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 National and Nutrition Examination(KNHANES)

Search Result 57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폐경 여성의 비만 및 신체활동과 골관절염 유병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physical activities and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menopause women)

  • 채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17-225
    • /
    • 2020
  • 본 연구는 폐경 여성의 비만 및 신체활동과 골관절염 유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 자료를 이차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폐경 여성 1,516명으로,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았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골관절염 유병율은 체질량지수가 저체중이거나 정상이고 복부비만도 없는 여성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비만전단계 이상이고 복부비만은 없는 여성은 1.88배, 체질량지수가 비만전단계 이상이고 복부비만도 있는 여성은 1.9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경 여성의 골관절염 예방을 위해서는 비만의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며, 비만은 체질량지수 뿐 아니라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청력저하 여부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8년) 분석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hearing impairment in elder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 한수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65-274
    • /
    • 2021
  • 본 연구는 청각저하 여부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KNHANES 2016-2018)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청각저하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4,7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행태, 신체적 건강과 심리사회적 건강 특성(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우울, 걷기운동, 근력운동, 활동제한, 의료 미충족 요구)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를 이용하여 복합 표본 분석하였다. 청각저하 여부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행태, 신체적 건강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청력저하가 없는 노인의 경우 결혼상태, 활동제한과 걷기운동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청력저하가 있는 노인의 경우에는 걷기운동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청력저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환경, 신체, 심리적 건강관리 및 운동이 포함된 다학제적 협력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한국인들의 고강도 신체활동(일)과 음료 섭취빈도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Work) and Beverage intake Frequency among Korean)

  • 박해령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85-9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고강도 신체활동(일)과 음료수 섭취 빈도와의 관계성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2021년 제8차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자료 분석은 집단 간 평균 차이, χ2-test,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p<0.05). 탄산음료는 그룹 중 63.6%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하였고, 에너지 드링크는 68.6%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강도 신체활동(일)을 하는 그룹에서 탄산음료와 에너지 드링크가 더 자주 소비되었으며, 대부분의 음료수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고강도 신체활동(일)을 할 때 탄산음료와 에너지 드링크를 대체할 만큼 건강에 이로운 음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음료수 섭취보다는 건강에 이로운 새로운 접근 방식을 탐구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2018년 자살 관련 지표들과 추이 (Suicide Related Indicators and Trends in Korea in 2018)

  • 이두웅;권준현;양지은;주영준;박은철;장성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119
    • /
    • 2020
  • Suicide has been a long-standing problem for global public health, along with almost 800,000 deaths from suicide worldwide in 2016, accounting for 1.4% of all deaths. South Korea was ranked first in suicide mortality in 2018 among countries i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up-to-date information about suicide-related indicators such as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 and suicide death, and its trends by applying sampling weight to make it nationally representative. In this study, we used the data sourc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KNHANES, '07-13, '15-18),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08-09, '13, '17), Korean Wealth Panel Study (KOWEPS, '12-18), Korea Health Panel Survey (KHP, '10-13), and Statistics Korea (1983-2017).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as recent year was 4.73% (KNHANES, '17), 6.96% (KCHS, '17), 2.29% (KOWEPS, '18), and 5.39% (KHP, '13). That of suicide attempt as recent year was 0.51% (KNHANES, '18), 0.32% (KCHS, '17), and 0.15% (KOWEPS, '18). Annual percentage change (APC) of suicidal ideation was -15.4% (KNHANES, '07-13, '15, '17), -2.5% (KCHS, '08-09, '13, '17), -10.8% (KOWEPS, '12-18), and -10.9% (KHP, '10-13). APC of suicide attempt was -4.4% (KNHANES, '07-13, '15-18), -4.4% (KCHS, '08-09, '13, '17), and -13.6% (KOWEPS, '12-18). APC of death by intentional self-harm was -1.25% (Statistics Korea, '07-18). All suicide-related indicators were found to be decreasing in the overall from 2009. Individuals with lower income level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Even though suicide rate had been continuously decreasing from its highest point in 2011 (suicide rate: 31.7 per 100,000 population) to 2017 (suicide rate: 24.3 per 100,000 population), it increased again in 2018 (suicide rate: 26.6 per 100,000 population). This information would be grounded on policy implementation for suicide prevention, thus continuous data observation is necessary.

혈중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비율에 근거한 성인 여자의 탈수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 정도와 앉아서 보내는 시간과의 관련성: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 Ratio and Sedentary Time of Female Adults by Dehydration Estimated with Blood Urea Nitrogen to Creatinine Ratio: Based on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금선;김선희;채수진;윤미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4호
    • /
    • pp.276-292
    • /
    • 2021
  • There is a dearth of Korean studies on dehydration, one of the health risks for adult women.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2016~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 ratios and sedentary time in dehydrated women.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in the dehydrated group (D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NG). Intake of other liquids in the D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G, but total water intake in the D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NG. Compared to the 600 sedentary minutes or more per day group, the odds ratio of dehyd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ss than 300 sedentary minutes per day group (1.871 [95% CI: 1.579~2.215], P<0.001). Compared to the drinking over 6.0 cups of water per day group, the odds ratio of dehyd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3 cups or fewer per day (OR [95% CI] is 1.198 times [1.019 to 1.408], P<0.05), and 6.0 cups or fewer group (OR [95% CI] is 1.162 times [1.018 to 1.326],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otal water intake was relatively lower in the ≥600 sedentary minutes per day group compared to the 300 sedentary minutes per day group, making them more vulnerable to dehydration. The nutrient intake ratios were higher in the dehydration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In conclusio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importance of hydr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for adult women in the workplace.

혈중 비타민 E 수준과 알레르기 비염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 자료 분석 (Serum Vitamin E levels and Allergic Rhinitis : Analysis of the KNHANES VII-3)

  • 이소나;최혜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62-6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혈중 비타민 E 수준과 알레르기 비염의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복합표본 교차분석, t-test, ANOVA 그리고 Odds ratio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10세 이상 혈중 비타민 E 수준는 평균 12.60mg/L이었고, 의사로부터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은 사람은 15.9%였다. 연구 대상자의 혈중 비타민 E 수준이 낮을수록 알레르기 비염 유병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0.05, p=.013). 따라서 한국인의 알레르기 비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혈중 비타민 E 모니터링 및 비타민 E 를 포함한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한국 성인의 카페인 섭취 수준이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 : 2013~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affeine intake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eases in Korean adults: 2013 ~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정숙;박형섭;한상훈;격근타나;장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227-241
    • /
    • 2019
  • 본 연구는 2013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의 카페인 섭취 수준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카페인 섭취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2014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수행한 주요급원식품의 카페인 함량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1인당 카페인 섭취량과 주요급원식품을 통한 카페인 섭취량을 산출한 후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41.97 mg 이었고, 각 군별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Q1 0 mg, Q2 1.42 mg (0 ~ 3.66 mg), Q3 6.94 mg (3.99 ~ 12.31 mg), Q4 21.65 mg (12.31 ~ 45.81 mg), Q5군 154.41 mg (${\geq}45.81mg$)으로 나타나 상위 20%에 해당하는 대상자들만이 하루 45.81 mg 이상의 카페인을 섭취하였다. 카페인 섭취의 주요 급원식품은 커피, 탄산음료 및 기타음료, 차류의 순이었으며, 이들 식품을 통한 카페인 섭취량은 97% 정도 이었다. 카페인 섭취 수준에 따라 대사적 지표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 연령 이외 이들 대사적 지표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수준, 음주, 흡연, 신체활동, 에너지 및 당 섭취량에 보정 후 카페인 섭취량은 대사증후군, 고혈압,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및 복부비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당뇨병과 고중성지방혈증의 경우 Q1군에 비해 Q3군에서 각각 0.76 (95% CI: 0.63 ~ 0.93), 0.87 (95% CI: 0.77 ~ 0.98)를 보였고, Q4군에서는 각각 0.66 (95% CI: 0.53 ~ 0.82), 0.83 (95% CI: 0.73 ~ 0.94)로 나타나 하루 3.66 ~ 45.81 mg 정도의 카페인 섭취는 당뇨병 및 고중성지방혈증의 낮은 유병률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 적정수준의 카페인 섭취는 당뇨병과 고중성지방혈증의 낮은 유병률과 관련이 있으므로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적정수준의 카페인 섭취량 선정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n Premenopausal Women: Using the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전영미;이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246-6256
    • /
    • 2013
  • 본 연구는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를 조사하고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로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BMI, 나이, 걷기운동이었고 설명력은 11.7%이었다. 이중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은 BMI로 저체중, 정상, 과체중에 따라 골밀도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가 50대에 비해 골밀도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걷기운동에서는 3일 이하 운동이 골밀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폐경 전 여성인 경우 골밀도 유지를 위해 과도한 다이어트를 지양하고 올바른 체형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대 골질량 형성기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적절한 영양과 운동 및 생활습관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흡연, 음주와 운동습관의 군집현상을 통한 건강행태의 고위험군: 국민건강영양 조사 (High Risk Groups in Health Behavior Defined by Clustering of Smoking, Alcohol, and Exercise Habits: National Hea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강기원;성주헌;김창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1호
    • /
    • pp.73-83
    • /
    • 2010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clustering of selected lifestyle factors (cigarette smoking, heavy alcohol consumption, lack of physical exercise) and identified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increasing lifestyle risks. Methods: Data on lifestyle risk facto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chronic diseases were obtained from 7,694 individuals ${\geq}20$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lustering of lifestyle risks involved the observed prevalence of multiple risks and those expected from marginal exposure prevalence of the three selected risk factors. Prevalence odds ratio was adopted as a measurement of clustering.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Kendall tau correlation, Man-Whitney analysis, and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increasing lifestyle risks. Results: In both men and women, increased lifestyle risks were associated with clustering of: (1) cigarette smoking and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and (2) smoking,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and lack of physical exercise. Patterns of clustering for physical exercise were different from those for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The increased unhealthy clustering was found among men 20-64 years of age with mild or moderate stress, and among women 35-49 years of age who were never-married, with mild stress, and increased body mass index (>$30\;kg/m^2$). Conclusions: Addressing a lack of physical exercise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employment activity, and stress levels should be a focus of health promotion efforts.

관상동맥질환자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인지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on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tress)

  • 진혜경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6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This secondary analys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tudy participants included 466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asures included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health,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design, descriptive analysis, Rao-Scott ��2 statistic,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Subjective health influenced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partially mediated it. Conclusion: To prevent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