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 homogenat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갓김치 Chlorophylls 및 Carotenoids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holorophylls and Carotenoids in Mustard Leaf Kimchi Activity)

  • 송은승;전영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1-425
    • /
    • 2001
  • Antioxidative effects of crude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on the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homogenate, egg phosphatidyl choline (EPC) liposome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were examined. The extracts were found to inhibit the increase of th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and show the effect of antioxidative activity on the liposomal phospholipid membrane. The oxidation index of EPC liposome was markedly decreased in the prescence of the extract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was not related with fermentation period of the kimchi. The extracts from mustard leaf showed the similar antioxidative activity of $\alpha$-tocopherol within in the given level of addition. However, the oxidation index. When th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on free radical scavenging was observ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t had similar value to that of $\alpha$-tocopherol.

  • PDF

무우김치 숙성 중 thiocyanate(gitrogen)함량, 기질(indolylmethyl glucosinolate) 함량 및 myrosinase 활성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 of Thiocyanate (Goitrogen) Amount, Indolylmethyl Glucosinolate Content and Myrosinase Activity in Redish Kimchi during Fermentation)

  • Mee Ree Kim;Hei Soo Rhee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
    • /
    • 1989
  • 깍두기 숙성 중 thiocyanate 함량 및 thiocyanate 생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숙성 적기는 3일로 판정되었으며, 이 시기의 pH는 3.8, 산도는 16.1mEgNaOH/100g이었다. 무우중의 thiocyanate 함량은 0.44∼2.28mg/100g이었으며 깍두기중의 thiocyanate함랑은 숙성 1일에 73%, 숙성 3일에 32%로 감소하였다. Thiocyanate 생성에 관여하는 indolylmethyl glucosinolate 함량 및 myrosinase 활성도는 깍두기 숙성 중 점차 감소하여 각각 25% 및 4%에 달하였으나, myrosinase의 조효소로 작용하는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숙성기간 중 약 1mM 정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깍두기 숙성 중 thiocyanate 생성 감소 현상은 김치 숙성 중 pH 감소에 의한 indolylmethyl glucosinolate의 분해와 myrosinase의 불활성화에 기인되었다.

  • PDF

김치 첨가 햄버거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Kimchi Homogenate)

  • 김정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4-38
    • /
    • 2004
  •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가 젖산균 함량이 높고 락트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산화탄소와 수소 등의 가스를 생성하는 다양한 젖산균류가 살아있는 특성을 활용해서 김치와 빵을 배합하여 햄버거용 김치빵을 제조한 후 그 물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고 기능성 제빵 제품으로서 상용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김치 파쇄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죽의 pH는 5.58이었으나 7% 첨가구의 경우는 5.30, 14% 첨가구는 5.24, 21% 첨가구는 5.19로서 김치 첨가율이 높을수록 pH는 낮아졌으며 산도는 pH와는 반대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굽기 손실율은 대조구에 비해 김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10.90%, 8.73%, 6.55%, 5.45%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oaf volume index는 김치 파쇄물을 첨가한 빵이 대조구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7% 첨가시는 5.4%, 14% 첨가시는 10.8%, 21% 첨가시는 17.2% 증대되어 김치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빵의 부피가 뚜렷하게 증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빵의 hardness는 김치 파쇄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 낮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7% 첨가구는 대조구 경도의 80.6%, 14% 첨가구는 56.9%, 21% 첨가구는 51.3%를 나타내었다. 빵의 cohesiveness는 김치 파쇄물의 첨가율이 7∼l4%일 경우는 증가한 반면 21% 첨가구의 경우에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빵의 springiness도 cohesiveness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gumminess는 첨가율의 증대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며 brittleness도 비슷한 감소결과로 나타났다. 김치빵의 외관은 김치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14∼21% 첨가구가 높았다. Crust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내부조직의 색상은 14∼21% 첨가구가 기호도가 높았다. 맛에 대한 기호도는 14>21>7>0% 순이었으며 조직감은 21>14>7>0%의 기호도를, 향미에 대한 기호도는 14>21>7>0%첨가구의 순으로 맛에 대한 기호도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14>21>7>0%순으로 14%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여러 결과에서 김치 파쇄물을 14%첨가한 구에서 물성 및 관능적 품질특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김치 해물만두의 항돌연변이 및 항산화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eafood Bun with Kimchi)

  • 강갑석;김용택;손미혜;심기환;허정숙;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99-404
    • /
    • 2001
  • 김치 첨가 해물만두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고자 시판 만두, 해물만두 및 20% 김치첨가 해물만두 추출물에 대한 항돌연변이,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간접돌면변이원으로 알려진 aflatoxin B$_1$을 첨가한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및 YG 1024에 만두 추출물을 5 mg/plate 농도로 처리한 후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 20% 김치첨가 해물만두의 돌연변이 저해율이 47% 및 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소공여능은 모두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시판만두, 해물만두 및 20% 김치첨가 해물만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0.1%의 BHT 첨가군 보다는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대조군의 과산화물가는 크게 증가한 반면 20% 김치첨가 해물만두 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시판 및 해물만두 추출물의 경우는 약간 낮게 나타났으나 0.1% BHT 첨가군보다는 모두 높았다. 횐쥐의 liver homogenate에 만두추출물을 처리한 후 TBA가를 조사한 결과 20% 김치첨가 해물만두 추출물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두 50% 이상이었다.

  • PDF

젖산균과 온도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II)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I))

  • 조영;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5
    • /
    • 1991
  • 김치발효 중에 주로 나타나는 Lac. plantarum, Leu. mesenteoides, Ped. acidilactici, Lac. brevis 등의 젖산균들이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이 젖산균들을 순수 배양하여 염도 2.31%의 김치즙에 접종한 후 $30^{\circ}C$, $21^{\circ}C$, $7^{\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알코올 당의 변화 및 생균수의 변화를 관찰하고 관능검사를 하였다. Ethyl alcohol은 control group과 Leu. mesente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특히 $14^{\circ}C$에서 더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당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감소 정도는 pH 및 총산도의 변화와 잘 일치하였다. 총 생균수는 발효초기에는 증가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에 있어서 김치가 적당히 익은 정도의 pH및 산도를 보이는 시기와 최고의 균수에 도달하는 시기가 일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모든 온도에서 Control group이 냄새와 맛이 가장 좋았고 그 다음 4종의 젖산균을 혼합접종한 시료 Leu. mesentenoides를 접종한 시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온도에 있어서는 $14^{\circ}C$에서 맛과 냄새가 좋았다.

  • PDF

병포장 갓김치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tion Activities of Bottled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복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50-957
    • /
    • 2009
  • Mustard Leaf Kimchi (MLK) is a traditional fermented Korean vegetable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 vacuum treatment on MLK packed in a glass bottle during fermentation. There have been a few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MLK fermentation. However, the major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vacuum treated MLK.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vacuum treated mustard leaf Kimchi (VM) and control mustard leaf Kimchi (CM) were examined. VM and CM were fermented at $5^{\circ}C$ for 8 weeks. A model system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rude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CCC)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The oxidative reaction of the linoleic acid mixture system at $30^{\circ}C$ in the dark was quantified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and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The effect of the CCC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in a rat liver homogenate was examined. Formation of lipid peroxides was estimated by the TBA value, and the CCC extracts were found to inhibit the TBA value. Chlorophyll a and b, and carotenoids,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 CCC extracts of Kimchi were isolated on a DEAE-sepharose CL-6B and Sepharose CL-6B column and TLC. The effects of chlorophyll a and b, caroteins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were measured by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In addition, their effects on free radical scavenging were investigated by DPPH. In this assay, chlorophyll a showed the greatest antioxidative activity followed by chlorophyll b, and carotenoids. MLK contains a sufficient content of chlorophyll a and b, and carotenoid which have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

젖산균과 온도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I)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

  • 조영;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5
    • /
    • 1991
  • 김치 발효 중에 주로 나타나는 Lac. plantarum, Leu. mesenteroides, Ped. acidilactici, Lac. brevis 등의 젖산균들이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이 젖산균들을 순수배양하여 염도 2.31%의 김치즙에 접종한 후 $30^{\circ}C$, $21^{\circ}C$, $14^{\circ}C$, $7^{\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pH및 총산도의 변화, 휘발성 유기산과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효들의 발효온도에 따른 pH 및 산도 변화 경향은 서로 매우 유사하며, 특히 1$14^{\circ}C$에서 이러한 경향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Lac. plantarum이나 Ped. acidilactici 그리고 Lac. brevis를 접종한 시료들은 control group이나 Leu. mesenteroides, 4종의 젖산균을 혼합접종한 시료보다 더 느리게 pH 및 총산도가 변화하였으며 특히 $14^{\circ}C$에서는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 그리고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서만이 발효가 진행되었다. 휘발성산과 비휘발성산의 변화 양상도 control group,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 있어서 서로 매우 유사하였다. 검출한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formfic, acetic acid뿐이었으며, 이들은 Leu. mesenteroides나 Lac. brevis 등에 의해 주로 생성됨을 알 수 있다.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에서 다른 발효온도에서보다 $14^{\circ}C$에서 acet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모든 시료에서 lactic acid가 검출되었고,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에서 $21^{\circ}C$$14^{\circ}C$에 citric aicd가 검출되었으며 succinic acid는 controlgroup과 Lac. brevis를 접종한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 PDF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β-카로텐과 비타민 C의 영향 (Effect of β-Carotene and Vitamin C on Chlorophyll-Induced Photooxidation)

  • 류승희;이혜숙;이영순;권태완;송영선;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6
    • /
    • 2005
  •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beta$-카로텐과 비타민 C의 역할을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과 피부조직 균질액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이와 더불어 각각의 성분들의 조합시 일어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에서 클로로필과 $\beta$-카로텐은 고농도에서 자외선 H에 의한 광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농도의 비타민 C는 이를 억제시켰다. 갓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클로로필, $\beta$-카로텐, 비타민 C 농도를 참고하여 이들을 조합하였을 때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억제시켰으며 $\beta$-카로텐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다른 항산화성분들과 함께 사용될 경우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ICR mouse의 피부조직 균질액에 클로로필, $\beta$-카로텐, 비타민 C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였을 때 클로로필 a, b 및 $\beta$-카로텐의 첨 가는 광산화를 가속화시켰다. 비타민 C의 경우 5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0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500 ppm의 비타민 C에 클로로필과 $\beta$-카로텐을 혼합하였을 때에도 광산화가 억제되었으며 비타민 C의 농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깻잎 첨가 국수 대량 생산 공정 개발 및 이의 항산화 효과 (Mass Production Process for Flour Noodles Containing Perilla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Effects)

  • 현효은;이은화;노정숙;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88-1693
    • /
    • 2011
  • 깻잎 부산물(깻잎)의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깻잎이 첨가된 기능성 면 대량생산 제조공정을 개발하고, 깻잎 첨가면의 항산화 기능을 유리기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각 공정별 최적조건 결정은 각 단계별로 제조된 면으로 물 국수를 만들어 외관, 맛, 향, 질감, 기호도에 대해 9점 척도로 관능 평가하였다. 깻잎 데치기 과정은 깻잎 중량 30배의 끓는 물에서 중불로 8분간 깻잎을 데치기 하였을 때 가장 관능평가 결과가 좋았다. 깻잎균질액의 농도는 40%가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를 밀가루 중량의 60%(w/w) 첨가하였을 때(최종 농도 19%) 외관, 질감 및 기호도 평가가 다른 조건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만들어진 제조공정에서는 깻잎을 수세하는 과정, 그리고 반죽 시 물을 첨가하는 과정을 단축할 수 있었다. 깻잎첨가면의 DPPH 소거능은 $IC_{50}$ 0.56 mg/mL로 일반면의 11.00 mg/mL에 비해 19.6배 높아졌다(p<0.001). 깻잎첨가면의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IC_{50}$ 9.53 mg/mL로 일반면의 13.1 mg/mL에 비해 1.4배 높았다(p<0.01). Hydroxyl radical 소거능 역시 $IC_{50}$ 169.2 ${\mu}g$/mL로 일반면의 3 mg/mL에 비해 17.8배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깻잎 첨가에 의해 밀가루면의 관능성과 기능성이 증가되었고, 이는 깻잎에 함유된 페놀화합물 때문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