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nt's epistemolog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A STUDY ON THE TELE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LIGHT OF KANT'S EPISTEMOLOGY

  • CHUNGHYUN YU
    • Journal of Applied and Pure Mathematics
    • /
    • 제5권1_2호
    • /
    • pp.109-119
    • /
    • 2023
  • As for the practical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extrinsic purpose is emphasized. As an alternative to this, a discussion on mathematics education as a character education is urgently requested. It can be said that the main purpose of learning mathematics is to have a form of life that values the form and structure of mathematics. The epistemological basis of such an idea can be seen as based on Kant's philosophy. Kant's epistemology can provide on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intrinsic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건축디자인 사고에서 스키마의 의미와 특성에 관한 연구 - 칸트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 (A Study on the Meanning and Characteristic of Schema in the Thinking of Architectural Design - with Kant's Epistemology)

  • 오신욱;조용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2-12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at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design thinking which has been studied in the Kant's Epistemology to examine the Schema theories. In this point of view, the related theories are reviewed through Expression Form, representation of architectural knowledge and so on. One of these words, the Schema that formed by transcendental an Experience and Memory of transcendental an Experience, not only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designer's thinking system about a specific problem but also appeared by distinctive features(image) and included by connotation as like a designer's ideology. Speaking briefly, thinking of a designer familiar with us as abstract confusion can be confined such methodological tools as schema, and image, etc., which we can easi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through mechanism of Kant's [Concept-Schema-Intuition]. Evidences collected from case studies and its application on architectural design yield following results. First, design thinking can be defined as Kant's Epistemology composed of the schema and its extended factors(architectural-schema). Second, design thinking can be reveal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schema and architectural-schema. Lastly, the methodology will be proposed after application of the result to architects' works.

Dewey에게 있어서 수학적 지식의 구성의 의미 (A Meaning of Construc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Dewey Epistemology)

  • 강흥규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29-142
    • /
    • 2004
  • 구성주의는 오늘날 수학교육학 분야의 중심적인 이론으로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구성주의 수학교육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구성'이며, 수학적 지식의 구성의 의미와 메커니즘의 이해는 수학교육학 연구 영역의 핵심적인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Dewey의 지식론을 기초로 하여 '수학적 지식의 구성'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ant와 Piaget에게 있어서의 지식의 구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것을 Dewey의 견해와 비교할 것이다. 마음과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식이 구성된다고 보았다는 점에서 Dewey는 Kant, Piaget와 일치하지만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고찰을 수 개념에 비추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Dewey의 구성의 개념이 지식의 본질에 관한 Dewey의 철학적 견해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구성주의적 지식론의 자연스러운 논리적 귀결인 구성주의적 수학 교수·학습 원리를 제시할 것이다. 그것은 첫째 발생적 구성의 원리이고 둘째 점진적인 의식화의 원리로 요약될 수 있다.

  • PDF

수학교육인식론 연구 (A study on the epistem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 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91-305
    • /
    • 2001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nsufficiency of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consructivism as epistem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Traditional epistemology such as empiricism, rationalism, Kant's epistemology, and Piaget's genetic epistemology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episteme in educational situation because it regards that epsteme is the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abstract individual subject and the object world. Modern epistemology like constructivism recognize the public or social character of epsteme. So it is more appreciate than traditional epistemology to explain episteme in math educational situation. But constructivist pedagogy derived from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has the following important shortcoming: The lack of clear criteria by which instructional effectiveness might be evaluated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 PDF

칸트의 선험적 논리학과 라캉의 정신분석적 논리학의 인식론적 전제에 대한 비판과 구조-구성주의 인식론 정초(I) (A Criticism of the Epistemological Premise of Kant's Transcendental Logic and that of Lacan's Psychoanalytic Logic, and Justification of Structure-Constructivist Epistemology(1))

  • 문장수
    • 철학연구
    • /
    • 제137권
    • /
    • pp.151-191
    • /
    • 2016
  • 칸트와 라캉은 형식논리학의 인식론적 전제들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양자는 주체, 대상, 인식 그리고 진리 등의 개념에 대해서 서로 상반되는 태도를 취한다. 우선 칸트의 입장에서 볼 때, 전통적인 형식논리학은 인식의 본질을 정확하게 번역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칸트의 선험적 논리학은 사태를 왜곡하거나 오직 부분적으로만 표상한다. 그러나 필자는 칸트의 선험적 논리학의 인식론적 전제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논리학의 인식론적 전제를 동시에 비판하고자 한다. 모든 사유의 형식적 필연성을 탐구하는 형식논리학과 달리 모든 사유의 내용적인 필연성의 조건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 선험논리학이다. 달리 말하면, 선험논리학은 우리의 사유를 지배하는 범주들의 원리를 탐색하고자 하는 범주 논리학이다. 그런데 칸트가 제시하는 12가지 범주는 사유의 필연성을 설명하기에 충분한가?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보면, 칸트의 범주들은 선천적 종합판단의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가설일 뿐이다. 그렇다면, 라캉의 정신분석적 논리학은 과학의 가능성을 설명하기에 충분한가? 필자가 보기에 그의 논리학은 전적으로 은유와 환유의 원리에 의존하고 있다. 은유와 환유의 논리는 문학적 사태 또는 이것의 연장인 무의식적 차원을 설명하기에 유용할 수 있지만 과학의 엄격성과 객관성을 설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편협한 과학이 아니라, 보다 포괄적이고 전체성을 지향하는 인문학적 이상의 관점에서 보면 칸트의 범주 논리학, 은유와 환유 법칙에 몰두하는 정신분석학적 논리 그리고 형식논리학, 이들 삼자는 보다 새로운 논리학, 즉 구조-구성주의 논리학에 의해 종합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칸트의 선험논리학의 한계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논리학의 한계를 분석하는 데 집중하면서 양자의 종합의 필연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결론적 내용은 이것이다. 칸트의 윤리학적 주장 및 미학적 주장들은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논리에 의해 수정되어야 한다면, 반대로 무의식의 본성에 대한 라캉의 주장들은 칸트의 선험논리에 의해 교정되어야 한다.

과학지식의 객관성에 관한 고찰: 마이클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bjectivity of Scientific Knowledge: Focused on Michael Polanyi's Epistemology)

  • 김만희;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0-11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폴라니의 개인적 지식을 중심으로 과학지식의 객관성을 고찰하고, 이의 과학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 연구이며, 주로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 현대 인식론은 지식의 객관성과 상대성에 대한 견해가 혼재해 있으며, 특히 과학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이에 과학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과학철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고, 객관성을 주관성과 관련시켜 지식의 성격을 이해한 칸트, 왕양명, 키에르케고르의 사상을 교육과 관련지어 간단히 고찰하였다. 나아가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과학지식에의 개인적 관여 및 공동체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인적 지식에서 시사하는 과학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면서, 과학교육에 인간의 목소리가 회복되며, 지적 열정이 살아있도록, 과학자의 삶을 재연하는 과학교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칸트의 관점에서 본 왕양명과 불교의 인간관 (An Investigation on the human nature in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Buddhism from a Kantian point of view)

  • 박종식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165-197
    • /
    • 2014
  • 칸트, 왕양명, 불교의 핵심 취지는 모든 인간에게 내재한 가능성을 스스로 실천할 때 인간은 비로소 진정한 자유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칸트, 왕양명과 불교는 자유를 통해서, 자신에 대한 반성과 관조를 통해서 자신의 존재의 본질을 올바로 인식할 때 자신을 넘어설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바로 내재적 초월이다. 외면적 지식이나 차이, 이해관계, 집착을 버리고 내면으로 되돌아갈 때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선천적으로 존재하는 이러한 내면적 본성을 되돌이키는 것, 내재적 도덕법칙을 존경하는 것이 자신을 스스로 넘어서는 것이며 그렇게 될 때 성인이 되고 부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 따로 성인이나 부처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자신에게 불성, 양지, 도덕심이 있음을 알지 못하는 것은 집착에, 인욕에, 경향성에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불성이 있음을 아는 순간 범부는 부처가 되는 것이다. 허망하게 집착하고 있는 경험적 자아의 분별의식을 제거하게 되면 심층의 마음이 저절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자신을 보고 있는 자신을 되돌이키는 것, 자신 속에 있는 자신을 반성하는 것이 바로 불성이며, 양지이며, 도덕심인 것이다. 부처가 되고 성인이 되고 도덕군자가 된다는 것은 자신의 모습을 올바로 보는 것이다. 이처럼 심층에 갖추어져 있는 도덕법칙, 양지, 불성을 오롯이 파악하는 순간 우리는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 따로 부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본 마음을 자각하는 것이 부처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것이 바로 즉견여래(卽見如來)이다. 여래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본모습을 보는 것이 바로 여래인 것이다. 이처럼 외부적인 것에 집착하거나 현혹되지 말고 자신의 근원적 본성을 아는 것이 바로 깨달음의 길이다. 이런 측면에서 칸트, 왕양명, 불교는 스스로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유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내재적 초월인 것이다.

대순사상에 나타난 인간 주체(主體)에 관한 연구 - 인존(人尊) 개념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Concerning of Human Subject in Daesoon Thought: on 'In-Jon' Idea)

  • 김대현
    • 대순사상논총
    • /
    • 제26집
    • /
    • pp.111-142
    • /
    • 2016
  • 'In-Jon(人尊)' is one of a concept which constitute the mainstay of Daesoon thought. To be superficial, the concept is appeared to be limited at a area of anthropology, but In-Jon is a large concept which includes ontology and epistemology. Because the essence of human being is connected with God and the such possibility is related to the mission of human being's subject who exists in world. Advanced researches to analysis of in-jon tend to focus on rise of human status but this study do on universal subject not particular subject. This is to elaborate the point of issue. The point of view as rise of human status overlooks problem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entities. who ingenerate hierarchy. In-jon is the universal subject of philosophical subject concepts which western philosophy have taken as main problem since Descartes. So we have to consider In-jon to be conceptual continuity concerning stream of history of ideas and communicate with ideas. A precedent study on 'injon' concept has weak conceptual analysis, which only emphasizes the greatness of mankind as compared with others. But that can't reveal In-jon based on the Daesoon thought. So I try to engraft the concept on development of subject ideas to get academic objectivity. In-jon is great in having universal subject to expand the authority of God to all creation. That is the last goal which subject can reaches through the development. Considering this regard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is very encouraging and significant. Western philosophy has important philosopher of the three, Descartes, Kant, Hegel. Those are a spectrum who show an aspect of subject ideas. The subject idea has become the middle of philosophical system since Descartes in modern. It is the right and necessary process to philosophy because human being has spirit or reason connected with God. So In-jon in Daesoon thought is academic concept comprising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roperties. So I try to analyse In-jon through that and have In-jon join the ranks of mainstream academics in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