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g Sejo period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 세조대 기후특성과 재해 경감 노력 (Weather Characteristics and Efforts to Reduce Disaster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Chosun Dynasty)

  • 이욱;홍윤
    • 대기
    • /
    • 제22권2호
    • /
    • pp.199-20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weather characteristic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Chosun Dynasty based on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we need to determine whether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s a reliable material for research on weather characteristics. Thus, we compared weather phenomena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with those in China and Japan in the same period.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s a useful material at least to grasp macroscopic trends in weather phenomena. Based on this assumption, we analyzed weather characteristic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using data from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During the days of King Sejo, the climate was not changed violently and there were not many disasters caused by abnormal climate such as bad harvests. This suggests that the climate was relatively stable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 As a consequence of stable weather, famine decreased markedly. However, this was not only because of stable climate but also because of the government's active efforts to reduce disasters. As droughts and floods were not frequent, social costs for recovery from disasters also decreased considerably and the saved money could be invested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safety nets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One of factors supporting the enthronement of King Sejo was a series of heavily damaging bad harvests during the reign of Kings Munjong and Danjong. The prevention of bad harvests was a historical mission given to the regime of King Sejo. During his reign, King Sejo promoted various policies in order to stop bad harvests. Such efforts included the government's active construction of embankments, introduction of seeds suitable for reclaimed lands, and inspir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forceful farming enduring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s a result, abnormal weather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did not lead directly to bad harvests.

기문(記文)으로 본 세조(世祖)연간 왕실원찰(王室願刹)의 전각평면과 가람배치 (Architectural Plan And layout of Buddhist Temples(Wangsil-Wonchal) on through the Study of Records about Temple's Foundation during King Sejo(世祖) Period)

  • 이경미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5호
    • /
    • pp.81-100
    • /
    • 2009
  • The study on Buddhism architecture in early Joseon dynasty was inactive. The period of King Sejo is important for studying the trend of Buddhism architecture in early Joseon, that was transmitted from the end of Goryeo dynasty, but it was difficult to know its exact situation due to lack of related records. The records were all written by Kim Su-ohn, which are Wongaksabi' 'Sangwonsajungchanggi' 'Bongseonsagi 'Geonginsajungchanggi'. The main hall was mainly second floor and there were necessarily annexed buildings at the right and left of the main hall. So the plane figure of $\Box\Box\Box$ was shown. It was a main stream for main hall. This layout may be referred to search for the origin of the layout in courtyard based structure(中庭形)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st of temples had 3 gates. Some part of horizontal corridor was used as 2 gates and the outer gate, far from main hall, was without corridor. The gate leading to front yard of main hall was called front gate, the next middle gate and the outer gate was Oisamun(外沙門) or Samun(沙門). Im most of the temples, people could enter into the front yard through pavilion which had the function of bell tower. The pavilions were located between front gate and first corridor. It is thought that this layout of the place for making bean curd outside the temple area will contribute to different studies on temples making bean cure in the future. The records about temples's foundation studied above are a little different between temples, but have more similarities. There common denominators represent the architecture tendency of Buddhist temples in the related period. It is thought that such a tendency was also shown on architecture of other templ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as well as Buddhist temples.

  • PDF

조선전기(朝鮮前期) 임금들의 피부병(皮膚病)에 관한 고찰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kin Diseases of the Kings during the First Period of Joseon Dynasty)

  • 이해웅;이상협;김훈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5-157
    • /
    • 2014
  •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is the precious historical material which contains royal culture of Joseon dynasty as an official document. It kept a record of the diseases and treatments relating to the 27 Kings for a period of 518 years, who had a variety of different symptoms. Among them the most frequent disease was a skin disorder such as a boil of a painful infected swelling. Dermatosis became the direct cause of death of several Kings. In this article we tried to conduct research us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skin diseases of the Kings during the first period of Joseon dynasty from the first King Taejo (太祖) to the 12th King Injong (仁宗). Among the 12 Kings, the 5th King Munjong (文宗), the 7th King Sejo (世祖), the 9th King Seongjong(成宗), the 10th King Yeonsangun (燕山君), and the 11th King Jungjong suffered from dermatosis. The King Munjong died at the age of 38 and suffered from severe boils before his death. The cause of death is thought to be septicaemia. The King Sejo does not have any specific record of skin disease, however, the recently discovered relics showed the indications of serious skin trouble of boils. The King Seongjong suffered from skin diseases at the age of 20, 27, 28 and 38. Nevertheless, the direct cause of death was not dermatosis. The King Yeonsangun had skin trouble of boils on his face when he was 20. He lost the throne and died of an infectious disease at 31. The King Jungjong had a record of suffering from dermatosis at the beginning of twenties, at the middle of forties, and at the age of 57 when he died. The skin trouble affected the whole of the body. He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therapy and medication for both internal and external uses among which folk remedies were included.

세조의 원각사13층석탑 건립과 그 의미체계 (King Sejo's Establishment of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and Its Semantics)

  • 남동신
    • 미술자료
    • /
    • 제101권
    • /
    • pp.12-46
    • /
    • 2022
  • 1467년에 완성된 원각사13층석탑은 한국 역사상 최후의 호불군주에 의한 최후의 도성불탑이다. 필자는 세조가 즉위 10년을 맞이하여 도성(都城) 중심부에 13층석탑을 세우고 탑에 석가사리(釋迦舍利)와 함께 '신역원각경(新譯圓覺經)'을 봉안한 뜻을 세조의 관점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머리말에 이어 제II장에서는 13층탑의 경전적 배경을 다각도로 고찰하였다. 특히 필자는 13층탑 건립의 직접적인 소의경전으로서 『대반열반경후분(大般涅槃經後分)』을 최초로 발굴하고, 이 경전이 7세기 후반 중부 자바에서 번역되고 동아시아에 유통된 사실을 추적하였다. 아울러 13층탑의 기원으로서 이른바 카니시카양식의 탑을 주목하고 동아시아와 한국에서의 13층탑 조성 사례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불교문헌을 탐색하여 '13층'이 깨달음[Buddha]으로 나아가는 수행 단계를 상징함을 입증하였다. 확실히 '13'은 불교도에게는 매우 특별하면서도 신성한 숫자라 할 수 있다. 이어서 제III장에서는 세조의 원각사13층탑 건립의 불교적 정치적 함의를 탐색하였다. 불교적 함의와 관련해서는, 세조가 중국에서 직접 구입하여 조선에 최초로 유통시킨 『번역명의집(翻譯名義集)』과, 그가 최초의 한글 번역에 직접 개입한 『원각경(圓覺經)』에 주목하였다. 『번역명의집』은 14세기에 출현한 일종의 불교용어집인데, 세조는 원각사탑을 창건할 무렵 이 문헌을 통하여 13층탑의 소의경전인 『대반열반경후분』을 알았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한편 세조는 대장경 전체를 상징하는 단일경전으로 '신역 원각경'을 원각사탑에 봉안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그가 최초의 한글 번역에 깊이 관여한 『원각경언해』였다. 아울러 『원각경언해』의 저본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종밀(宗密)의 『원각경략소(圓覺經略疏)』임을 밝혔다. 원각사탑 건립의 정치적 함의와 관련해서는, 조선 초 왕실의 능사(陵寺)(또는 진전사원(眞殿寺院))에 세워진 석탑-경천사13층석탑(敬天寺13層石塔), 개경사석탑(開慶寺石塔), 연경사석탑(衍慶寺石塔), 신륵사다층석탑(神勒寺多層石塔)-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세조가 자신의 왕위계승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정치적 상징으로서 원각사13층석탑을 건립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고에서 필자는 13층탑으로서의 원각사탑의 의미체계를 온전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여말선초 정점에 달한 불탑 문화를 이해할 뿐 아니라, 카니시카대탑에서 기원하고 『대반열반경후분』에 근거하는 동아시아의 13층탑을 연구하는 데 한국적 연구모델로서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Metal Type Buddhist Book Edi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 송일기;정왕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23-246
    • /
    • 2015
  • 이 연구는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인한 불교서적에 대해서 서지학적 측면에서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행한 불교서적은 모두 36종이 현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간행에 사용한 활자별로 분석해 보면, 갑인자본이 9종, 을해자본이 13종, 정축자본이 2종, 을유자본이 3종, 그리고 전사자본이 9종으로 밝혀졌다. 그 가운데 을해자로 간인된 불서가 13종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이고 있어 전체 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를 간행시기로 분석한 결과, 조선전기에는 모두 27종이, 조선후기에는 모두 9종의 불교서적이 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세조대에 간행된 금속활자본은 19종으로 조사되어 전체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조의 비정상적 즉위와 더불어 호불적 성향과 깊은 영향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실의 낙산사(洛山寺) 중창과 후원 (The Rebuilding and Patronage of Naksansa Temple in Joseon Royal Family)

  • 이상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2호
    • /
    • pp.116-139
    • /
    • 2017
  • 낙산사는 익조(翼祖)인 이행리(李行里)가 관음굴에서 후사점지를 기원하여 도조(度祖)를 낳게 해준 사찰이었다. "태조실록" 등에 도조는 조선개창의 예언을 직접적으로 받은 인물로 기록된다. 낙산사는 창건 이래 관음신앙의 본산으로 그 명성이 꾸준히 이어져 왔으며, 도조의 잉태로 조선의 창업과 관련있는 사찰로 주목받았다. 도조의 낙산사 관음굴 기복잉태설은 조선후기까지 왕실과 사대부들 사이에서 회자되었다. 이성계(李成桂)도 낙산사에 관심을 보였고, 세조(世祖)가 강원도 순행(巡幸) 시 예종의 원찰로 중창하였다. 낙산사는 세조가 왕권강화 등을 위해 불교적 상서(祥瑞)와 이에 따른 사찰의 중창 등을 집중적으로 시행하던 시기에 중창되었다. 이러한 정책과 달리 낙산사 중창은 세조가 자식 예종의 무병장수 기원을 위한 신앙심의 발현으로 추진한 것이었다. 세조의 낙산사 중창의지는 매우 강했다. 그러므로 낙산사는 국가의 전폭적 후원을 받으며 중창되었다. 낙산사 중창비용은 국가에서 모두 충당하는 것으로 표면화하고 추진하였으나, 워낙 큰 공역이었으므로 중창에 필요한 물자와 비용조달에 따른 지역의 피해는 매우 컸다. 조선왕실에서는 낙산사 중창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감동승(監董僧) 학열(學悅) 또한 비호해 주었다. 낙산사는 중창직후 왕실의 지원으로 사세가 더욱 번창하였다. 예종과 성종은 전지(田地)와 노비 등을 낙산사에 하사하고, 강원도에서 공납하던 소금을 사급(賜給)하는 등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낙산사 경내를 보호하기 위해 낙산사 인근 양양대로를 폐지하고, 새 길을 개설하였다. 그리고 낙산사 해안 십리의 구역에 포어(捕漁)를 금지하는 금표를 세워 민간의 출입을 금지시켰다. 낙산사는 조선후기에 들어 크게 쇠락했으나 왕실의 원당보호정책 속에서 후원이 지속되었고, 원당으로서의 명맥과 사세를 유지해 나갔다.

세종과 세조연간의 의학교과서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List of Medical Textbooks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and Sejo)

  • 국수호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9-67
    • /
    • 2022
  • The medical text books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seen to change over time by examining various records. These records show that the list of medical textbooks suddenly changed a lot between the era of King Sejong and Sejo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si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is topic yet, this study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auses of these changes were identified: The first reason is the compilation project of Euibangyoochui (醫類聚聚) because the date of compilation of Euibangyoochui is clearly related to the period of change to the list of medical textbooks. The second reason is the difficulty of the medical examin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Medical tests in the Joseon Dynasty were very difficult. Therefore, it was too unrealistic to keep 25 or 26 textbooks. Third, there was the problem of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textbooks. Because the prices of these books were very high at that time, owning 25 or 26 medical books for an individual was a significant financial hardship.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is through various forms of circumstantial evidence. However, mor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discovered in the future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of the time.

원각사종(圓覺寺鐘)에서 보신각종(普信閣鍾)으로 -조선시대 탈불교화의 일례- (Transforming the Wongaksa Bell[Buddhist Bell] to the Bosingak Bell[Court Bell]: An Example of the Debuddhismiz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 남동신
    • 미술자료
    • /
    • 제104권
    • /
    • pp.102-142
    • /
    • 2023
  • 보신각종은 호불군주 세조가 즉위 10년을 맞이하여 한양 도성 한복판에 원각사를 건립하면서 그곳에 봉안하고자 1468년에 조성한 범종(梵鐘)이었다. 현재 보신각종은 타종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손상되었는데, 그것은 원각사종에서 보신각종으로의 역사적 변천을 잘 보여준다. 필자는 본고에서 보신각종에 가해진 인위적 훼손에 주목하여, 누가, 언제, 왜 훼손하였으며, 그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먼저 제1장에서는 관련되는 선행 연구성과를 검토하여 필자의 문제의식과 연구 관점 및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가장 주된 논점인 보신각종과 원각사종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학설사를 검토하여, '보신각종=원각사종'의 관점에서 필자가 논의를 전개함을 밝혔다. 이어서 제2장에서는 세조가 원각사종을 조성하게 된 배경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선 초에 왕명으로 조성한 종들을 조종(朝鍾)과 범종(梵鐘)으로 나눈 다음, 조종 4구-태조의 종루종, 태종의 돈화문종, 세종의 광화문종, 세조의 사정전종-와, 범종 3구-세조의 용문사종, 흥천사종(또는 정릉사종) 및 원각사종-를 만든 시기순으로 정리하였다. 요컨대, 세조는 만년에 원각사종을 조성하면서, 거기에 한 마음으로 임금과 부처가 소리로써 백성을 교화하겠다는 의미를 부여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보신각종에 보이는 인위적 훼손의 흔적을 면밀하게 고찰하였다. 먼저 보신 각종의 현상을 관찰한 다음, 이를 보신각종을 전후하여 조성한 흥천사종(1462) 및 봉선사종(1469)과 비교하여, 범종의 구성 요소 가운데 무엇이 얼마나 훼손되었는가를 추적하였다. 훼손된 구성 요소는 다시 불교적 요소-견대(肩帶)의 복련(伏蓮), 보살입상 4구, 최항(崔恒)이 지은 종명(鐘銘)-와, 비(非)불교적 요소-주종 관계자 가운데 도제조(都提調) 명단-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원각사종에서 불교 문자와 상징이 지워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불교지우기'라 명명하고 그 이념적 요인으로 동시대 유자(儒者)들의 맹렬한 벽불론(闢佛論)을 주목하였으며, 후자는 정치적 요인으로 연산군의 갑자사화를 지목하였다. 그리고 보신각종의 인위적 훼손에는 이념적 요인과 정치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시기를 갑자사화(1504년)부터 연산군 퇴위까지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범종으로서의 원각사종이 조종으로서의 보신각종으로 바뀌는 과정을 추적하고, 그 변신의 의미를 종소리의 상징성에 초점을 맞추어 음미하였다. 1468년 최종적으로 완성된 원각사종은 1504년까지 36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만 예불(禮佛)을 위한 범종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1504년 원각사가 폐사되면서 그 역할도 끝났다. 1536년에는 원각사지에서 남대문으로 옮겨졌으며, 1594년 11월 다시 타종할 때까지 전후 90년 동안 침묵 속에 방치되었다. 그런데 임진왜란 때의 병화로 종루종이 파괴되면서 원각사종은 조종으로 재탄생하였으며, 명동 고개를 거쳐 1619년 종루로 이전되었다. 이때부터 명실상부한 종루종[보신각종]으로서 1908년 일제가 타종을 중단시킬 때까지 300년 가까이 매일 새벽[파루(罷漏)]과 저녁[인정(人定)]마다 규칙적으로 타종되었다. 원각사종[범종]에서 보신각종[조종]으로의 변신은, 종소리가 상징하는 바가 부처의 소리에서 임금의 소리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원각사종이 보신각종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단적으로 드러난 '불교지우기'는, 조선 전시기에 걸쳐 불교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났다. 요컨대, 보신각종에서 확인되는 불교지우기야말로 조선시대 한국 사회의 탈불교화를 역설한다 하겠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통해 본 왕의 위락활동 유형과 변천 (A Study on the Types and Changes of the King's Amusement Activities through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 강현민;신상섭;김현욱;마일초;한서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9-49
    • /
    • 2018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제왕들의 위락활동과 변천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궁중 안팎 외부공간에서 행해진 왕의 위락활동은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회형은 회례연, 진연(進宴), 풍정(豊呈), 진찬(進饌), 양로연, 사신연, 수연(壽宴), 곡연(曲宴) 등이었고, 강무형은 활쏘기, 격구, 사냥 등이며, 유희형은 나례(가면놀이), 처용무, 풍두희(?頭戱), 그리고 화산붕(불꽃놀이), 꽃놀이(賞花), 투호, 수박희(手搏戱), 낚시, 뱃놀이, 각투(角鬪), 상희(象戱), 잡희 등이었다. 위락 활동은 고려시대 답습기[1기, 태조~세조(예종)], 확립기[2기, 군사문화가 성리학 문화로 전환되었고 연회의 규례가 제도화, 성종~중종]. 단절기[3기, 임진왜란 등 불안한 정세 속에서 침체, 단절 초래, 성종~현종]. 중흥기[4기, 위락 문화 재정비, 수준 높은 왕실 문화의 자긍심 표출, 숙종~정조]. 그리고 쇠퇴기[5기, 세도정치로 왕권이 추락하면서 위락 활동이 급격히 퇴조, 순조~순종] 등 5단계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왕들의 사냥 관련 기사는 600건 이상 추적 되는데, 태종, 세종, 세조 등은 각 100여회 이상이었다. 사냥 대상은 호랑이, 곰, 사슴과 노루, 표범, 멧돼지, 매 등 이었고, 한양의 동북쪽 산림지역에서 주로 행해졌는데, 산수풍광이 수려하고 지리에 익숙한 풍양, 철원지역 등 북방의 정세와 안전을 살피기 위한 방안, 그리고 풍양이궁(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장소성 등과 밀접하게 연계된다. 단오절 세시풍속으로 대중에 확산된 격구놀이는 조선 초 왕과 신하들의 최상류층 마상격구로부터, 중기이후 무과시험의 마상격구와 상류층의 보상격구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 확산되어 겨울철 남성들의 집단유락문화로 전승되는 과정이 추적된다. 특히, 강무형 위락문화는 봄(활쏘기), 여름(투호), 가을(활쏘기), 겨울(격구) 등 심신수양을 겸한 4계절 행위요소로 작용되었다. 한편, 조선시대 왕과 왕비들의 연향과 같은 위락 활동은 공식적 의례의 경우 내정(內庭)에서, 비공식적 관유(觀遊)의 경우 궁궐 후원이나 별궁에서, 특수 연회의 경우 모화관과 태평관, 기로소 등 별원(別園)에서, 활쏘기의 경우 성균관 사단에서, 사냥의 경우 금표가 설치된 강무장(금원과 원유)에서, 매사냥의 경우 한강변 광나루에서, 격구의 경우 보격구 중심으로 내정이나 별궁에서 다양하게 행해졌다. 즉, 외조, 치조, 연조, 후원의 범위를 넘어서 별원과 금원, 원유 등 한양에서 최대 100리 범위 까지를 활동영역으로 설정하는 위락문화 확장성(정(庭)${\rightarrow}$원(園)${\rightarrow}$원(苑)${\rightarrow}$원유(苑?))을 추적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수준 높은 기록문화의 추적을 통해, 역대 왕들의 위락문화를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고, 위락 활동(진찬, 회례연, 양로연, 대사례, 사신연 등은 물론 사냥, 활쏘기, 격구, 투호, 처용무, 낚시, 뱃놀이, 불꽃놀이 등) 전모와 장소성, 그리고 상징적 의미, 역사적인 전승과정과 위락문화 등을 복합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식우(拭疣) 김수온(金守溫)의 『의방유취(醫方類聚)』 편찬 사적(事蹟) (Kim Su-On's Work on the Compilation of 『Euibangyoochui(醫方類聚)』)

  • 안상우;홍세영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
    • /
    • 2011
  • Kim Su-On(1409~1481) was a editor in King Sejong's times who worked on the publication of "Euibangyoochui(醫方類聚)" and other major publications led by the royal family. This paper will review the works of Kim Su-On based on the medical background of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medical book-reading officer system, and also evaluate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e in early Joseon Dynasty, factoring in his life, ideas, and literary talent. By looking at the life of Kim Su-On, we can understand the role of Confucian doctors(儒醫)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 Confucian scholars who were learned in medicine supervised the compilation and correction of "Euibangyoochui(醫方類聚)". Especially, from the poetry of "Sikujip(拭疣集)", contents regarding the proofreading of "Euibangyoochui(醫方類聚)" between Im Won-jun and Kim Su-On shows the publication process of "Euibangyoochui(醫方類聚)" at the reign of King Sungjong. His outstanding achievements are largely due to the medical book-reading officer system implemented around the time "Euibangyoochui (醫方類聚)" was published. The medical book-reading officer system aimed to increase the knowledge of various matters for the civil service bureaucrats, allowing them to become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fields of technology. Its another purpose was to compile specialty publications. Many of the civil service bureaucrats who participated in the medical book publications arranged the theoretical basis of medicine and modified experience medicine to a new medical system. The first edition of "Euibangyoochui(醫方類聚)" at King Sejong's reign collected vast medical information into 365 books. Then it was corrected during King Sejo's reign then finally completed and published at King Seongjong's reign. During this period, the experience medicine inherited from Goryeo Dynasty was reestablished into a new form of theoretical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