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word Trends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28초

빅데이터 분석 도구 R 언어를 이용한 비정형 데이터 시각화 (Visualizing Unstructured Data using a Big Data Analytical Tool R Language)

  • 남수태;진금회;신성윤;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1-154
    • /
    • 2021
  •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대용량 데이터 속에서 의미 있는 새로운 상관관계, 패턴, 추세를 발견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 방법들은 기존 통계학과 전산학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패턴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 도구인 R언어를 이용하여 전-처리된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화 함수를 통해 분석결과를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한국정보통신학회 학회지 논문 중에서 2021년 3월호 논문 21편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최종 분석결과는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데이터"가 305회로 1위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빅데이터 분석 도구 R 언어를 이용한 논문 데이터 시각화 (Visualizing Article Material using a Big Data Analytical Tool R Language)

  • 남수태;신성윤;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6-327
    • /
    • 2021
  • 최근 빅데이터 활용은 매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대용량 데이터 속에서 의미 있는 새로운 상관관계, 패턴, 추세를 발견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 방법들은 기존 통계학과 전산학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패턴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 도구인 R언어를 이용하여 전-처리된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화 함수를 통해 분석결과를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특정 학회지 논문 중에서 29편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최종 분석결과는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연구"가 743회로 1위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에 관련 메타분석 2000년부터 2023년까지 - (Meta-Analysis of Self-Advocac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Research from 2000 to 2023)

  • 진수미;김화수;이지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01-210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학술 등재지 및 학위논문에 게재된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효과 크기, 질적 지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자기옹호 관련 논문 총 2153 편 중 발달장애인을 키워드로 한 연구 41편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관련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청소년 및 성인, 또는 전환기 시기에 20-30명이 있는 학습상황에서 10-19회기수를 기준으로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권고하며, 특수교육, 통합교육 등 교육적 차원에서만 국한된 연구가 많은데 이를 적용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자기주장, 자기권리를 효과적이고 세련되게 주장할 수 있는 언어재활 차원에서의 자기옹호 언어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A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Constructed Wetlands as Stormwater Treatment Systems

  • Reyes, Nash Jett;Geronimo, Franz Kevin;Guerra, Heidi;Jeon, Minsu;Kim, Lee-Hyu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2-162
    • /
    • 2022
  • Stormwater management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land-use planning and development. Due to the additional challenges posed by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various stormwater management schemes have been developed to limit flood damages and ease water quality concerns. Nature-based solutions (NBS) are increasingly used as cost-effective measures to manage stormwater runoff from various land uses. Specifically, constructed wetlands were already considered as socially acceptable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s that are widely used in different countries. There is a large collection of published literature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r efficiency of constructed wetlands in treating stormwater runoff; however, metadata analyses us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are very limited or seldomly explo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rends of publication regarding stormwater treatment wetlands using a bibliometric analysis approach. Moreover,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various countries, authors, and institution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study. The Web of Science (WoS) database was utilized to retrieve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keywords ("constructed wetland*" OR "treatment wetland*" OR "engineered wetland*" OR "artificial wetland*") AND ("stormwater*" or "storm water*") were used to retrieve pertinent information on stormwater treatment wetlands-related publication from 1990 up to 2021. The network map of keyword co-occurrence map was generated through the VOSviewer software and the contingency matrices were obtained using the Cortext platform (www.cortext.ne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inquiry revealed the areas of research that have been adequately explored by past studies. Furthermore, the extensive collection of published scientific literature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existing knowledge gaps in the field of stormwater treatment wetlands.

  • PDF

A Study on the Network Text Analysis about Oral Health in Aging-Well

  • Seol-Hee K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2-311
    • /
    • 2023
  • Background: Oral health is an important element of well aging. And oral health also affects overall health,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we sought to identify oral health influencing factors and research trends for well-aging through text analysis of research on well-aging and oral health over the past 12 years. Methods: The research data was analyzed based on English literature published in PubMed from 2012 to 2023. Aging well and oral health were used as search terms, and 115 final papers were selected. Network text analysis includ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hesion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Net-Miner 4.0 program. Results: Ex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st frequent keywords in 115 articles, 520 keywords (Mesh terms) were psychology, dental prosthesis and Alzheimer's disease, Dental caries, cognition, cognitive dysfunction, and bacteria. Research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were Dental caries (0.864), Quality of life (0.833), Tooth loss (0.818), Health status (0.727), and Life expectancy (0.712).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it consisted of 4 groups. Group 1 consisted of chewing and nutrition, Group 2 consisted oral diseases, systemic diseases and management, Group 3 consisted oral health and mental health, Group 4 consisted oral frailt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In an aging society, oral dysfunction affect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Preventing oral diseases for well-aging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prevent oral frailty in a super-aging society by developing and educating systematic oral care programs for each life cycle.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한국 무역규범 연구동향 분석 : 2000년~2022년 (Korea's Trade Rules Analysis using Topic Modeling : from 2000 to 2022)

  • 임병호;장정인;김태한;한하늘
    • 무역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5-8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무역의 주요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무역규범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자료로서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부터 2022년 7월까지 'Trade Rules'로 검색된 영문 키워드로 총 476개의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동시발생네트워크와 텍스트마이닝 방법의 하나인 토픽트렌드 분석이 있다. 분석 결과, 최근 한국 무역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연구 저널 수가 급증한 카테고리인 Topic 4(투자조약), Topic 7(무역안보), Topic 8(중국 보호무역주의), Topic 11(무역결제) 4가지로 나타났다. 이들 주제의 주요 배경은 기존의 국제무역 체제를 위협하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마찰이며, 중국의 보호주의, 무역 안보 시스템의 변화, 새로운 투자 협정, 지불 방법의 변화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가까운 장래에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초록데이터를 활용한 국내외 FTA 연구동향: 2000-2020 (Trends in FTA Research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 using Paper Abstract Data)

  • 윤희영;곽일엽
    • 무역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37-53
    • /
    • 2020
  •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development by compa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FTA. To this end, among the papers written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July 23, 2020, papers whose title is searched by FTA (Free Trade Agreement) were selected as research data. In the case of domestic research, 1,944 searches from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and 970 from the Web of Science and SCOPUS were selected for international research, a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through keywords and abstracts. Frequency analysis and word embedding (Word2vec)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visualized using t-SNE and Scattertex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op 30 keywor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16 out of 30 were found to be the same. In domestic researc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outcomes or expected effects of countries that have concluded or discussed FTAs wi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diverse range of study subjects in international research. Second, in the word embedding analysis, t-SNE was used to visually represent the research connection of the top 60 keywords. Finally, Scattertext was used to visually indicate which keywords were frequently used in studies from 2000 to 2010, and from 2011 to 2020. This study is the first to draw implications for academic development through abstract and keyword analysis by applying various text mining approaches to the FTA related research papers. Further in-depth research is needed, including collecting a variety of FTA related text data, comparing and analyzing FTA studies in different countries.

Research on Girdle Technology Trends through Domestic Patent Analysis

  • Su-Joung C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9호
    • /
    • pp.245-253
    • /
    • 2024
  • 본 연구는 거들을 키워드로 하여 출원, 등록된 거들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권을 수집한 후, 거들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권의 출원 시기, 출원인, 기술 분류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성 거들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추출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2001년에서 2005년까지 거들 관련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권 출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원인은 개인이 가장 많았고, 거들 관련 특허와 실용신안의 기술분야는 생활필수품, 섬유, 지류 등이 많았다. 디자인권은 내의, 란제리, 코르셋, 브래지어, 잠옷 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시사점은 거들 기능의 세분화 기술이 요구되었고, 탈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또, 봉제방법, 부속품, 기능성 원단에 대한 기술적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관련 분야의 연구가 요구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외 기술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술개발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에 의한 '과학탐구'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cience Inquiry' by Professional Factors of Teaching Practice for Science Inquiry)

  • 이동승;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197-20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과학 교육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 과학탐구 관련 연구들을 주제별,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함으로써 과학탐구지도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6개의 국내 과학교육 관련 학회의 홈페이지에서 탐구, 과학탐구를 키워드로 하여 463편을 수집하였다. SEF(2006)의 교사 전문성 개발 틀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463편의 논문 중 21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연구대상은 분석틀의 5가지 요소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고 유목화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과학교육전문가 2인과 박사과정 대학원생 4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연구에 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수업 계획 및 적용, 과학탐구 평가, 교사의 과학탐구능력 등의 5가지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를 포함하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의 주제들을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탐구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평가, 교사의 과학탐구능력에 관한 연구가 적었다. 그리고 유목화 된 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과학교수 활동과 학습 자료 연구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교수 활동의 주체인 교사에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없었다. 교사에 초점을 두면서 과학탐구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평가, 교사의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진다면 교사의 수업 실행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또한 교실에서 과학탐구 수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도시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1990-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Healthy Cities in Korea (1990-2014))

  • 김하윤;박명배;남은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4-276
    • /
    • 2015
  • Background: Healthy cities of Korea have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regarding the Korea Healthy Cities Partnership, and research activities on healthy cities is one of the important area. In the present context, due to the current policy to pursu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locally and globally, it is essential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ealthy c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healthy c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research trend of healthy city studies from 1990 to 2014 by reviewing published papers and studies systematically.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necessary implications 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healthy city are obtained. Methods: The area of this study is domestic journal (Korea), international journal, thesis, and research report focusing on healthy city from 1990 to 2014. The selection of data was performed using keyword is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 The analysis criteria were divided into year of publication, type of study, subjects, study methods, and study area. Results: One hundred twenty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Papers related to the healthy city issue were published 4.8 times in an average in a year during that the period. However,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recent 4 years. Of total, 28 papers (44.4%) focused on the healthy city policy and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 18 papers (28.6%) focused on health promotion, and the remaining were program centered. Most papers (71 out of 120) used quantitative study methods. Of total studies, studies have conducted in Jinju city (9), Wonju city (8), Changwon city (6), and Gangnam-gu (5), respectively, as a study area of healthy city. Conclusion: First, domestic healthy city researche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every year, over the past 10 years which has heightened interest in healthy cities. Second, the expansion of the various areas of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contribute to future sustainable healthy city. Third, in recent years, by taking advantage of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conducting the qualitative and mixed method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a desirabl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