표성을 갖도록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음주 행태에 대해 3개년간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문제음주 항목에서는 다소 하강상태를 보였으나, 음주시작시기(중학교 2학년;21.5%), 음주일수(20-29일;3.8%),음주량(2병 이상;12.2%), 구매 방법 및 용이성(편의점 구매;32%, 굳이 구매하려하지 않음52%), 음주교육 유무(음주교육 받지 못함;72%)등의 항목에서 꾸준한 상승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항목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학교유형에서는 남녀 공학이, 학교 급에서는 고등학교가, 거주형태에서는 자취, 사회경제적 수준에서는 '중 상' 으로 응답한 학생에게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음주행태에 대한 3개년 간 결과를 비교해 볼 때 그 결과의 추이가 여전히 주의할 만한 수치여서 음주에 대한 보건 교육이 학교뿐 만아니라 가정 그리고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며, 모두가 함께 청소년 음주에 대한 주의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Combined effects of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screen-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South Korean adolescent obesity: a cross-sectional study

  • Jin Suk Ra;Do Thi Thu Huye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77-8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mbined effects of sugar-sweetened beverage (SSB) consumption, screen-based sedentary behaviors, and sleep duration on adolescent obesity. Methods: It followe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and conducted secondary analysis on data from 20,497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17th (2021)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is study underwe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complex sampling analysis. Results: The combinations of low and medium consumption of SSBs, excessive screen-based sedentary behaviors, and short sleep durations were associated with a 1.18 and 1.12 fold increased likelihood of obesity (95% confidence interval [CI]=1.03-1.35) and (95% CI=1.02-1.22), respectively. The combination of high SSB consumption, appropriate screen-based sedentary behaviors, and short sleep duration (adjusted odds ratio [aOR]=1.15, 95% CI=1.01-1.31) and high SSB consumption, excessive screen-based sedentary behaviors, and short sleep duration (aOR=1.40, 95% CI=1.16-1.69) were associated with obesity. Conclusion: Integrated and tailored programs considering combination patterns of SSB consumption, screen-based sedentary behaviors, and short sleep duration need to be developed for preventing adolescent obesity.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성향 (Subjective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General Families)

  • 채명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383-39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가정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이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7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해 복합표본분석을 하였다. 대상자는 일반가정 61,320명(98.5%), 다문화가정 956명(1.5%)이었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보다 건강하지 못한 편, 불행한 편, 우울 경험, 자살생각,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적 경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자살생각 1.270배,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각각 1.359배, 1.297배,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 경험이 1.60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청소년의 식습관과 음주행태와의 관련성 - 2012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Korean Juveniles' Dietary Habits and Drinking Alcohol - The Result of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2 -)

  • 이순희;윤미은;천성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38
    • /
    • 2014
  • Objectives: Since juveniles' unhealthy diets, and their problematic behavior resulting from drinking cause serious harm to those who are in a period of growth, we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s' dietary habits and their drinking alcohol.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74,186 people in a 2012 web-based survey of Korean juveniles' health behavior, which was joint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This study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Results: Juveniles who consume fast food at least once in a day have a significantly higher chance of binge drinking (OR=3.063, 95% CI=2.332~4.023), problematic drinking(OR=6.041, 95% CI=4.947~7.379) than those who don't. It also indicates that juveniles who don't eat breakfast have a significantly higher chance of binge drinking (OR=1.358, 95% CI=1.158~1.593), problematic drinking(OR=1.762 95% CI=1.548~2006) than those who eat breakfast every day. Conclusions: Irregular breakfast or a frequent intake of fast food causes problematic drinking, and binge drinking. Therefore, when planning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juvenile drinking, it seems necessary to include education of healthy dietary habi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