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mpsat-1/2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5초

Ranging Data Accuracy in K13 S-Band Antenna

  • Ahn Sang-il;Park Dong-Chu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464-466
    • /
    • 2004
  • Ranging and 2-way Doppler measurements are very essential source for orbit determination in LEOP (Launch and Early Operation). This paper shows ranging system features of 13M TT &C antenna and test results recently acquired with KOMPSAT-l. Ranging and 2-way Doppler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KOMPSAT-I GPS telemetry data. Through comparison, it was found that constant and accurate ranging measurements are available with 13M antenna system. Ranging and Doppler measurement function is expected to be used for KOMPSAT-1 and KOMPSAT-2.

  • PDF

아리랑 2호 탑재 X-Band 안테나 포인팅 오차 검증을 위한 MAPS 궤도예측 오차 분석

  • 김해동
    • 항공우주기술
    • /
    • 제4권1호
    • /
    • pp.221-228
    • /
    • 2005
  • 본 기술 논문에서는 아리랑 2호 APS의 안정적인 운용 및 TPF의 정밀도와 관련하여 궤도예측 시스템의 예측오차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실제적이고 정확한 성능 및 오차 분석을 위하여 아리랑 2호 정상 운용 및 예상되는 연장 운용 시기와 유사한 태양활동을 보인 기간 동안의 아리랑 1호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궤도결정 및 예측을 수행하였다. 본 기술 논문의 결과들은 아리랑 2호 APS와 지상 X-Band 수신국 간의 인터페이스 문서에서 할당된 "지상 궤도예측 정밀도"에 대한 분석 및 검증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아리랑 2호 APS의 안정적인 운용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ENER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KOMPSAT-2 IMAGERY

  • Lee, Hyun-Jik;Ru, Ji-Ho;Yu, Young-Geol;Lee, Kyu-M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4-17
    • /
    • 2008
  • KOMPSAT-2 is the seventh high-resolution satellite in the world that provides both 1m panchromatic images and 4m multispectral images of the GSD. It is expected to be used across many different fields including digital mapping, territori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and security concern involved with the use of the MSC, the use of KOMPSAT-2 images are limited in terms of geometric data, such as satellite orbits and detailed mapping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generate the DEM and orthoimage by using the stereo images of KOMPSAT-2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geo-spatial information with KOMPSAT-2. In order to ensure generation of DEMs of optimal accuracy, the RPCs data and a suitable number of GCPs were used. The accuracy of DEM generated in this research compared with DEM generated from 1:5,000 digital map.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horizontal position of the orthoimage and the digital map data are found to be ${\pm}$3.1m, which is in the range of ${\pm}$3.5m, within the permitted limit of a 1:5,000 digital map. The results suggest that DEM can be adequately used to produce digital maps under 1:5,000 scale.

  • PDF

아리랑 위성 2호와 3호를 이용한 이종 영상 간 에피폴라 영상 생성 (Epipolar Resampling from Kompsat-2 and Kompsat-3)

  • 송정헌;오재홍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6-166
    • /
    • 2014
  • 2014년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아리랑 위성 2호와 3호 등 총 2기의 고해상도 광학위성을 운용 중이다. 특히 아리랑 위성 3호는 동일궤도 스테레오 영상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목표 지역의 3차원 정보추출에 유리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위성운영의 특수성 및 영상 취득 효율 등의 이유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로 단영상 획득을 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2호와 3호의 이종 영상 조합으로 관심 대상지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단일 영상 조합에 기반한 입체 기하를 분석하고 에피폴라 영상을 생성하여 그 품질을 확인하였다. 분석은 RPCs(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에 기반한 piecewise기법을 이용하여 진행되었고, 2차원 포물선 형태의 에피폴라 커브 및 3차 다항식에 기반한 에피폴라 영상 변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에피폴라 영상은 영상 전반에 걸쳐 종시차가 1화소로 최소화될 수 있었으며 두 영상간의 해상도 또한 정규화 되어 3차원 디스플레이 및 디지타이징에 활용될 수 있다.

KOMPSAT-2 영상의 정밀궤도기반모델을 이용한 3차원 위치결정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3D Geopositioning of KOMPSAT-2 Images Using Orbit-Attitude Model)

  • 이상진;김정욱;최윤수;정승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0
    • /
    • 2010
  • 본 연구는 KOMPSAT-2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대하여 기존의 RFM방식이 아닌 궤도-자세각 모델을 이용하여 좌 우 스테레오 위성영상의 정밀센서모델링을 다양한 파라메터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궤도기반정밀센서 모델링을 수립한 결과를 토대로 수치사진측량시스템에 적용하여 지상기준점에 대한 오차 확인과 수치지도 시범 제작을 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KOMPSAT-2 위성영상에 대한 궤도기반 정밀센서모델링을 수행 할 경우 적은 지상기준점으로도 스테레오 입체시를 하여 중축척 이상의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DESIGN FOR KOMPSAT-2

  • Lee, Na-Young;Lee, Jin-H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383-392
    • /
    • 2003
  • It is quite essential that requirements allocation and analysis would be done for the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of all units when designing a satellite. Although KOMPSAT-2 inherits relatively large portions of the electrical designs from KOMPSAT-1, it has a new instrument and different combinations of sensors and actuators as well as their driving circuitry. Many requirements for the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were modified and newly allocated for KOMPSAT-2. Naturally, they must be justified through analyses from the early stage of the program. In this paper, the EMC compatibility requirements for KOMPSAT2 are presented and verified for their suitability. In addition, som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from various analyse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QUICK-LOOK TEST OF KOMPSAT-2 FOR IMAGE CHAIN VERIFICATION

  • Lee Eung-Shik;Jung Dae-Jun;Lee Seung-H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509-511
    • /
    • 2005
  • KOMPSAT -2 equipped with an optical telescope(MSC) will be launched in this year. It can take images of the earth with push-broom scanning at altitude 685Km. Its resolution is 1m in panchromatic channel with a swath width of 15 km After the MSC is tested and the performance is measured at instrument level, it is installed on satellite. The image passes through the electro-optical system, compression and storage unit and fmally downlink sub-systems. This integration procedure necessitates the functional test of all subsystems participating in the image chain. The objective of functional test at satellite level(Quick Look test) is to check the functionality of image chain by real target image. Collimated moving image is input to the EOS in order to simulate the operational environments as if KOMPSAT -2 is being operated in orbit. The image chain from EOS to data downlink subsystem will be verified through Quick Look test. This paper explains the Quick Look test of KOMPSAT -2 and compares the taken images with collimated input ones.

  • PDF

위성영상 상용화 지원시스템 구축 및 개발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Support System for Satellite image Commercialization)

  • 배희진;전갑호;전정남;김민아;채태병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8권1호
    • /
    • pp.25-32
    • /
    • 2010
  • 2006년에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다목적실용위성 1호에 비해 공간해상도가 43.5배나 향상되어 영상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이에 위성영상 상용화 지원을 위하여 다목적실용위성 사용자 지원팀(KOCUST; KOMPSAT Customer & User Support Team)을 구성하여 상용화 운영 절차를 정립하고 각 절차에 상응하는 업무를 정의하고 위상영상 상용화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현재 영상운영지원팀에서 다양한 수요자에 맞게 지속적으로 위성영상 상용화 지원시스템을 구축 및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상용 수요자에 맞는 지원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과 이와 관련된 운영업무를 기술하고 향후 개발방향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 PDF

KOMPSAT-3와 KOMPSAT-5 SAR 영상을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과 결과 검증: 제주 서부지역 사례 연구 (Soil Moisture Estimation Using KOMPSAT-3 and KOMPSAT-5 SAR Images and Its Validation: A Case Study of Western Area in Jeju Island)

  • 이지현;이하영;김광섭;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185-1193
    • /
    • 2023
  •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정확한 토양 수분도를 산정하는 연구는 원격탐사 응용 분야에 포함되는 중요한 기본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KOMPSAT-3/3A 영상과 KOMPSAT-5 SAR 영상을 적용하여 시험 지역에 대하여 토양수분도를 제작하고 산정된 결과를 정확도 검증 차원에서 미국 NASA에서 제공하는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SMAP)의 토양수분 자료와 정량 비교하는 것이다. 한편 농림 식생 지대를 중심으로 토양수분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지도를 연구에 적용하였다. 시험 연구 지역은 이 연구에 적용한 수분 구름 모델(Water Cloud Model)에 기반한 토양수분 산정 알고리즘 적용에 필요한 입력 자료가 모두 가용한 제주 서부 지역을 선정하였다. 토양수분도 제작에 사용한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은 KOMPSAT-5 HV와 Sentinel-1 VV 영상이며, 식생지수는 KOMPSAT-3 영상의 지표반사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산출한 토양수분도 산정 결과와 SMAP (L-3) 자료를 차분 연산으로 비교하면 차이 값이 평균 4.13±3.60p%의 높은 일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SMAP (L-4) 자료와의 차분 연산 결과는 평균 14.24±2.10p%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위성영상과 공공 제공자료를 이용하여 정확도가 높은 정밀 토양수분도를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목적 실용위성 2호 기계 시스템 개념설계

  • 김규선
    • 항공우주기술
    • /
    • 제1권1호
    • /
    • pp.42-54
    • /
    • 2002
  • 1997년 12월 다목적 실용위성 1호의 설계가 실제적으로 종료된 이후 항공우주연구원에 서는 다목적 실용위성2호에 대한 개념설계가 시작되었다. 설계의 기본 방향은 다목적 실용위성 1호 설계를 근간으로 하여 새로운 탑재체를 장착하는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초기 설계 단계에서는 개략적인 탑재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설계의 주요 단계별로 수행하였던 기계 시스템 분야의 설계내용을 수록하였으며 향후 차세대 위성의 타당성 검토나, 예비설계 수행 시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