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gship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Study on Mahāsammata Model of Kingship in Mrauk U Period(1430-1784)

  • Aung, Zaw Lynn
    • 수완나부미
    • /
    • 제7권2호
    • /
    • pp.177-196
    • /
    • 2015
  • This study on Mahāsammata Model of Kingship in Mrauk U Period from the 15th to 18th centuries attempts to demonstrate how the kings of Mrauk U or royal officials tried to claim this legitimating model of kingship and how they accepted this model of kingship and under what conditions the legitimate order of this model was lost. Vital to the adaptation of Mahāsammata model of kingship in the Mrauk U period is the claim that Mrauk U's rulers were direct lineal descendants of the first Buddhist king of the world, Mahāsammata and thence the clan of Gotama Buddha, Sākiya clan. This ideological model of kingship has a recognizable effect on the political stability of Mrauk U kingdom. While the Mahāsammata model of kingship performed as a belief of legitimizing kingship within the arena of royal court, the kings of Mrauk U tried to perform the related models of Mahāsammata, the ideal models of Buddhist kingship as dhammarāja and a cakkavatti. However, the conditions that fail to maintain the Mahāsammata model of kingship saw the weakening of the other related models of kingship, which eventually led to the decline of the kingdom.

  • PDF

17·18세기 류큐(琉球) 사서(史書) 소재 왕통(王統) 시조 신화와 왕권의 논리 (Myths for Kingship of the Ryukyu Kingdom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 정진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35권
    • /
    • pp.123-154
    • /
    • 2014
  •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hen the Ryukyu kingdom had been invaded and controlled by Japan, some official texts about 'history' were documented. In that texts, there are some myths about the kings-Syunten(舜天), Eiso(英祖), Satto(察度), Syouhasi(尙巴志), Syouen(尙圓)-who founded dynasties of Ryukyu kingdom. This study attempts to delineate the features and meaning of those founder myths as a polotial discourse for king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ounder myths are discourses to describe the genealogy of the Ryukyu kingdom as the result of Mandate of Heaven(T'ien Ming, 天命). 2. In ancient okinawa, the sun was a symbol of ruler. The king of Ryukyu kingdom was thought as 'son of the sun', 'Tedako(てだこ, 太陽子) in the time of Syou dynasty(尙王朝). But in the founder myths, the only one Tedako is Eiso. 3. In the myths, the 'historical' founders are described as the king for agriculture. They were said to make the farming instruments with iron and rule the spring water for farming. The iron and water for fariming was thought to represent the power of king and the kingship. 4. The writers of myths aimed to be separated from the mythical kingship of past Ryukyu(古琉球). So, they threw the idea of Tedako(=mythical kingship) into the prison of mythical ages by rewriting myth of King Eiso. Instead of it, they built up the new image of agriculture-king who rules and controlls the iron and water for good farming. The meaing of this change, from 'shiny sun' to 'cultural king', is that the abstract and general power of kingship was turned into a concrete and restricted power of kingship. On the bases of it, there was the confucian political ideas from China, T'ien Ming thought(天命論). Under the influence of not only China but also Japan, the writers of myths attempt to find a new way for their kingdom by reconstructing kingship with ruminating over the kingship of past. The myth of founder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shows the aspects of kingship of Ryukyu kingdom and tells us that those myths are the political discourses identifying kingship and Ryukyu kingdom.

Colossal Buddha Statues along the Silk Road

  • WONG, DOROTHY C.
    • Acta Via Serica
    • /
    • 제4권2호
    • /
    • pp.1-27
    • /
    • 2019
  • Beginning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India, and spreading through Central Asia and the rest of Asia along the Silk Road, the making of colossal Buddha statues has been a major theme in Buddhist art. The colossal Buddha statues predominantly feature Śākyamuni (the Historical Buddha), Maitreya (the Future Buddha), and Vairocana (the Transcendant Buddha), and they were fashioned out of religious devotion and frequently in conjunction with notions of Buddhist kingship. This paper examines the religious, soci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se colossal statues were made, focusing on examples from Central and East Asia made during the first millennium CE. Beginning in the 1990s, there was a revival of making colossal Buddha statues across China and elsewhere. The paper also briefly compares the current wave of building colossal Buddha statues with historical examples.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헌법에 보이는 전통적 문화 요소 (Traditional Culture Features in the Constitutions of Vietnam, Cambodia, and Thailand)

  • 나희량
    • 수완나부미
    • /
    • 제2권2호
    • /
    • pp.53-68
    • /
    • 2010
  •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traditional culture features of Vietnam, Cambodia, and Thailand and above this we try to find out the evidences that traditional culture features are shown up through the Constitutions of three countries. First, for Vietnam, unlike the other two countries, we could find out the traditional culture feature of strong resistance and struggle against the foreign powers like China throughout the history. Also, the loyalty for the community and country could be added as the traditional culture features as well. In contrast, for Cambodia and Thailand, we could see other aspects of traditional culture features, such as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Buddhism, historically sustained Kingship and respect for the King, the opportunistic foreign policy for the foreign powers to national survive. Furthermore, we could find out the evidences that these traditional culture features are shown implicitly or explicitly in the Constitutions of the three countries in all. Although three countries hav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experiences, cultures, and value systems, we could see that the Constitution of the three countries show that the traditional culture features are vigorously alive in it. Thus, we can say that this proves that the flow of traditional culture features are not easily changed or stopped by an era or ideology and still alive in the heart of the people.

  • PDF

사물인터넷환경에서 바라 본 인도와 서양의 융합: 무갈 회화와 기독교 성화(聖畫)의 만남 (The Convergence of India and West in the IoT Environment: Mughal and Christian Paintings)

  • 이춘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1-70
    • /
    • 2022
  • '연결'과 '지식'은 사물인터넷의 주요 키워드이다. 본 논문에서 기독교와 이슬람이라는 두 문명이 무갈 회화를 매개체로 하여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었고, 지식의 전파를 낳았는지 무갈회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 문헌과 그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서양 회화는 주제적 측면에서, 기독교 이미지와 상징은 무갈 황제의 왕권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양식적 측면에서, 서양 르네상스 시대 원근법과 명암법 등이 무갈 회화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서양 기법의 단순한 활용에서 시작된 융합은 후에 서양 기독교 아이콘이나 상징을 무갈 회화에 채용하기 시작했다. 나중에는 기독교 상징이나 주제를 절대 권력 왕권과 연결시켰고, 이를 더 활용하여 왕권=영성=신성의 개념으로 발전시켜 세계회화사에 유래없는 독창적인 예술 양식을 창조했다. 사물인터넷에서 '연결'과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이질적인 두 문화의 연결과 지식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 연구가 향후 사물인터넷에 대한 인문학 연구를 위한 하나의 플랫폼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Munhŭi's Dream within Ancient Oneiromancy

  • RIOTTO, MAURIZIO
    • Acta Via Serica
    • /
    • 제5권1호
    • /
    • pp.57-86
    • /
    • 2020
  •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tale Munhŭi who bought a dream which has been reported, with few variants, both in Samguk sagi and Samguk yusa. As the tale narrates a very particular and old dream, in which a urine flood forecasts kingship and royalty, it has not been investigated here on the basis of a modern psycho-analytical approach, but within eastern and western ancient cultural patterns regarding humans' consideration for excreta and criteria of dreams interpretation. The research led the author to propose for Munhŭi's dream an archaic (and today lost) archetype of interpretation, whose origin is perhaps to be found in the Ancient Middle-East.

근대 동남아불교의 힌두문화 수용 - 태국 라마끼엔의 힌두신화와 불교적 변용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Hindu Culture in Modern Southeast Asian Buddhism - The Structural Analysis of Hindu Myth and Buddhist Modification on Ramakien)

  • 김진영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1권2호
    • /
    • pp.43-75
    • /
    • 2011
  • The article focuses on the impact and Acceptance of Hindu culture in Modern Southeast Asian Buddh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ritically the influential epic Ramayana on Siam culture, Thai Ramayana version 'Ramakien', reveal instances of Buddhist Modification. The Ramayana by the great sage Valmiki is considered by Indians to be the first great literary work to be produced in India. The influence of this work is to be seen not only through centuries but even in other countries, such as Thailand where there are modified modern versions. In this paper, I have three objectives : (1) I may discuss the epic Ramayana of India gave birth to the Ramakien of Thailand. In modern times Valmiki's epic was made to fit the spiritual trends current in the new Chakri dynasty, which were themselves based on Brahmanic tradition and Theravada buddhism. With rega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Traibhumi cosmograph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rit and power implied by this cosmography ranks all beings from demons to deities in a hierarchy of merit which accrues according to karma the actions of past lives. (2) I analyze how to have attempted to dissect the Hindi and Thai version of the Ramayana. The Hindu concept of kingship is also depicted in the life of Rama. The Hindus see in Rama the norm of a true Hindu life characterized by the Caste and Dharma. In Thai transformed version, it does not preach Hindu values of personal or social life. The Ramakien emphasized that the Buddhism were higher than all other laws, and that the King is regarded as the incarnation of Phra Ram, and thus is also the narration of the righteous buddhist ruler. (3) I discuss how cultural or social contexts can influence the structure of the royal Wat. The whole epic was painted by the order of Rama I in the galleries of the Wat Phra Keo. In other words, it is the very centre of the dynastic cult enshrining the Emerald Buddha, the most iconic expression of the Ramakien tradition were officially amalgamated. Rama I was continued the process of elaborating and stabilizing the complex religious pattern, with Buddhism at the pinnacle. My finding will support the idea that the Ramakien is particularly appealing to the Thai people because it presents the image of an ideal king, Rama, who symbolizes the force of virtue or dharma while Thotsakan represents the force of evil. Eventually the force of good prevails. Being Buddhists, the Thai poets bring into the story the Buddhist philosophy(especially, the law of cause and effect, karma).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the Hindu epic Ramayana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act between Hindu India and Buddhist Southeast Asia. It should now be possible to evaluate what elements of Hindu culture were transmitted into Thai through the Rama story.

조선 궁궐 입지 선정의 기준과 지형에 대한 연구 - 경복궁과 창덕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opography and the Criteria of Choosing the Location-Allocation of Palaces - Focusing on Gyeongbokgung Palace and Changdeokgung Palace -)

  • 김규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130-145
    • /
    • 2019
  • 조선의 궁궐은 크게 법궁(法宮)과 이궁(離宮)으로 분류된다. 이와는 별개로 정궁(正宮)의 개념이 있다. 법궁은 정궁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궁이 정궁으로 활용되는 것은 정치적인 상황에 따른다. 한양 최초의 궁궐은 경복궁이며 법궁으로 지어졌다. 경복궁의 자연 지형은 왕권을 상징하는 백악산을 배경으로 하였으며 사신사가 뚜렷하다. 궁궐의 입지도 왕의 위엄과 권위를 나타내도록 궁궐 밖에서 잘 보이는 장소를 선정하였으며, 백악산의 능선을 따라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삼문삼조를 배치하여 왕권의 정통성과 위계질서와 통일성을 추구하였다. 이궁(離宮)은 왕의 요구나 왕실의 수요 또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건축되었으며, 왕실의 일상생활 공간으로서 복수의 축선에 의해서 독립적이고 다양한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법궁은 양(陽)의 지형을, 이궁은 음(陰)의 지형을 선택하였으므로 전각을 배치하는 준거 또한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조선 궁궐의 조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왕기(王氣)였다. 궁궐 건설의 중요 요소는 풍수기맥과 금천이다. 풍수기맥은 왕기를 수용하는 통로였고, 금천은 왕기가 궁궐 밖으로 퍼져나가지 않게 하는 방법론이었다. 전형적인 풍수 지형을 선택한 법궁(法宮)인 경복궁의 경우 풍수 요소를 적재적소에 적용하고 있어서 풍수 원리를 충실하게 반영하였다. 반면에 이궁(離宮)은 비정형적이고 온전하지 않은 풍수 지형에 지어졌다. 풍수는 조선시대 지배계층의 자연관이며 지리관이었다. 이들의 지리관을 살펴봄으로써 전통문화 계승과 복원에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정조(正祖)의 사대부(士大夫) 인식(認識)과 그 특징(特徵) (King Jeongjo's recognition on Neo-Confucian literati and it's historical meaning)

  • 박성순
    • 동양고전연구
    • /
    • 제32호
    • /
    • pp.103-128
    • /
    • 2008
  • 정조는 척족이 특권세력으로 발호하던 영조대 후반의 탕평정치에서 아버지를 여읜 피해자였다. 노론의 거센 방해공작을 뚫고 왕위에 오른 정조의 목표는 왕권 강화였다. 정조는 탕평정책을 영조 50여년 치세의 대업적으로 칭송하고 척신과 탕평당의 폐해를 지적하면서 신하들에게 왕을 위해 충성을 다하는 '국변인(國邊人)'이 되어줄 것을 요구하였다. 정조가 즉위 직후부터 설치 운영한 규장각(奎章閣)은 겉으로는 어제(御製)의 봉안 등을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정조의 우군을 양성하기 위한 기구였다. 그만큼 정조가 외척들을 누르고 어떻게 사대부들을 포섭하는가 하는 문제는 정권의 사활이 걸린 문제였다. 본고에서는 정조가 사대부들을 어떻게 굴복시키고 포섭하려 했는가라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조명하였다. 그것을 통해서 정조가 시도한 왕권강화책의 논리와 방법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정조는 경학(經學)의 본질은 성리학이 아니라 실생활과 절실하게 관련된 학문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사대부들의 이념적 근거를 붕괴시키고자 하였다. 정조가 사대부들의 풍기와 세도를 비판하고 그들의 학문인 주자성리학의 의미를 축소했던 것은 사대부들을 왕권에 복속시키기 위한 방편이었다. 붕당론이나 성학론을 기본으로 하는 사대부들의 정치 이념과 학문적 근거를 반박함으로써 공론(公論)의 주체로서 국왕의 권위를 강조하려고 하였다. 정조가 영조의 '군사(君師)' 개념을 계승하고 왕호도 '홍재(弘齋)'에서 '만천명월주인옹(萬川明月主人翁)'으로 바꾼 것은 그의 사대부 비판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난중일기≫에서 본 이순신의 꿈과 인격의 몇 가지 측면: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Dreams of Admiral Yi Sun-sin (1545-1598) in Nanjung Ilgi (Diary in War Time) and Some Aspects of His Personality: From Jungian Viewpoint)

  • 이부영
    • 심성연구
    • /
    • 제37권2호
    • /
    • pp.99-148
    • /
    • 2022
  • 이순신 ≪난중일기≫를 중심으로 이순신의 인격의 몇 가지 의식적 측면을 살펴보고 이순신의 꿈을 분석심리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무의식의 목적의미를 추론하고자 하였다. 그의 인간성은 알려진 바와 같이 충, 효를 철저하게 실천했고 나라를 위해 헌신한 영웅의 상과 일치한다. ≪난중일기≫에는 그의 강직함과 함께 매우 인간적인 감성, 오해와 정치적 박해를 겪어야하는 말할 수 없는 고통, 절망과 고독, 육친을 잃은 통곡이 숨김없이 묘사되고 있다. 일기쓰기와 이순신의 '아니마'의 또 다른 표현인 달밤의 시, 피리와 거문고 소리, 그리고 또한 불가해한 꿈을 보고 점을 쳐서 미래를 알아봄으로써 그는 그의 고독을 스스로 치유했다. 미래의 영웅을 키우고 이끌어준 어머니의 위대한 역할과 융이 말하는 모성콤플렉스와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이순신이 평생 괴로워한 '흉인', 원균이 이순신의 '그림자'로서 이순신이 의식화해야 했던 무의식의 열등한 인격이었다고 추정했다. 이순신의 죽음을 둘러싼 추측은 근거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난중일기≫에 기술된 이순신의 꿈 중 꿈의 내용이 조금이라도 기술된 꿈 32개와 이순신의 조카 이분(李芬)이 남긴 ≪이충무공행록≫에 수록된 꿈 3개, 총 35개를 살피고 특히 원형적 꿈을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해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받은 인상은 꿈이 이순신에게 '신격에 의해 선택된 사람'이라는 사실을 되풀이 알려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순신은 이를 바로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한 태도 때문에 오히려 자아의 팽창에 빠지지 않았다. 동시성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꿈과 이에 대한 이순신의 태도를 소개했다. 건강을 해치거나 편견에 빠질 위험을 경고하는 꿈도 있었고 '아니마'상, '자기'의 상징, 창조적 변환의 상징도 꿈에 나타났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가 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람임을 시사하는 꿈이 있었다. 그는 이를 몰랐거나 알았더라도 그런 생각에 관심이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현세적 왕보다 더 위대한 호국신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순신은 항상 천명(天命)을 살폈다. 그리고 천명은 그를 영웅의 길로 인도하면서 영웅신화에 불가결한 고행의 시련을 주었다. 박해자와 위로하는 자가 함께 그의 길을 인도했다. 그의 어머니, 원균, 선조, 그리고 영의정, 유성용까지 모두 이순신 영웅신화를 구체화하는데 기여했다. 이순신은 죽고 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