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 Jong-Un regim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김정은 체제에서의 북한 의생활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Clothing Culture of North Korea under the Regime of Jong Un Kim)

  • 최현숙
    • 복식
    • /
    • 제66권6호
    • /
    • pp.122-134
    • /
    • 2016
  • With the advent of the new political regime of Jong Un Kim, North Korea is undergoing many changes, with its main motivation being economic growt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in clothing in North Korea under the new political climate. The research conducted a review on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y. For literature review, books and papers from studies related to North Korea have been reviewed. For the empirical part, interviews with diverse class of North Korean refugees including Hanawon, videos on TV, 1,100 pictures and related articles from newspapers and Internet have been collected.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subtle changes in North Korean fashion started prior to the Jong Un Kim's regime, but has become full-blown since Kim's assumption of power. This proves that the country is not yet independent from its political sit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Ri Sol-ju has liberalized the fashion concept of North Korean women, and the popularity of her trademark style has actually contributed to a more amicable image for Kim. Second, the "Hallyu" style has spread to North Korea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has started new trends. Third, the diversification of fashion styles has been greatly accel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market, resulting from the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y. Last of all, Jong Un Kim's direct orders concerning fashion have resulted in some significant changes. The sophisticated uniforms of flight attendants and the development of luxury cosmetics being prime examples. As studies on this subject are extremely ra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identify the changes on the clothing culture under Jong Un Kim's regime, and to present an expanded view, as the two countries work towards an united Korea.

북한 신년사 분석을 통한 김정은 시대 지속과 변화 (Possible Continuity and Change of North Korea Though Analysis of, Kim Jong-un's New Year's Message)

  • 이성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1호
    • /
    • pp.75-87
    • /
    • 2014
  • 집권 3년차의 김정은 시대 북한의 지속과 변화 분석은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한 결과 보다 합리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의 신년사를 활용하였다. 북한에 있어서 신년사만큼 영향력 있는 사항은 드물며 북한사회의 제 분야에 있어서 한해의 길라잡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발표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 신년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종합된 신년사를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로 구분하여 발표방법, 내용구성, 기타사항을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북한 정권별 신년사 특징과 함의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김정은 시대의 지속과 변화를 전망해 보았다. 먼저 지속적인 사항으로 제시한 사항은 사회주의 체제 고수와 선군정치의 통치방식이다. 변화사항으로는 (1) 경제난 타개를 위한 부분적인 개방문제, (2) 북한의 핵문제, (3) 자본주의 성격의 유입과 사회주의 통제력 약화, (4) 김정은의 해외 유학경험 등을 4가지 사항을 변화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김정은 시대의 북한 사회의 변화와 지속요인은 복합적으로 작동될 것이다. 김정은 시대의 북한의 지속과 변화문제는 남북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핵심 사항들이다.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국론결집 노력 강화와 변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북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A Study on the Motivating Factors for Nuclear Development in the Kim Jong-un Era (2011-2017)

  • Deog-Sung Jung;Yong-Hy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281-285
    • /
    • 2024
  • Within five years of Kim Jong-un's rise to power, North Korea conducted four nuclear tests and launched the Hwasong-15,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in 2017, declaring the completion of its nuclear forces. During the period when Kim Jong-un completed nuclear forces to maintain the regime, foreign policy factors of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and South Korea drove North Korea's accelerated nuclear development. The main motivating factors were the hostile policies and external threats as security factors. The completion of nuclear forces is also the result of the interplay of domestic political factors, normative factors, and hereditary factors. North Korea has been developing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for the survival of its regime. To achieve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 new modus vivendi must be sought. It is necessary to set the ultimate goal of North Korea's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engage in strategic thinking for a realistic and effective phased approach.

조선노동당 제8차대회 당규약 개정과 '당중앙의 유일적 영도체계'의 조직적 변화: 김정은 정권의 당정군관계를 중심으로 (The Revision of the Rule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and the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Monolithic Guidance System of the Party Core': Focusing on Party-Government-Military Relations in Kim Jong Un Regime)

  • 김태경;이정철;양혜
    • 분석과 대안
    • /
    • 제6권1호
    • /
    • pp.115-162
    • /
    • 2022
  • 2021년 8차 당대회에서 개정된 조선노동당 규약은 김정은 정권의 북한의 사회주의·공산주의에 대한 이데올로기 규정변화, 새로운 전략적 노선 및 최근 정세변화를 반영하는 한편, 중앙과 지방을 포괄하는 당 조직체계 상 주요 변화를 포괄한다. 본 연구는 9차례 개정된 조선노동당 규약 전체를 대상으로, 2021년 1월 개정 당규약이 명시한 '당중앙의 유일적 영도체계'의 조직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정권의 권력구조, 즉 수령제 및 당·정·군관계를 평가한다. 2010년 3차 당대표자회 후계구도를 거쳐 2012년 4차 당대표자회 이후 공식출범한 김정은 정권은 2022년 4월 집권 10년을 앞두고 당 수반이자 국가 수반인 김정은을 중심으로 한 유일영도체계를 제도화하고 새로운 당·정·군 조직 재편을 통해 일원적 지도·집행체계를 확립했다. '당중앙의 유일적 영도체계'는 당 수반-총비서의 당중앙위원회 기구를 통한 '조직영도'의 체계로 구축되며 김정은 시대 당-국가체제의 제도화와 일원화를 동시에 보여준다. 이러한 조직적 개편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삼중고'를 겪고 있는 김정은 시대 북한의 위기관리체제 확립의 특성을 보이며 향후 김정은 정권의 통치구조를 이해, 전망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Analyzing the Business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Agricultural Policy Changes in North Korea

  • Chehwan LIM;Seunghwan SHIN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4권3호
    • /
    • pp.37-50
    • /
    • 2024
  • The agricultural policy of Kim Jong-un's regime inherits the economic reform policy of the Kim Jong-Il period, which expands the autonomy of production and allows the market to dispose of products. The formation of markets represent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s it indicates the establishment of fundamental conditions for management. However, major crops are still mainly managed by the state, and the government implements agricultural policies, such as emphasizing "Juche Farming."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ransition economic policies during the Kim Jong-un period on agricultural production using variability. Production variabilities increased for minor grain crops compared to previous years, but those of major grain (rice and maize) and horticultural crop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Even the production quantity of horticultural crops decreased,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predicts that the expansion of the North Korean market would increase the consumption power of North Koreans and promote horticultural crop product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erative for North Korea to develop policies aimed at stabilizing crop yields in the face of production variability. It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n agricultural early warning system as a feasible solution to enhanc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and promote inter-Korean cooperation.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과 우리의 대응방안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and our countermeasures)

  • 이현희;김규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27-135
    • /
    • 2017
  • 현재 북한에서 3대 세습체제의 김정은은 역대 김일성과 김정일 정권보다 더욱 호전적으로 핵 및 미사일 도발을 자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역대 정부는 나름대로의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노력과 한반도에서의 평화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왔지만 결과론적으로는 통치자로서의 기본 역할에 국한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2017년 2월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라 미국 대선 과정에서의 공약과 현재에는 대통령령으로서의 통치 스타일을 고려할 때 한반도 문제와 관련하여 다소 희망적이었던 것은 사실이나, 최근 들어 트럼프 대통령의 한반도 관련 다양한 발언은 우리의 상황을 암울하게 하고 있다. 이의 연장에서 김정은의 핵 및 미사일 집착은 역대 북한 정권이 기초를 닦아놓았고 이제 마무리하여 실전배치를 앞둔 상황에서 핵 및 미사일의 경량화, 고도화, 다종화를 기치로 더욱 무모한 도발을 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우리는 현재 안보상황을 과거처럼 타국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대한민국 스스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찾기 위해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도발을 중심으로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North Korea's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Kim Jong-un

  • Sun-Ju KIM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4호
    • /
    • pp.11-18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North Korea under the Kim Jong-un regim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was reviewed by dividing it into physical, socio-cultur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policy aspects. Results: Pyongyang are considerably superior due to it being the residence of the country's leadership and middle class. Secondly, there is a concerning problem with the provision of substandard housing. Construction materials are in short supply, and unreasonable timelines often lead to uninhabitable houses, signaling a need for assistance in housing construction. Thirdly, there is a severe lack of essential residential infrastructure, such as reliable electricity and clean water supply, which significantly impacts the quality of life. Lastly, due to the country's economic hardships, basic housing rights are not guaranteed, leading to deplorable living conditions for many North Koreans. The report suggests that these issues should be addressed through international aid to guarantee the basic human rights of North Koreans. Conclusions: In North Korea, the poor living environment deteriorates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citizens and adversely affects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nternational support and cooperation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North Koreans is important.

북한 문헌에서 경관의 시각적 서술 경향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Descriptions of Landscapes in North Korean Literature)

  • 안진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9-47
    • /
    • 2020
  • 이 논문은 북한에서 출판된 문헌에서 '경관'이 지칭하는 대상과 글의 맥락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북한 내 '경관'의 사회적·문화적 기의를 읽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연속 간행물과 신문 기사에서 '경관'이 무엇을 서술하기 위한 단어로 사용됐는지를 경관의 종류에 따라 나누었고, 이를 시대의 흐름에 따라 파악했다. 그 결과, 북한에서 '경관'이 가지는 사회적·문화적 의미는 '정통성 투영의 대상', '도시로 확장된 시각성', '가시화된 사회주의 선경'으로 나눠 해석할 수 있다. 먼저, 백두산에 관한 글에서 '경관'은 후계자의 정통성을 입증하는 매개체로 사용됐다. 다음으로, 김정은 체제에서 '경관'은 인간의 경제적 활동에 의한 시각적 작용의 결과물까지를 서술하는 단어로 사용됐다. 마지막으로, 경관 차원의 성과를 가시화하는 방법으로, 김정은 집권 시기에는 '사회주의 선경'과 같은 경관 서열화의 용어를 채택했다. 이는 과거의 것과 명확히 구분되는 경관의 가시화 장치의 하나로 풀이할 수 있다.

유엔의 북핵 대북제재조치의 실효성과 북한의 체제생존전략 (Efficacy of UN's Sanctions on North Korea's Nuclear and North Korea's Regime Survival Strategy)

  • 김주삼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2권1호
    • /
    • pp.69-92
    • /
    • 2018
  • 북한은 2006년 1차 핵실험을 시작으로 2017년 9월까지 총 6차례의 핵실험을 감행하였다. 북한은 미국의 대북적대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체제수호와 방어적 차원에서 핵무장력 담보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의 전략적 목표가 북미협상을 통해 북한체제 위기를 극복하고 그들의 한반도 사회주의통일을 위한 핵무장력을 완성하는 데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북한의 계속된 핵실험은 한반도평화를 위협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으며, 동북아안보 역학구도에 간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엔안보리는 이러한 북한의 무모한 핵실험에 대해 지난 10년 이상 6차례의 유엔안보리 결의로 대북제재조치를 단행해 왔다. 그러나 북한 김정은 정권은 유엔과 미국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조치에도 불구하고 핵 경제병진노선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조치가 북한에 대한 효과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 것은 북한이 강도높은 핵실험으로 격상시키는데 요인으로 분석된다. 2017년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제재 조치 수단 가운데 하나인 대북 군사옵션은 한반도에서의 전면전과 국지전 양상으로 예상된다. 미 트럼프 행정부는 이전의 미국 행정부의 대북제재 조치 양상과는 다르게 세컨더리 보이콧이라는 외교압박전술을 시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조치에 대해 북 미 간 전면적인 군사대결 입장을 밝히며 '벼랑끝 전술'로 맞서고 있다. 북한은 당분간 체제생존차원에서 핵 경제병진노선을 추진할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체제는 미 중 간의 현실주의적 국가전략 추진으로 체제붕괴 변수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전략적 선택의 폭은 좁아진다.

김정은의 병진노선에서 사이버의 역할: 북한의 정치문화, 해커, 해양전술 (The Role of Cyber in Kim Jong Un's Byungjin Line: North Korea's Political Culture, Hackers, and Maritime Tactics)

  • 벤자민 영
    • 해양안보
    • /
    • 제3권1호
    • /
    • pp.45-72
    • /
    • 2021
  • 북한의 사이버 능력은 세계 금융기관 및 외국정부(특히 미국정부, 한국정부)들에 비교적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 본 정성 논문에서는, 언론 기사, 학술 출간물과 같은 공개 원천들을 주로 이용하여, 북한 지도자 김정은이 자국의 비대칭 전력을 강화하고 병진노선(경제와 군사력의 동시 발전)을 진전시키는 방식을 분석한다. 특히 북한 공작원들은 사이버 분야와 해양 분야를 통합함으로써 체제에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심한 제제에도 불구하고 북한 지도부가 권력을 유지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북한 해커들에 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졌지만, 북한의 국제정치 문화에서 사이버의 중요한 역할을 조사한 분석가는 거의 없으며, 특히 김정은의 병진노선 진전 부문에 있어서는 더 그렇다. 사이버는, 오래전부터 존재해 온 북한의 비정규전 및 게릴라 기반 무장투쟁 전통에 잘 맞아떨어진다. 또한, 사이버는 경제 혁신가 및 군사 전략가로서의 김정은의 북한 내 개인의 명성 역시 높인다. 본 논문은 이데올로기 맥락 및 해양 맥락에서 북한 사이버 작전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다. 북한 해커들은 한국 조선산업을 타깃으로 해왔으며, '해양 체인(Marine Chain)'이라는 블록체인 사기도 개발했다. 북한 사이버 첩보원들은 활동에서 사이버 분야와 해양 분야의 연계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춰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