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and Skill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3초

건설기능인력 자격 및 직급체계 구축방안 제안 (A Proposal for Development of the Certification and Level System of Construction Craft Workers)

  • 김봉주;정명호;현창택;구교진;문현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05-114
    • /
    • 2006
  • 건설기능인력은 최종 생산자로서 생산성 및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방치된 채 고령화되고 고갈되는 양상을 띄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젊은 기능인력의 건설사업 회피에서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질의 기능인력 수급을 위해서 기능인력의 자격 및 직급체계를 제안하여 건설기능인력 시장에 젊은 기능인력을 끌어들이는데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기능인력 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와의 면담과 독일, 호주의 사례 연구를 통해 국내에 적용 가능한 자격 및 직급체계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건설기능인력의 자격 및 직급체계의 활성화는 기능인력이 단순한 노무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전문분야임을 인식시킬 수 있으며, 젊고 유능한 기능인력을 건설산업으로 유입시킴으로써 건설기능인력의 생산성 향상, 전문성 강화, 고령화를 탈피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회보장제도와의 연계를 통하여 고용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체험중심 과학 캠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e-Centered Science Camp Programs)

  • 김창만;차정호;김인환;최정훈;황북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102-1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탐구활동의 실태 분석 결과와 수공적 기능이 강조된 HASA 교육과정 기준안에 근거하여 개발된 체험 중심 과학 캠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과학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과학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체험 중심 과학 캠프 활동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과학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이 캠프 기간 중에 작성한 탐구 보고서와 캠프가 끝난 후 인터넷에 올린 소감을 바탕으로 지식, 탐구, 수공적 기능, 태도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전 사후 설문지를 통해 과학캠프 프로그램 구성 영역과 캠프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관련 태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학 캠프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과학지식의 이해 증진과 탐구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 캠프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내용면에서는 학생의 흥미와 참여를 고려하여 실생활과 첨단과학을 연계한 주제로 개발하고, 활동 면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조작해보는 체험활동 및 선의의 경쟁심을 유발하는 과학경연 형태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교육연구센터와 같은 과학교육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들의 인적 체계나 경제적 지원을 보완하여 지속적인 과학 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교육 차원에서 체험 중심 과학 캠프와 같은 학교 밖 탐구활동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연구와 현실적인 노력을 실행한다면,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 인식이나 이공계 기피 현상 등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 PDF

국내 치위생(학)과의 교양교육과정 비교 (Comparison of liberal arts curricula between three year and four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in Korea)

  • 원복연;장계원;황미영;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43-352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iberal arts curricula of domestic 3 year and 4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an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dental hygiene curriculum. Methods: The liberal arts curricula of fifteen 3 year and 4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on 801 selected dental hygiene majors from December 8 to 12, 2014.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750 dental hygiene students and 150 dental hygiene professo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13 questions including curricula change, usability of curricula, awareness of the suitability of dental hygiene curricula, and validity of curricula. Cronbach'a alpha was 0.71 in this study. Results: The grade point average in the liberal arts courses in Korean 4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were 29,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3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of 13.2. There were large disparities among the colleges in the credits of these courses. The most common liberal arts courses in 4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were foreign languages, man, society and communication, and natural science. In 3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English and foreign languages were the most common courses, followed by computer, man and society, philosophy and ethics. Foreign languages were considered to be the liberal arts course that should be most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job environment change of dental hygienist in globalizing society, followed by social psychology and pedagogy. Conclusions: Liberal arts courses were offered in the 4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than in the 3 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s in Korea, but there were a great deal of differences between colleges. The preparation of standardized guidelines on liberal arts courses are necessary. Liberal arts courses should support the performance skill and knowledge of the dental hygienists.

코워킹 및 코워킹스페이스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매니저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Adoption of Co-Working and Co-Working Space: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Mangers of One-Person Creative Company Business Center)

  • 서종석;고득영;이근춘;옥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83-92
    • /
    • 2015
  • 최근 새로운 업무문화인 코워킹과 이러한 분위기를 조성해주는 코워킹스페이스가 1인 창조기업 및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센터들을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서울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코워킹에 대한 지원과 코워킹스페이스를 수용은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인식 및 관련 운영활동에 대해서는 다소 부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큰 연구문제인 '코워킹에 대한 인식 및 사례와 코워킹스페이스 수용'과 작은 연구문제 '코워킹스페이스 운영활동'를 주제로 부산지역의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조사와 매니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먼저 쿤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코워킹에 대한 인식과 사례가 있었지만 성과를 위해 매니저가 인위적으로 진행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코워킹스페이스는 교류공간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는 있었지만 사무기기가 지원되는 공용 공간 수준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작은 문제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공간 및 인테리어', '제휴 및 파트너쉽', '커뮤니티 및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과 활동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우수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방문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정성적으로 이루어져 정량적인 분석에서 파악할 수 없는 의견까지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제적으로 코워킹스페이스를 수용하고자 하는 이에게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환자안전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n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서은주;서영선;홍은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55-26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구성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PRISMA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 중재방법은 환자안전교육, 결과는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의 수치화된 보고 또는 서술적 보고, 연구유형은 무작위실험설계, 유사실험설계, 단일군 연구설계, 설문조사, 질적연구를 포함하여 수행하였다. Medline, Embases, CINAHL, DBpia, Riss, KISS를 통해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총 2,46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PICO에 따라 자료를 추출한 결과 총 9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교육의 특성을 교육 방법과 기간, 결과변수 및 측정도구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결과 환자안전교육은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졌으며, 강의식, 임상실습, 실험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교육되고 있었다. 교육 기간 또한 다양하였다. 결과변수는 지식, 태도, 기술 여부를 주로 확인하였는데, 이를 측정한 도구는 다양하였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교육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주제, 방법, 기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환자안전 역량을 갖춘 간호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교육기관과 실무기관에서 일관되고 통합적인 환자안전교육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능'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Review of 'Skill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 권문호;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1-161
    • /
    • 2020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는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기능'이 새롭게 도입되었고, 이 중 '기능'의 경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과학 교과의 모든 '영역'에서 '기능'을 획일적으로 제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새롭게 도입된 '기능'에 대한 비판적 문제 인식 및 고찰을 통해 교사들의 '기능'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이로부터 개정된 교육과정의 철학이 현장에 잘 적용되길 의도하였다. 먼저 '기능'을 교육과정에 도입하는데 참고한 NGSS의 '과학·공학 실천'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능'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또 타 교과 및 이전 교육과정과의 '기능'과 '탐구'를 비교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첫째, 과학과 핵심 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 항목의 도입 및 각 항목에 대한 명확한 정의, 둘째, 교과, '영역', '핵심 개념', 학년(군)에 따라 적합한 '기능'의 제시 및 '기능'의 적용을 위한 방법에 대한 구체적 기술, 그리고 셋째 '성취기준'에서 '기능'의 직접적 제시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수술실 간호사 안전역량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afety Competency Tool for Perioperative Nurses)

  • 송미옥;장금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45-356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역량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도구의 개발 과정은 문헌고찰을 통한 예비 문항 개발, 예비 문항의 개념적 기틀에 맞는 구성 타당도 검증으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문항은 전문가 타당도를 거쳐 30개의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377명의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3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도구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평행선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지식, 기술, 태도 3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27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도구의 내적 구조를 도식화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는 TLI=.90, CFI=.91, RMSEA=.07 SRMR=.07 로 매우 적합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27문항 3개 요인(지식 6문항, 기술 13문항, 태도 8문항)으로 이루어진 최종 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도구의 Cronabach' ${\alpha}$ 는 .94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역량 도구는 환자 안전에 대한 수술실 간호사의 역량을 사정하고 환자 안전 연구나 경력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rse's Image Perceiv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 박미화;양진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7-12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nurse's image was perceiv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were 315 students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during $20{\sim}22$ weeks and 134 students not with a total of 449 nursing students in G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1 to December 5, 2001 b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earch tool was measured by 30 item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traditional, professional, social and personal image of nurse. Cronbach $\alpha$ for the tool of nurse's image was 0.8960.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8.0 for Windows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schef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nurse's image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chool graduation, applicative motiv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mage forming factor. 2. In the Image forming factors, nursi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e nurse's image by visiting hospital or admission(37.9%), watching TV(25.8) and others; nurses' appearance during clinical experience(16.3). 3. The mean score for nurse's image of clinical experience group (2.76$\pm$0.28) was lower than that of non-clinical experience group(2.89$\pm$0.31) in significance (t=4.319, p=0.000). 4. In the nurse's image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raditional, professional, social, personal image between two groups and the lower mean scores were found in the clinical experience group in all dimensions. The ranks of dimensions were professional image(3.08), traditional image(2.76), social image(2.65), the personal image(2.59) in clinical experience group, whereas professional image(3.21), traditional image(2.93), social image(2.75), personal image(2.71) for non-clinical experience group.5. The high score items of nurse's image were 'worthwhile work(3.48)', 'always working hard(3.30)', 'profession(3.17)', 'strong responsibility toward work(3.08)', 'have a high technical skill(3.05)' in clinical experience group and 'worthwhile work(3.69)', 'always working hard(3.28)', 'clean and decent(3.22)', 'profession(3.21)', 'have a bountiful professional knowledge(3.18)' in non-clinical experience group. 6. The highest mean score for nurse's image related to the image forming factors was 86.8 by novels or literature and the second highest was 84.3 by visiting hospital or admission. And others(mean=82.1)was the most negative nurse's image by clinical experience. In conclusion, nurse's image perceiv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will be the mirror of themselves. And clinical experience will be the important opportunity to form the professional image with white uniformed nurses in fu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linical nurses to play professional roles rightly so that nursing students could form positive nurse's image.

  • PDF

제주특별자치도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교육요구 조사 (Survey on Educational Needs fo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황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71-28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업무 수행 과정에서 겪고 있는 요구 중에서 지식, 기술, 태도의 결핍과 관련된 교육요구를 밝히고, 다양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교육체계의 수립 및 향후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교육요구분석 결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게 필요한 상위 10개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위기(응급)상황 대처기술의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와 실천(특성, 인권, 안전, 건강 등), 사례관리(심화), 상담기법(기본), 사례관리(기본), 상담기법(심화),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민원대응 및 감정노동 관리, 의사소통 능력향상(직원 간, 클라이언트 등), 사업성과(사업 계획, 실행, 관리 및 평가 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직무전문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도내 직무교육의 다양성과 체계적 훈련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종사자를 위한 체계적 교육훈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직무교육의 질적 성장, 직무중심의 교육과정 확대, 전문성 있는 우수한 강사진의 확보 등 다양한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어머니의 근친성학대 드러냄(disclosure)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Study on Mother's Experience in Disclosure of Incestuous Sexual Abuse)

  • 김경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205-228
    • /
    • 2009
  • 근친성학대는 외부에 드러나지 않고 가족의 비밀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어머니는 근친성학대 드러냄을 결정하는 중요한 사람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때로는 묵인한 사람으로 간주되어 비난을 받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근친성학대 피해에 대한 어머니의 드러냄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탐구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딸이 근친성학대 피해를 경험한 7명의 어머니들에게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들의 드러냄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 "고통을 관통함으로써 고통을 극복함"으로 나타났다. 하위주제로는 '가슴속의 응어리를 풀어냄', '차가운 외면 속에서 또다시 상처받음', '곪은 상처를 터트리고 치료함'이 도출되었다. 어머니에게 드러냄 경험은 상처를 건드림으로써 치유의 기반을 마련하고 드러냄의 방법과 의미를 찾아나가는 과정으로 경험되었다. 특히 근친성학대의 드러냄 경험은 어머니의 인식과 의지, 타인의 반응과 사회문화적 맥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계속 재구성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들의 드러냄에 보다 전문적이고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방법을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