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 Hongdo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9초

철새 중간기착지인 전남 홍도에서 참새목 조류의 서식지 이용 (Habitat Use of Passerine Birds at Hongdo Island, a Stopover Site)

  • 김경희;채희영;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5-333
    • /
    • 2010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조류의 중간기착지인 전남 홍도에서 참새목조류의 서식지 이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교목, 관목, 초지, 농경지 등 주요 서식지 유형 중 관목에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교목과 관목, 농경지에서의 조류 행동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교목에서는 주로 휴식을 취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x^2$=61.583, df=2, p<0.001), 농경지에서는 취식을 하는 양상이 나타났고($x^2$=117.339, df=2, p<0.001), 관목에서는 취식의 비율이 가장 낮고 휴식과 기타행동의 비율은 유사하게 나타났다($x^2$=66.725, df=2, p<0.001). 추계에는 춘계에 비해 교목에서의 관찰 빈도가 증가한 반면 관목, 초지, 농경지에서의 관찰 빈도는 감소하였다. 서식지다양도와 종다양도 간에는 서식지다양도가 높을수록 종다양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585, p<0.01). 본 연구는 참새목 조류의 중간기착지에 대한 보전 전략을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홍도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 이지혜;소순구;서강욱;김무열;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4-61
    • /
    • 2010
  • 홍도 상록활엽수림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을 사용하여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식물사 회학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붉가시나무군락, 굴거리군락, 소사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토양특성은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Ca, 치환성 Mg, 양이온치환용량(CEC)의 함량이 6.49~13.71%, 0.19~0.46%, 26.19~10.63(mg/kg), 0.24~0.56($cmol^+$/kg), 0.68~3.19($cmol^+$/kg), 0.83~1.82($cmol^+$/kg), 9.74~22.55($cmol^+$/kg) 이며, pH는 4.04~4.14로 약산생토양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사나무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붉가시나무군학과 굴거리 군락은 다소 낮은 해발고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붉가시나무군락이 굴거리군락보다 전질소, CEC, 치환성 Ca 함량이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 김하송;오장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6
    • /
    • 2010
  • 본 조사는 2006년 6월 9일부터 2008년 12월 30일까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지역중 여수시 금오도, 거문도, 고흥군 외나로도, 완도군 청산도, 소안도, 보길도, 진도군 하조도, 신안군 우이도, 흑산도, 홍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5과 100종이 조사되었다.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82종이 조사되어 전 조사지역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진도군 하조도에서 68종, 흑산도와 금오도에서 각각 52, 55종으로서 비교적 많이 분포하며, 신안군 우이도에서 34종이 홍도에서 42종이 나타나, 조사지역중에서 상대적으로 귀화식물이 적게 나타났다. 전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종은 오리새, 호밀풀, 큰이삭풀, 돌소리쟁이,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유럽나도냉이,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아까시나무, 토끼풀, 덩이괭이밥, 자주괭이밥, 코스모스, 개망초, 실망초, 망초, 개쑥갓,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도꼬마리 등 26종이 나타났다. 귀화식물 분포특성을 생육지의 특성에 따라 조림지역, 해수욕장, 항구, 공한지(나대지) 주변지역, 도로경계 주변지역, 도로절개지, 비탈면 주변지역, 폐경작지 지역, 쓰레기매립장 주변지역, 습지 주변 지역 등 7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주요 귀화식물 분포를 비교하였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은 국립공원내의 독특한 자연경관, 생물종, 식생경관,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하여 귀화식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Cryptonemia rotunda (Halymeniales) and Schizymenia apoda (Nemastomatales), two new records of red algae from Korea

  • Kim, Su-Yeon;Seo, Tae-Ho;Park, Jeong-Kwang;Boo, Ga-Hun;Kim, Kyeong-Mi;Boo, Sung-Min
    • ALGAE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12
  • Here we report the first finding of Cryptonemia rotunda and Schizymenia apoda in Korea based on plastid rbcL sequence analysis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s. C. rotunda occurred in the subtidal in Hongdo and Namyeodo on the south coast. Thalli have short stipe with foliose, membranous blades with dentate margin, a length of 2-8 cm. S. apoda occurred in many locations along the coast of Korea. Thalli are foliose, simple or broadly lanceolate blades with irregular lobes and proliferations from the margins, sometimes undulate, soft fleshy, and slippery, up to 32 cm tall, and have cystocarps with ostioles on the blade. Plastid rbcL sequences reveal that each of these species is clearly separated from other species of their respective genera. S. apoda was well resolved within the genus. However, C. rotunda was distantly related to other members of the genus, and this result needs an urgent revision of the genus.

The Status of Seabirds in Korea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Methods using Seabirds

  • Kim, Mi-Ran;Lee, Won-Choel;Zubrzycki, Igor Z.
    • 환경생물
    • /
    • 제29권3호
    • /
    • pp.113-125
    • /
    • 2011
  • Seabirds have adapted to life in marine environments. More than 25% of the bird species observed in South Korea are seabirds, using the coast area of Korean peninsula as a stop-over and wintering, and breeding site. The aims of this review ar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migratory and resident Korean seabirds and to discuss the methods that are currently employed to monitor the marine environment. In Korea, it has been reported that more than 400,000 individuals of seabirds breed on Nando Islet, Chilbaldo Islet, Guguldo Islet, Sasudo Islet, Hongdo Islet and Dokdo Islet. In 2010, approximately 160,000 seabirds also visited South Korea during the winter. Two of the main treats were introduced wildlife and habitat destruction by humans. Seabirds are monitored mainly at the population and individual levels. The assessment of population sizes and biomagnifications of pollutants are performed preferably at the community and population levels. Behaviour,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success is analyzed at the individual level and employed to gauge the health of the marine environment. In addition, we could suggest that molecular technique of seabirds successfully ado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llutants and toxins in the marine environment.

Vibrio damsela의 분리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of Vibrio damsela)

  • 주진우;김일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5-232
    • /
    • 1987
  • Authors studied on the isolation of V. damsela from sea water, fish and shellfish at the Keoje Hae keumkang on the southern sea and at Hongdo island and Heucksan island on the western sea of Korea from May to September in 1986. Authors investigated for the isolated strains to bacteriological identification, hemolysis about various erythrocyt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V. damsela was isolated 14 strains from total 383 specimens; 233 cases of sea water, 40 cases of fish and 110 cases of shellfish, respectively. Eight strains were isolated from sea water and 6 strains were isolated from shellfish. 2.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hich differentiate it from other Vibrio species were indole negative, ornithine negative, Voges-Proskauer positive, arginine positive, galactose positive, glucose positive, maltose positive, mannose positive, trehalose positive, and growth in nutrient broth with 1% to 6% NaCl. 3. On hemolysis reaction on blood agar media using human, rabbit and guinea pig erythrocytes, human erythrocytes were 11 strain positive, rabbit erythrocytes were 12 strain positive and guinea pig erythrocytes were 13 strain positive. 4. Senistivity test using with chemotherapeutic agents of "BioLab" Microbial Sensitivity Test Discs were generally sensitived to amikacin, ampicillin, cephaloth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ycin, kanamycin, methicillin, penicillin, streptomycin, tetracycline and tobramycin, respectively, but were resistant to lincomycin.

  • PDF

용주사(龍珠寺) <삼세불회도(三世佛會圖)> 연구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검토 (A Review Examining the Dating, Analysis of the Painting Style, Identification of the Painter, and Investigation of the Documentary Records of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 강관식
    • 미술자료
    • /
    • 제97권
    • /
    • pp.14-54
    • /
    • 2020
  • 용주사 <삼세불회도>에 대한 연구는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네 가지 핵심 사항이 실증적인 근거와 일관된 논리 아래 모두 일치되도록 정합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의 용주사 <삼세불회도> 연구에서 제기된 19세기 후반 화승 제작설과 1790년에 제작된 원본을 1920년대에 일반화가가 서양화법으로 개채한 것이라는 소론은 실증성과 논리성이 결여되어 성립되기 어렵다. 현존 <삼세불회도>의 축원문(祝願文)은 세자(世子) 책봉을 받지 않은 원자(元子)만 있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관습대로 의례적인 삼전(三殿) 축원문을 썼다가 이를 주사로 지우고 다시 "주상전하수만세(主上殿下壽萬歲), 자궁저하수만세(慈宮邸下壽萬歲), 왕비전하수만세(王妃殿下壽萬歲), 세자저하수만세(世子邸下壽萬歲)"라는 특별한 내용과 예외적인 순서로 개서(改書)했는데, 이는 조선후기 불화의 축원문 형식과 내용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정조대 왕실의 전례(典禮)를 면밀히 분석해 볼 때, 현존하는 <삼세불회도>가 1790년의 창건 당시에 그려졌던 원본 진작임을 말해주는 가장 확실한 객관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삼세불회도의 형식(形式)과 도상(圖像), 양식(樣式), 미감(美感), 화격(畫格) 등을 18~19세기 불화나 궁중화원 양식과 다각도로 비교분석해 보면 용주사 <삼세불회도>는 1790년경 전후에만 나타나는 특징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축원문(祝願文)에 대한 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18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종교적 위상에 따라 존상의 크기가 결정되고 화면 구성도 근하원상(近下遠上)의 고식(古式) 원근법에 따라 관념적, 평면적 조형 위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 <삼세불회도>는 투시법적 원근법의 논리에 따라 구축된 입체적 공간 속에 존상들을 매우 체계적으로 배치한 뒤 서양화(西洋畫)의 음영식(陰影式) 명암법(明暗法)을 적극적으로 구사하며 흰색 하이라이트와 그림자까지 표현함으로써, 마치 삼세불회(三世佛會)의 장엄한 세계가 눈앞에 실제로 펼쳐져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 투시법적 원근법의 내적 질서와 음영식 명암법의 외적 착시는 골육합체(骨肉合體)처럼 내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흰색 하이라이트만 떼어내서 후대에 개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결코 아니다. 더구나 이 <삼세불회도> 같은 고도의 서양화법과 높은 화격(畫格)의 창의적 융합은 조선후기 회화사상 김홍도와 이명기, 김득신 같은 정조대의 궁중화원만이 이룩할 수 있는 고도의 양식이자 화격이다. 용주사 주지 등운(等雲)이 창건 이래 용주사에 전해져온 기록을 토대로 『용주사사적(龍珠寺事蹟)』을 정리하며 김홍도가 <삼세불회도>를 그렸다고 기록한 것은 이것이 당시의 역사(歷史)이자 실상이었기 때문이다. 조정의 공식 기록인 『일성록(日省錄)』과 『수원부지령등록(水原府旨令謄錄)』에는 김홍도와 이명기, 김득신이 감동(監董)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는 의례 화승(畫僧)들이 그려왔던 불화를 관원 신분의 화원에게 그리도록 하는 것이 엄격한 관직 체제나 운영상 부당한 것이기 때문에 정치적 부담을 피하기 위해 명분상 감동으로 발령한 뒤 실제로는 불화를 직접 그리도록 했던 데서 나타난 결과였다. 영정조대의 어진(御眞) 도사 과정에서 감동으로 불러들인 문인화가 조영석(趙榮祏)과 강세황(姜世晃)에게 국왕이 직접 그릴 것을 요구했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감동(監董)'과 '집필(執筆)'은 경우에 따라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개념으로서 '감동'이 '집필'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겸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용주사사적』의 기록은 『일성록』이나 『수원부지령등록』은 물론 황덕순의 「닫집 원문」 기록과도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행간의 의미를 찾아 복합적으로 읽으면 각각의 맥락과 필요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표리를 다르게 기록해 놓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해석할 때 우리는 용주사 <삼세불회도>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네 가지 핵심 사항을 모두 실증적인 근거와 일관된 논리 아래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 인물화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적용 모색 -김홍도의 도석인물화를 중심으로- (Digital Storytelling Application for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Portrait -Focusing on the Portrait of Hong Do Kim-)

  • 김선영;전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325-331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 인물화의 현대적 정체성 확립과 현세적 변용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웹기반에서 개방적이고 다매체성을 통해 의사소통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을 탐구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예시로 김홍도의 도석인물화를 선정하고 작품 속에 담겨있는 내러티브와 예술적 의의를 탐색하였고 김홍도의 신화적 스토리를 디지털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 인물화에 대한 내러티브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개발전략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기대효과도 확인하였다. 전통 인물화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역사인물이 갖는 역사적, 예술적 가치와 의미를 찾아내고 그것이 현시대에 공감적인 의미를 지니도록 시대 반영적 해석 및 변용을 하는데 유용한 접근이 될 수 있다.

한국 남서해안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하계 해조상 (Summer Algal Flora of Dadohae National Park,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박찬선;이건웅;조용성;김광봉;오장근;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27권3호
    • /
    • pp.252-260
    • /
    • 2009
  • The summer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9 islands in Dadohae National Park,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June to September 2008. A total of 81 species (13 green, 22 brown and 46 red algae) of marine algae were identified. Among 9 islands,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was the highest as 65 species at Jindo and the least as 37 species at Hongdo. The dominant species were Enteromorpha compressa,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amansii, Caulacanthus okamurae, Gloiopeltis furcata, and Symphyocladia latiuscula. The algal zonation of inter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Gloiopeltis furcata, Ishige okamurae, Caulacanthus okamurae-Enteromorpha compressa, Sargassum thungergii-Gelidium amansii, Symphyocladia latiuscula from upper to lower zone. The flora investigated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such as coarsely branched form (38.1%), filamentous form (24.7%), sheet form (11.3%), thick leathery form (13.9%), jointed calcarious form (6.3%) and crustose form algae (5.7%). R/P and (R+C)/P values were 2.2 and 2.8, respectively. A cluster analysis of species occurrence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marine algal species was different from greatly among the sampling sites.

축산공해(畜産公害)에 관(關)한 연구(硏究) -양돈업(養豚業)을 중심(中心)으로 (STUDY ON THE NUISANCE IN THE ANIMAL FARM)

  • 전창기;김종우;라광연;김교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233-240
    • /
    • 1975
  • 돈분뇨(豚糞尿)의 공해(公害)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유성종축장(儒城種畜場) 홍도동양돈장(弘道洞養豚場)에서 사육(飼育)되고 있는 모돈(牡豚) 27두(頭)를 가지고 분뇨량(糞尿量),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理) 함량(含量) 기생(寄生) 충란(蟲卵), 검사등(檢事等)을 실시(實施)하였으며 돈사오수(豚舍汚水)의 정화(淨化)를 목적(目的)으로 돈분(豚糞)에 발효제(醱酵齊) 오니등(汚泥等)을 첨가(添加)하고 정유물(淨游物), 증발잔유물(蒸發殘留物), 열감작량, B.O.D 등(等)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분뇨량(糞尿量)은 1일평균(日平均) 유성종축장(儒城種畜場)이 최고(最高) 2700g, 최저(最低) 500g 이었고 홍도동양돈장(弘道洞養豚場)이 최고(最高) 4500g, 최저(最低) 450g으로서 분뇨비(糞尿比)는 1 : 1이었다. 2)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理)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질소(窒素)는 분(糞)이 0.514 ppm, 뇨(尿)가 0.802 ppm, 인산(燐酸)은 분(糞)이 0.0739%, 뇨(尿)가 2.261%, 가리(加里)는 분(糞)이 0.0967%, 뇨(尿)가 1.094%이였다. 3) 분(糞)의 기생충란(寄生蟲卵)을 조사(檢査)한 결과(結果) 돈폐충(豚肺蟲) 및 장결절충란(腸結節蟲卵)이 가장 많고 회충(蛔蟲)이 다음이며 편충(鞭蟲)과 간충란(桿蟲卵)이 가장 적었다. 4) 발효제(醱酵齊)의 첨가효과(添加效果)는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건조잔유물(乾燥殘留物), 부유물(浮留物), 열감작량, B.O.D 등(等)의 감량(減量)이 나타났으나 현저하지 못하였고 오니(汚泥)를 첨가(添加)할때의 분해효과(分解效果)는 발효제(醱酵齊)에 비(比)하여 상승(上昇)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