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s child care policy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30대~40대 여성의 이중돌봄 현실과 돌봄경험의 다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uble-Care and Multiplicity of Caring Experiences among Women Aged 30s to 40s in Korea)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209-230
    • /
    • 2014
  • 본 논문은 30대 부터 40대까지의 여성들 가운데 6세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는 시기와 부모/노부모를 동시에 돌봐야 하는 이중돌봄의 문제가 상당히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돌봄이 특정 시기의 특정 연령대에 분절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생애주기의 어느 시점에도 발생할 수 있는 일상성에 주목하였다. 또한 돌봄은 부담으로서 뿐만 아니라 즐거움이나 보람을 동시에 주고 있으며, 돌봄제공자-돌봄대상자-돌봄보조자의 관계에 의하여 다양한 층위의 경험으로 분화될 수 있음을 드러내었다. 연구결과, 6세 이하 아동돌봄과 노인돌봄을 동시에 하는 이중돌봄 가구는 전체의 38%에 달했고, 향후 이중돌봄이 예상된다는 가구까지 합하면 54.9%에 이르러 이중돌봄이 상당히 보편적임을 보였다. 돌봄의 즐거움과 부담을 분석한 결과, 돌봄의 즐거움은 아동돌봄>부모돌봄>시부모돌봄 순이었으며 부담은 역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돌봄제공자와 대상자간 관계는 돌봄 자체의 즐거움이나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며느리-시부모간 돌봄도, 딸-부모간 돌봄도 그들이 맺어온 관계에 따라 돌봄경험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딸이 부모를 돌볼 경우에 남성 배우자로부터의 무관심이 더 높고 도움이 수반되지 않아서 딸로서의 돌봄이 며느리로서의 돌봄의 경우보다 부담이 가중되기도 하였다. 결론에서는 이중돌봄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원방안과 정책이 제안되었다.

  • PDF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돌봄시간 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및 시간부족감 (Differences in Time Satisfaction and Time Deficit to the Type of Parental Time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 김세리;이강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9
    • /
    • 2018
  •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type of parental time, (2) to investigate the family's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parental time types. (3),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ime satisfaction and time deficit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ental time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Methods: The data source for this research was the 2014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391 time diaries). Data were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multinominal regression,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al tim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non-participation, play-centered, physical care-centered, unspecified group.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depended on children's age, mo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income, and dual earner families. Third, time defic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lay-centered and non-participation type.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regarding child care and labor were suggested.

학령전기 자녀의 가정환경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Home Environment for Preschoolers)

  • 장영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39
    • /
    • 2016
  •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child, family, and parents' psychological factors that were related to quality of home environment among families with preschoolers in Korea. The relationships between a series of factors and home environment and the predictive effects of the factors on HOME score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1,690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5th wave of the PSKC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hen the target child's age was about 4 years old. The results revealed that when the child was a boy and when the child had a difficult temperament, the overall HOME scores were lower. Mothers' age, parents' education, family income, poverty and family life even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OME scores, too. All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both mothers and fat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OME scores. When both mother and father had less depressive symptoms, lower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greater marital satisfaction, the HOME scores were highe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s gender, father's education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ere relatively strong predictors of HOME. The policy implication for parent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육아지원기관의 특별활동 이용 현황 및 지출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on Expens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 김진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5-23
    • /
    • 2014
  • 본 연구는 정부의 보육료 지원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구에서 체감하는 교육 및 보육료 부담이 감소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에서 비롯하여 추가비용으로 지출되는 특별활동 비용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관 내 특별활동 여부는 있음이 68.5%였으며, 평균적으로 2.9개의 특별활동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지출비용은 약 50천원이었다. 지역에 따라 특별활동 이용개수 및 지출비용을 살펴본 결과 지역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변수를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특별활동 비용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모 학력, 모 취업, 육아지원기관 유형, 지역변인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지역변인이 가장 큰 설명량을 차지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특별활동 과목 내용 및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파악과 관리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중앙정부차원에서의 필요경비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어린이집뿐만 아니라 유치원 등 아동이 이용하는 육아지원기관 전반에 걸쳐 특별활동 과목, 강사, 비용, 강사의 경력 등을 공개하고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넷째,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특별활동 지원이 요구된다.

중년기 기혼남녀의 100세 사회 가족생활 전망과 가족정책에의 함의점 (Family Life Prospect of the Middle-Aged and Its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y toward Centenarian Society)

  • 조희금;김선미;이승미;성미애;진미정;이현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1호
    • /
    • pp.151-166
    • /
    • 2014
  •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how middle aged married men and women prospected a Centenarian society and what implications their prospect cast for family polic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ive groups in order to identify their subjective prospects on marital relations, parent-child relations, caregiving from family or institutions, and alternative living arrangement. From those interviews, we found that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40s, 50s, and 60s possesse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their marital relationship, either acknowledging an importance of marital relationship or accepting long-standing disrespectful marital relationship. They also had a dualistic perspective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ccepting parental responsibility for children and even grand-children but maintaining low expectations for children. What they needed was age appropriate opportunities for work or leisure and better community services and faciliti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iddle-aged was concerned experiencing unprecedented family situations. They needed family life education and services in order to adapt to the Centenarian society. Since family policy has viewed this age group out of service target, programs and services have been underdeveloped for this group. Expecting a Centenarian society however, we need to expand the boundary of family policy and take a new perspective. We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marital education programs, community-based self-care services, and age-appropriated opportunities for work, leisure, and social relations.

지역아동센터 운영자의 인식을 통해 본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 (Functions and Roles of Community Child Center Recognized by Practitioners)

  • 임정기;박현선;정익중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2호
    • /
    • pp.285-310
    • /
    • 2015
  • 본 논문은 우리나라 방과후 돌봄 체계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의 고유한 기능과 역할에 대해 실무자들의 다양한 인식유형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지역아동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시설 환경, 서비스 내용, 인력, 대상, 전달체계 측면으로 나누어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유형은 '전문인력 중심의 통합서비스 지향형', '시설환경 기반의 보호서비스 지향형', '학교연계 방과후서비스 지향형', '개별맞춤형 기초사례서비스 지향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지역아동센터 실무자들이 지역아동센터의 발전을 위해 인력의 중요성과 서비스 환경에 대한 지원, 서비스 내용의 차별성과 연속성, 전체 돌봄체계와의 공통성과 독자성을 찾아갈 수 있는 기능 모색으로 다시 나눠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그동안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못했던 다양한 인식내용의 실체를 파악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당사자들의 관점을 반영하고, 운영의 방향성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며, 지역아동센터 모델과 운영에 대한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있어서 지원에 대한 구체적 방향성과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Home Visitation Screening for Child Abuse Assessment in Korea

  • Kim, Hee-Soon;Kim, Tae-Im;Ju, Young-Hee;Lim, Ji-Young;Ha, Young-Ok;Yoo, Ha-Na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95-10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acilitate home visits to assess the current rate of child abuse in order to provide an agenda for the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in Korea. Methods: For this retrospective descriptive research, 20 public health centers were selected, 1,991 families were visited and 2,680 children were assessed. Results: We found 415 cases (15.5%) of potential abuse and 7 cases (0.3%) of actual abuse. The greatest risk group was to children age 4 to 6 years. According to the HOME Inventory, there were 17 infants (5.8%) presenting a potential risk for child abuse and neglect. Conclusion: Visitation screening is highly recommended for prevention in the high-risk preschool age group.

부모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관련요인 변화와 가족정책에의 함의 (Change in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al Time Spent on Care of Preschoolers and its Implication for Family Policy)

  • 김소영;진미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5호
    • /
    • pp.1-19
    • /
    • 2016
  • This study attempted to assess the durability of the trend in increasing childcare time and to get some clues based on research findings to make efficient policy interventions in case there is a need to continue or reverse course for such trend. In doing so, a total of 9,668 diaries from the 2004, 2009, and 2014 Korean Time Use Survey were analyzed targeting parents with a preschooler as their eldest child. Parental time was regressed on parents' weekly work hours, mother's relative income, parents' education and gender role attitudes. Furthermore, increase in parental childcare time was decomposed into parts that were attributable to differences in the means and slopes of associated factors.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weekly work hours were associated with time spent on childcare from 2004 to 2014;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lative earnings and her childcare time in 2004 and 2009 was reversed to a positive one in 2014; parent's education had stronger positive effects on father's than on mother's childcare time; parents' gender role attitudes had a weak association with childcare tim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such as decrease in work hours, higher education, more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s, and rise in women's wage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parental childcare time, but in a different way for mothers and father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behind the changes, this study is able to provide a more constructive implications for childcare policy in Korea.

출산장려정책으로 인한 여성의 출산의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hanges in Perceptions of Childbirth among Women in Relation to the Korean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 이명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4호
    • /
    • pp.127-144
    • /
    • 2013
  • The low birth rate in Korea reflects the declining desire to have children in this country due to rising emphasis on personal lifestyle. Since this phenomenon has accelerated, boosting the birth rate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y task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erform a case study based on women's lived experience to understand how th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boost the birth rate has affected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among wome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effect of th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on women's perceptions has been fairly low. Second, the social environment for encouraging childbirth is inadequate. Third, the economic burdens associated with childbirth and child care are still significant. Finally, the impact of th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on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childbirth has been minimal. Based on these findings, various motivations for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childbirth among women were identified, leading to the following conclusion: Establishing a long-term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is an effective way to boost the childbirth rate.

  • PDF

보육실습 개정안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Perception and need of directors, child car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on revised child care practicum)

  • 최석란;서원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79-93
    • /
    • 2017
  • 본 연구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면타당도와 문항의 내적 신뢰도를 구한 설문지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4년제 관련학과 재학생인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배부하고 독립표본 ⅹ2-검정과 t-검정,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가 예비보육교사보다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어린이집 원장의 경우 경력과 상관없이 소지자격,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해 자세히 인식하고 있었고 보육교사의 경우는 소지자격보다 개정과 관련된 재교육이 인식을 좌우하였다.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 모두 보육실습 기간 연장에 긍정적이라고 하였다. 다만, 기간 연장에 따른 보육교사 및 예비보육교사의 실습지도와 실습 과정 수행의 부담감을 해소하기 위한 양성기관과 보육실습기관의 사전교육 및 협의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보육실습기관의 질을 선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한 추가 요구가 있는 바, 이와 관련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 개정안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추후 개정안의 보육현장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병행된다면 보다 더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