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g Sejong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3초

알칼리와 효소처리에 의한 멸치 추출액의 수율 및 관능적 성질의 향상 (Improvement of Yields and Organoleptic Quality of Anchovy Extract by Alkali-Protease Hydrolysis)

  • 김우정;박주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33-440
    • /
    • 1988
  • 천연 멸치추출액의 수율과 관능적 품질의 향상을 위하여 마른 중멸치를 0.3N NaOH알칼리 용액으로 마쇄하고 $60^{\circ}C$에서 1시간, 3시 간, 5시간 처리한 뒤 중화시켜 알칼리성 및 중성단백질 분해효소로 4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켰다. 알칼리 처리한 시료를 효소반응 시간별로 멸치 마쇄용액을 취하여 원심 분리시킨 상등액에 함유된 가용성 고형분, 단백질, 무기질 그리고 맛과 냄새에 대한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고형분의 수율은 0.3N NaOH로 5시간 처리한 시료에 alkaline protease로 1시간 반응시켰을때, 최고 76.4%가 회수되어 물로만 추출한 대조구보다 약 4배의 수율이 향상되었고. 조단백질의 수율은 최고 65.3%로 약 3.2배 였으며, 회분의 수율은 30-47%의 회분 수율범위를 보여 12.9%였던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맛이나 냄새와 같은 관능적 품질에서도 그 강도가 2-3배의 향상효과가 있었으며 효소를 처리한 시료의 기호도가 현저히 향상됨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형분, 단백질 및 회분수율과 관능적 품질을 고려할때 알칼리처리 3시간후 단백질분해 효소로 1-3시간 처리함이 멸치 추출액의 수율과 관능적 품질에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수분함량별 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s Differing in Moisture Contents)

  • 김우정;정남용;김성곤;이애랑;이상규;하연철;백무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85-890
    • /
    • 1995
  • 쌀 10품종(조생종 2품종, 중생종 4품종, 중만생종 4품종)의 수분함량에 따른 밥의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관능적 특성중 덩어리지는 정도, 경도와 질음은 모든 품종에서 수분함량과 유의성을 보였다. 밥의 바람직한 정도는 수분함량 66.5%에서 가장 좋았으며, 최적 수분함량으로 취반한 밥의 관능 특성은 이취, 윤기와 색깔에서 품종간 유의성을 보였고, 단 향기, 덩어리지는 정도, 단 맛과 텍스처(경도, 차질음, 질음) 그리고 바람직한 정도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

김치의 절임 및 숙성과정중 물리적 성질의 변화 (Changes i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 김우정;구경형;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3-487
    • /
    • 1988
  • 김치의 제조과정을 절임과 숙성 과정으로 구분하여 각과정중 배추조직 내의 소금 침투속도, 점도 및 텍스쳐등 물리적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배추의 절임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배추를 $4-35^{\circ}C$의 온도 범위에서 5-15%의 소금물에 침지시켰으며 김치의 발효는 절인 배추를 $4-35^{\circ}C$에서 발효시켰다. 절임시의 배추 내부에의 소금침투 속도는 절임 초기에 빠른 침투가 있다가 완만하여지는 현상으로서 온도와 소금농도가 높아질수록 소금의 침투 속도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침투속도의 증가율은 온도나 소금농도가 증가하면서 각각의 영향이 줄어들었다. 비교 점도로 표시한 점도는 절임시의 소금 용액에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발효 과정중 생성된 김치액은 약간씩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한편 배추줄기 부분의 텍스쳐는 절임 초기에 현저히 감소하였다가 완만한 감소를 보여주었으며, 발효과정에 의하여는 발효 중반기까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가 김치가 pH 4.2 이하로 시어지면서 견고성이 다시 증가하였다. 또한 힘-시간의 곡선에서 절임배추는 두개의 항복응력을 보였으나 김치의 pH가 낮아지면서 두번째의 항복응력이 없어지는 현상을 보여 김치 조직의 특이성을 보여 주었다.

  • PDF

남극 세종기지의 에너지 평형 (Surface Energy Balance at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 김준;조희구;정연진;이윤곤;이방용
    • 대기
    • /
    • 제16권2호
    • /
    • pp.111-124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seasonal variability of the surface energy balance at the King Sejong Station, Antarctica, using measurements and estimates of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balance for the period of 1996 to 2004. Annual average of downward shortwave radiation at the surface is 81 $Wm^{-2}$ which is 37% of the extraterrestrial value, with the monthly maximum of 188 $Wm^{-2}$ in December and the minimum of 8 $Wm^{-2}$ in June. These values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at other stations in Antarctica, which can be attributed to higher cloudy weather conditions in Antarctic front zone. Surface albedo varies between ~0.3 in the austral summer season and ~0.6 in the winter season. As a result, the net shortwave radiation ranges from 117 $Wm^{-2}$ down to 3 $Wm^{-2}$ with annual averages of 43 $Wm^{-2}$. Annual average of the downward longwave radiation shows 278 $Wm^{-2}$, ranging from 263 $Wm^{-2}$ in August to 298 $Wm^{-2}$ in January. The downward longwave radiation is verified to be dependent strongly on the air temperature and specific humidity, accounting for 74% and 79%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longwave radiation, respectively. The net longwave radiation varies between 25 $Wm^{-2}$ and 40 $Wm^{-2}$ with the annual averages of 30 $Wm^{-2}$. Accordingly, the annual average energy balance is dominated by radiative warming of a positive net all-wave radiation from September to next March and radiative cooling of a negative net all-wave radiation from April to August. The net all-wave radiative energy gain and loss at the surface is mostly balanced by turbulent flux of sensible and latent heat. The soil heat flux is of negligible importance in the surface energy balance.

콩의 침지중 부피의 변화 (Changes in Volume of Soybeans during Hydration)

  • 김종군;김우정;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9-293
    • /
    • 1989
  • 콩을 침지하는 동안 콩의 부피증가량은 침지시간의 평방근과 비례하였으며, 침지온도 $4^{\circ}C{\sim}60^{\circ}C$에서의 콩의 부피증가 속도는 수분증가 속도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콩의 부피증가의 활성화에너지 값은 침지온도 $4^{\circ}C{\sim}40^{\circ}C$에서 $3,700{\sim}4,900cal/mole$, 침지온도 $40^{\circ}C{\sim}60^{\circ}C$에서는 $2,700{\sim}5,000cal/mole$이었다. 침지온도 $4^{\circ}C{\sim}60^{\circ}C$에서의 콩의 부피증가로부터 수분함량 50%에 도달하는 시간과 온도와의 관계로부터 계산한 z-값은 $50^{\circ}C{\sim}55^{\circ}C$ 이었다.

  • PDF

남북극 과학기지에서의 에어로졸 광학 깊이 변동성 (The variation of aerosol optical depth over the polar stations of Korea)

  • 구자호;최태진;조예슬;이하나;김재민;안다현;김준;이윤곤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1-150
    • /
    • 2017
  • Using the NASA's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version 2 (MERRA-2) reanalysis for aerosol optical depth (AOD) and satellite-observed carbon monoxide (CO) data, we examined the basic pattern of AOD variations over the three polar stations of Korea: Jangbogo and King Sejong stations in the Antarctica, and Dasan station in the Arctic area. AOD values at King Sejong and Dasan station show the maximum peaks in spring, which looks associated with the high amount of atmospheric CO emitted from the natural burning and the biomass burning. Jangbogo station shows the much less AOD compared to other two stations, and seems not strongly affected by the transport of airborne particles generated from mid-latitude regions. All three polar stations show the AOD increasing trend in general, indicating that the polar background air quality becomes polluted.

우리나라 재래종 콩의 수분 흡수 특성 (Hydration Properties of Korean Soybeans)

  • 김종군;김우정;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6-262
    • /
    • 1988
  • 우리나라 콩 중 장려품종(봉의) 및 재래종 품종(KW12, KLS-77005-1 및 B-102)의 수분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콩을 $4-98^{\circ}C$에서 침지하였을 때 $40^{\circ}C$ 이하에서는 침지시간 10시간 동안에 평형상태에 도달하지 않았으나, $60^{\circ}C$이상에서는 3시간정도에서 평형상태에 도달하였다. 콩이 수분흡수속도는 102-B>봉의>KLS-77005-1>KW-12의 순이었다. 콩의 수분증가량은 침지온도에 상관없이 침지시간의 평방근과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수분흡수의 기본기작은 확산현상에 기인하였다. 침지온도 $4-20^{\circ}C$에서의 흡수의 활성화에너지 값은 2,0-2.7kcal/mole, 침지온도 $20-60^{\circ}C$에서는 6.4-6.6kcal/mole이었다. 콩을 $4-60^{\circ}C$에 침지하는 동안 일정한 수분함량에 도달하는 침지시간의 대수값과 침지온도와는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콩의 수화도가 증가할수록 z-값은 감소하였다. 수분함량 50%에 도달하는 z-값은 시료콩 모두 $50^{\circ}C$정도 이었다.

  • PDF

한글 디자인과 어울림 (Hangil Design and Oullim, the Great Harmony)

  • 안상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383-392
    • /
    • 2004
  • 오늘날 다원적 가치의 문화 환경에서 '어울림'이란 그 고유한 문화를 지속케 할 수 있는 생명적 원리이다. 글쓴이는 한글창제의 디자인 적 의의와 한글의 조형성과 우수성에 대한 평가 준거를 어울림의 관점에서 제시함으로써 '넓은 뜻의 디자인'이라는 지평에서 '한글의 디자인적 의의'를 조명해 보려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훈민정음 창제의 큰 뜻은 '다름'에 대한 깨달음의 실천, 사람을 '어엿비 여기는' 인본주의적 생각, 배우고 쓰기 '쉬움'에 바탕을 두고 있었고, 철학적 터전은 동양의 근본 사상인 태극 음양오행설에 두었다. 한글이란 사람 소리를 자연 철학적 관점에서 보고 그 소리의 생성과 조직을 음양오행의 역학에서 추출한 성운학 이론과 원리에 따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글자로 디자인한 것이다. 곧 뜻과 꼴이 맞는 어울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훈민정음 창제를 디자인 적 관점에서 보아, 제 모습 제 말에 어울리는 생명 적이고 질서 있는 시스템이자, 자연 성음의 원리에 맞고, 끝없이 구르고 변통 자재하는 유기적 디자인의 탄생으로 보았다. 나아가 한글 창제에 담긴 넓고 깊은 뜻과 포부가 '어울림'의 뜻에 맞는 완전함을 지향하는 '큰_디자인 짓'으로 규정하고, '어울림' 디자인 가치의 전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훈민정음 창제 정신을 되짚어 보며, 어울림'이 새로운 디자인 사상을 잉태하는 씨앗으로서, 표현적 가치와 잣대로, 또 이 시대의 디자인을 풍요롭게 하는 슬기로 작용하기를 바란다.

  • PDF

Seasonal Variation of Meteor Decay Times Observed at King Sejong Station ($62.22^{\circ}S$, $58.78^{\circ}W$), Antarctica

  • Kim, Jeong-Han;Kim, Yong-Ha;Lee, Chang-Sup;Jee, Geon-Hwa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0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9권1호
    • /
    • pp.29.4-30
    • /
    • 2010
  • A VHF meteor radar at King Sejong Station ($162.22^{\circ}S$, $58.78^{\circ}W$), Antarctica has been observing meteors during a period of March 2007-July 2009. We analyzed the height profiles of the observed meteor decay times between 70 and 95 km by classifying strong and weak meteors according to their estimated electron line densities. The height profiles of monthly averaged decay times show a peak whose altitude varies with season in the range of 80~85 km: higher peak in southern spring and summer than in fall and winter. The higher peak during summer is consistent with colder temperatures that cause faster chemical reactions of electron removal, as effective recombination rates measured by rocket experiments. The height profiles of 15-min averaged decay times show a clear increasing trend with decreasing altitude from 95 km to the peak altitude, especially for weak meteors. This feature for weak meteors is well explained by ambipolar diffusion of meteor trails, allowing one to estimate atmospheric temperatures and pressures, as in previous studies. However, the strong meteors show not only significant scatters but also different slope of the increasing trend from 95 km to the peak altitude. Therefore, atmospheric temperature estimation from meteor decay times should be applied for weak meteors only.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simple model decay times to explain the height profiles of the observed decay times and discuss the additional removal processes of meteor trail electrons through the empirical recombination and by icy particles.

  • PDF

온도와 pH에 따른 MSG 열분해의 속도론적 연구 (Thermal Degradation Kinetics of Monosodium Glutamate a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pH)

  • 차보숙;한민수;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5-359
    • /
    • 1991
  • 글루타민산 나트륨(MSG)의 열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가열온도 및 pH를 변화시키면서 가열 중 MSG의 분해정도를 비교하였다. 가열온도와 pH의 범위는 각각 $100{\sim}120^{\circ},\;4{\sim}9C$로 하였고, MSG는 2% 용액으로 만들었으며 가열 중 잔류 MSG 농도를 HPLC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 4와 $120^{\circ}C$의 3시간 가열로 약 73% MSG가 감소한 반면, $100^{\circ}C$에서의 3시간 가열은 12% 정도만이 감소함을 보였다. 가열온도와 pH에 따른 초기 MSG의 분해속도와 분해 속도상수{(%MSG/log(hrs)}를 비교한 결과 $110^{\circ}C$$120^{\circ}C$에서의 초기 분해속도는 pH 4가 가장 빨랐으며 분해 속도상수도 상당히 높은 값을 보였다. 분해가 가장 적었던 pH 범위는 $pH6{\sim}8$ 범위였다. 또한 가열온도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던 pH 4와 pH 5의 MSG 열분해 속도상수와 1/T의 관계에서 계산된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18.3 kcal/mole과 9.2 kcal/mole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