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management

검색결과 5,463건 처리시간 0.033초

대규모 센서 네트워크에서 그룹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키 관리 방안 (An Energy Efficient Group-Based Cluster Key Management for Large Scale Sensor Networks)

  • 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487-5495
    • /
    • 2012
  •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러스터키 등의 보안키를 적용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 사항은 보안키 갱신이 안전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보안키 갱신 시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이 적어야 한다는 점이다. 각 센서 노드는 제한된 에너지를 보유하기 때문에 보안키 갱신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클 경우 전체 네트워크 수명에 많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보안키 관리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룹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키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 대규모 센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키 관리를 위해 5개의 보안키를 사용하고, 섹터, 클러스터 및 그룹 수준의 보안 적합도를 관리하여 보안키 갱신 주기 및 보안에 사용되는 다항식의 차수를 차별화시킨다. 실험을 통해 이전의 보안키 관리 기법보다 네트워크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됨을 입증한다.

개인키 위탁관리 서버를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지문인증 모델 (An Fingerprint Authentication Model of ERM System using Private Key Escrow Management Server)

  • 이용준;전태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8
    • /
    • 2019
  • 의료정보는 환자에게 중요한 개인정보로써 반드시 보호되어야 하는 중요 정보이다. EMR((Electronic Medical Records) 시스템은 개인정보와 의료정보가 유출될 경우, 환자의 사생활 침해 등 매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EMR 시스템의 의료정보는 사용자 접근에 관한 제어 및 통제 강화 등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이다. 특히 의료인이 전자의무기록에 접근할 때, 보안이 강화된 신원확인에 대한 인증방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공인인증서 기반의 인증모델은 개인키 관리, 권한위임 등의 문제로 인해 전자의무기록의 보안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접근 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이 강화된 지문인식 기반 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인증 모델은 PEMS(Private-key Escrow Management Server)를 이용한 EMR 지문인증 모델로서, 개인키 위탁 프로토콜과 개인키 인출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개인키 관리와 권한위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인증 모델은 성능 실험을 통해 기존의 공인인증서 기반 인증에 비해 수행시간 단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 전자서명 비밀번호 방식을 대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 장점이 있다.

ID 기반 암호 기법을 이용한 SCADA 시스템에서 비밀 키 관리 및 복구 방안 (Key Management and Recovery Scheme over SCADA System Using ID-based Cryptosystem)

  • 오두환;최두식;나은성;김상철;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27-438
    • /
    • 2012
  •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은 국가의 중요한 기반 망인 전력, 가스, 상하수도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전의 폐쇄적인 통신 환경과 달리 최근 개방 통신 환경을 사용함에 따라 안전한 통신을 위한 키 관리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CADA 시스템을 구성하는 MTU(Master Terminal Unit), Sub-MTU, RTU(Remote Terminal Unit)에 각각 페어링을 이용한 ID 기반의 키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예상치 못한 사고나 악의적인 공격들로 인하여 장치들의 개인 키가 노출되거나 또는 KMS(Key Management System)의 마스터 키가 노출되었을 경우에도 SCADA의 키 관리 시스템을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Privacy-Preserving Cloud Data Security: Integrating the Novel Opacus Encryption and Blockchain Key Management

  • S. Poorani;R. Anith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1호
    • /
    • pp.3182-3203
    • /
    • 2023
  • With the growing adoption of cloud-based technologies, maintaining the privacy and security of cloud data has become a pressing issue. Privacy-preserving encryption schemes are a promising approach for achieving cloud data security, but they require care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be effective. The integrated approach to cloud data security that we suggest in this work uses CogniGate: the orchestrated permissions protocol, index trees, blockchain key management, and unique Opacus encryption. Opacus encryption is a novel homomorphic encryption scheme that enables computation on encrypted data, making it a powerful tool for cloud data security. CogniGate Protocol enables more flexibility and control over access to cloud data by allowing for fine-grained limitations on access depending on user parameters. Index trees provide an efficient data structure for storing and retrieving encrypted data, while blockchain key management ensures the secure and decentralized storage of encryption keys. Performance evaluation focuses on key aspects, including computation cost for the data owner, computation cost for data sharers, the average time cost of index construction, query consumption for data providers, and time cost in key generation. The results highlight that the integrated approach safeguards cloud data while preserving privacy, maintaining usability, and demonstrating high performance. In addition, we explore the role of differential privacy in our integrated approach, showing how it can be used to further enhance privacy protection without compromising performance. We also discuss the key management challenges associated with our approach and propose a novel blockchain-based key management system that leverages smart contracts and consensus mechanisms to ensure the secure and decentralized storage of encryption keys.

지문 인식 기반의 개인키 위탁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 Private Key Escrow System based on the Fingerprint Identification)

  • 신용녀;이용준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21-28
    • /
    • 2008
  • There are some problems on the system that uses a password comprising a digital signature to identify the secret key owner under the public key infrastructure. For example, the password can be difficult to remember or easy to be disclosure, and users should make more complex password to protect it.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roceed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defects using the fingerprint identification technologies, but they need to change the current standard of public key infrastructure. On the suggested private key escrow system, the private key can be withdrawn only through the enrollment and identification of a fingerprint template after it is saved to a reliable third system. Therefore, this new private key escrow system can remove previous inconveniences of managingthe private key on curr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and it exhibited superior results in terms of the evaluation items when compared with the integrated method of the exist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public key infrastructure.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키 체인 기반의 안전한 그룹 키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f Secure Group Key Management Based on Key-Chain for Multicast Data Transmission)

  • 김보승;김정재;이기영;신용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495-3501
    • /
    • 2010
  • 최근 화상회의, 인터넷방송, 온라인 게임등 대규모의 데이터를 여러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함으로 인해 그룹 통신의 중요성 및 활용도가 높아지게 됨에 따라 그에 대한 보안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게 되었다.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하나의 그룹 관리 서버를 통해 키 트리 기반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구가 많지만, 제안하는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오버헤드가 적은 안전한 그룹키 관리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논문에서는 기존의 그룹키 관리기법과의 차별성 및 효율성을 비교하여 우수성을 입증한다.

Ad-hoc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아이디 기반의 그룹 키 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oup Key Management based on Mobile Device ID in Ad-hoc network)

  • 강서일;이남훈;이임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40-549
    • /
    • 2009
  • Ad-hoc 네트워크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를 전송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Ad-hoc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안전한 통신을 위해 인증과 암호 키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d-hoc 네트워크에서 인증과 그룹 키 관리의 동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아이디 기반의 상호 인증 및 그룹 키 설립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 방식의 아이디 기반의 상호 인증은 공유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영지식을 이용하고, 세션 키 및 그룹 키를 설립하는데 활용된다. 또한 제안 방식을 Ad-hoc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효율성 및 보안 기술에 대해 안전성을 높인다.

  • PDF

Implementation of an RFID Key Management System for DASH7

  • Vegendla, Aparna;Seo, Hwajeong;Lee, Donggeon;Kim, How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19-25
    • /
    • 2014
  • The wireless sensor networking standard DASH7 operates in low-power communication with a better transmission quality in active RFID networks. The DASH7 security standard supports public key cryptography. At present, the DASH7 standard uses the message authentication code in the network layer for authentication and integrity. However, its security standard is still in an incubation stage with respect to the implementation of a crypto exchange over a DASH7 network. Effective key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ivacy and security. If organizations are not careful about where and how keys are stored, they leave the encrypted data vulnerable to theft. In this regard, we present a key management system designed for efficient key management through public key infrastructure authentication as well as a non-repudiation feature for the DASH7 standard.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on a basis of various performance criteria such as latency and throughput.

해외의 키관리서버 제품들과 우리나라의 해당 법규정 및 정책 설정의 필요성 (Foreign Key Management Server Products and the necessity of Korean Related Law and Policy)

  • 김지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1-504
    • /
    • 2012
  • 2012년 3월과 8월부터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이 시행되면서 회사와 공공기관들은 법규가 요구하는 보안장비들을 갖추게 되었다. 암복호화 키가 유출되면 모든 정보를 공격자가 볼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해 키를 제3자가 알지 못하게 잘 보호,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보안업계에서는 키관리서버의 중요성이 점차로 대두되고 있다. 키관리서버란 암복호화키를 안전하게 저장, 관리할 수 있는 어플라이언스 형태의 하드웨어 장비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의 키관리서버 제품들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관련 법규정 입법 및 정책설정의 필요성에 관해 논의해 보겠다.

  • PDF

KMMR: An Efficient and scalable Key Management Protocol to Secure Multi-Hop Communications in large scale Wireless Sensor Networks

  • Guermazi, Abderrahmen;Belghith, Abdelfettah;Abid, Mohamed;Gannouni, Sofi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2호
    • /
    • pp.901-923
    • /
    • 2017
  • Efficient key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echanisms as well as lightweight ciphers are the main pillar for establishing secure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Several symmetric based key distribution protocols are already proposed, but most of them are not scalable, yet vulnerable to a small number of compromised nod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nd scalable key management and distribution framework, named KMMR, for large scale WSNs. The KMMR contributions are three fold. First, it performs lightweight local processes orchestrated into upward and downward tiers. Second, it limits the impact of compromised nodes to only local links. Third, KMMR performs efficient secure node addition and revocation. The security analysis shows that KMMR withstands several known attacks. We implemented KMMR using the NesC language and experimented on Telosb motes.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the TOSSIM simulator shows that KMMR is scalable, provides an excellent key connectivity and allows a good resilience, yet it ensures both forward and backward secrecy. For a WSN comprising 961 sensor nodes monitoring a 60 hectares agriculture field, KMMR requires around 2.5 seconds to distribute all necessary keys, and attains a key connectivity above 96% and a resilience approaching 100%. Quantitative comparisons to earlier work show that KMMR is more efficient in terms of computational complexity, required storage space and communication over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