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Welfare Panel Study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7초

The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 Across Years of Community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A 14-Year Follow-up Stud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 Il-Ho Kim;Cheong-Seok Kim;Min-Hyeok Je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6호
    • /
    • pp.495-503
    • /
    • 2023
  • Objectives: While older adults using community care services are known to be vulnerable for depression, community care utilization (CCU) may help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these elderly. To date, however, it is much less clear how CCU affects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popul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 across years of CCU among older adults in Korea. Methods: Using the 2006-2019 Korean Welfare Panel Survey, this study is focused on elderly born in 1940 or earlier and selected 3281 persons for baseline interviews in 2006. This consisted of 35 800 person-year observations during a period of 14 years. Panel data analysis were employed to construct years of CCU.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linear term of years using community ca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but a quadratic term was positively significant. The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 across the years of CCU follows a U-shaped curve. Older adults in the first year of using community care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However, a significant and steady de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was observed during the following 9 years of CCU, which then gradually increase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t the 14th year of using community care remain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evel at the outset of its utilization. Conclusions: This finding implies that CCU could be beneficial for improving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흡연자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금연계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Smoking Cessation Plans in Smokers)

  • 공미진;심용우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5-147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economic factors of smokers on their smoking cessation plans, using Korean Welfare Panel data. Methods : Of the 16,664 subjects who responded to the 10th Korean Welfare Panel Survey, 2,246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currently smok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 The variables that affected smoking cessation plans were female, low education level, low level of smoking per day, and more than 24 hours of smoking cessation experience. Conclusions : Expanding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women, preventing smoking in schools and providing smoking cessation education will lik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smoking cessation plans. In addition, it would be helpful to increase the amount of smoking cessation support aimed at reducing the amount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and continuing smoking cessation for more than 24 hours.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기업가적 지향성 하위요인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ubfactor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Industry)

  • 류주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6호
    • /
    • pp.73-80
    • /
    • 2024
  • 본 고의 목적은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기업가적 지향성 하위요인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에서 실시한 2022년 기업가정신 패널조사 기업편 중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72개 조직의 응답자료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5.0 ver. 프로그램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적 지향성 하위요인인 자율성, 진취성, 혁신성, 경쟁추구성 순으로 조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위험감수성은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적 지향성 조직문화 구축,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보상 강화 등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by Household's Economic Factors According to Income Levels)

  • 성준모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1호
    • /
    • pp.109-13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원의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내 경제요인이 무엇인지를 가구의 소득수준별로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원이 인식하는 주관적인 가족수입 만족도 변화가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가구원의 경우 직접적인 소득이나 지출관련 변수들의 변화가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소득층 가구원의 경우는 이러한 변수들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통제변수중에서는 나이, 혼인상태, 교육수준 등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우울의 차이를 가져오는 가구 경제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적으로 이해하였으며, 우울과 관련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있어서 가구경제 지원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 PDF

근로연령대 수급자의 탈빈곤 : 노동시장통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What Hinders the Transition from Benefits Recipiency to Labor Market in the Korean Social Assistance Program? : In the case of working-age recipients)

  • 장지연;이현주;전병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185-20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공공부조제도에서 근로연령대 빈곤인구의 빈곤 탈출과 노동시장에 통합을 촉지 또는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의 근로연령대 기초생활보장수급자들의 기간 의존성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는 수급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복지의존성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장기 수급의존층의 경우 수급 탈출에 취약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급자들이 빈곤으로부터 탈출해서 노동시장으로 이행하는 데 장애로 작용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인적자본이나 사회적 자본과 같은 특성보다는 청년피부양가구구성원의 존재 여부나 직업알선서비스 참여 여부가 빈곤탈출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급으로부터의 탈출이 교육-의료 서비스가 수급여부와 연계되어 있다는 수급제도의 특성이나 적극적 노동시장프로그램의 성격과 같은 제도-정책의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긴장감소가설'과 '독성가설'에 대한 검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 Focusing on 'Tension Reduction Theory' and 'Intoxication Theory'-)

  • 강상경;권태연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253-280
    • /
    • 2008
  • 기존연구들에서 우울과 음주와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수 중에서 어떤 변수가 선행요인인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비재귀구조방정식모델(non-recursiv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음주와 우울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 심리사회행동적 변수들이 음주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6년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조사에 참가한 14,4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주가 우울에 선행한다는 독성가설과 우울이 음주에 선행한다는 긴장감소가설을 검증한 결과, 음주가 우울에 선행한다는 독성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심리사회행동적 변수들의 음주에 대한 영향력의 상당부분이 음주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에 대한 논의와 차후의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성인의 우울과 문제음주 발달궤적: 기초생활 수급여부와 장애인여부의 융합적 요인을 중심으로 (Trajectory of Development of Depression and Problem Drinking in Adults: Focused on the Convergence Factors of Basic Livelihood Receipt and Disabed People)

  • 이형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03-31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Korean Welfare Panal Study) 11차년도(2016년), 12차년도(2017년), 13차년도(2018년), 14차년도(2019년) 자료 중 가구주용 데이터와 가구원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인의 문제음주가 우울에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울의 초기값은 문제음주 초기값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음주 변화율과도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수급가구의 경우는 우울의 초기값, 문제음주의 초기값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장애인의 경우는 우울의 초기값, 문제음주 초기값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성인기 이전의 학교교육에서 음주문제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An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Analyzing the 4th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in 2009)

  • 최병숙;박정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75-86
    • /
    • 2012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with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raw data of 10,608 respondents, was gathered from the 4th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in 2009. Some variables related to housing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were selected in KoWePS' data. Data was analyzed by SPSS 19.0 and AMOS 17.0.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 1) Householder econom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 to housing environment and resident mental health. 2) Housing environment variabl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sident mental health, and these variables explain 4.3% of depression and 6.7% of self-esteem. 3) Throughout path analysis of economic, housing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variables, housing environment variable is a parameter.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better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 would contribute to the residents' better mental health.

Does Paid Sick Leave Induce Welfare Burden?

  • Namhoon KIM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4권2호
    • /
    • pp.11-18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valuate the unintended welfare losses induced by paid sick leave, examine the severity of the unintended moral hazard loss caused by paid sick leave, and evaluate how much moral hazard cost society can accept to obtain paid sick leave benefi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e examine the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data collected in 2013 and 2014 by employing a panel probit analysis to control for individual heterogeneity. Results: The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obability of absence due to paid sick leave increases from 4.91% to 7.84%. Among them, excluding the probability of increasing absence from 1.29% to 2.69% due to the actual disease, the probability of absence due to the moral hazard was estimated to be 2.41% to 6.49% in the proposed models. Based on the result, if we evaluate the increase in absence caused by moral hazard as a social cost, the estimated cost is approximately $174 to $297 per worker per year. Conclusion: Considering these expected costs, our society can obtain the access benefit from paid sick leave if we are willing to accept the moral hazard cost.

아동의 학교결석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 패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cological-Systemic Factors on School Absenteeism in South Korean Children - A Panel Fixed Effects Analysis -)

  • 김동하;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105-125
    • /
    • 2016
  • 학교결석은 학업중단이나 비행 범죄에 대한 잠정적인 조기 예측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토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아동의 학교결석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에서 초4 패널의 2차년도와 3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2,378명을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컴퓨터 사용시간, 부모의 학대, 학교활동참여정도, 학업성적이 학교결석일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사용시간, 부모의 학대는 학교결석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학교활동참여와 학업성적은 학교결석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 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학교결석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