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ngaroo car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초

캥거루 케어를 반영한 스마트 감성 매트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Sensibility Mat with Kangaroo Mother Care)

  • 조수민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71-178
    • /
    • 2017
  • 캥거루 케어의 특징을 반영하여 신생아의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 감성 매트(SSM; Smart Sensibility Mat)를 개발, 제작하였다. 청감 자극의 경우 사전에 녹음된 어머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30dB로 제공할 수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매트에 삽입하였다. 촉감 자극의 경우 $32^{\circ}C$의 일정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의 온수 튜브를 매트의 표면에 삽입하고 자동온도조절장치와 연결하였다. 매트의 전체에 균일한 온도 제공을 위해 열전도성 실을 삽입한 직물을 매트 표면에 부착하였다. 면 패드로 매트를 감싼 후 피부 접촉과 비슷한 촉감 자극을 주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을 매트 표면에 접착하였다. SSM이 신생아의 감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해 생후 2주 이내의 건강한 신생아 10명을 대상으로 일반 매트(GM; General Mat) 및 SSM에 있을 때 생리신호인 심박수, 호흡수와 체온을 10분 간격으로 2회씩 측정하였다. 이를 3일에 걸쳐 1일 1회씩 측정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GM에 있을 때 보다 SSM에 있을 때 심박수(t=8.131, p<.001)와 호흡수(t=7.227, p<.001)가 정상범위 안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SSM의 감각 자극이 신생아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GM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심리적 안정을 주는데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생아중환자실에서의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Family Interventions based on a Philosophy of Family-Centered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정나리;김예슬;박은영;여리사;황지원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35-44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interventions based on a philosophy of family-centered care conduct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through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searched the PubMed, CINAHL, RISS, KISS, and DBpia databases; a total of 20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3 and May 2018, was selected according to our criteria. Results: Mothers accounted for a greater proportion of participants in family interventions than did fathers. Family interventions described in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educational and sixteen non-educational interventions. Among non-educational interventions, skin-to-skin-contact interventions, such as kangaroo car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nly one paper employed a theoretical framework. Conclusion: More family interventions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s should be conducted as these frameworks serve as guidelines for nursing research. As the stress patterns experienced by pare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showed gender differences, more programs tailored for fathers are needed. Moreover,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valuate feasibility as an outcome variable, and studies of family interventions based on a philosophy of family-centered care should be performed more actively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국내 고위험신생아 연구 분석 및 중재 연구의 질 평가 (Analysis of Studies on High-Risk Infants and Quality Assessment of Intervention Studies)

  • 이혜정;김안나;맹안나;김가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53-162
    • /
    • 2016
  • Purpose: It is critical that evidence from research is applied to everyday nursing practice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and health outcomes. Aim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high-risk infant related studies published in major nursing and non-nursing journals in Korea and to assess the quality of intervention studies. Methods: Through the Korean literature search engine of RISS.KR the authors identified 132 studies, and two researchers evaluated each of these studies using the analysis criteria. The quality of intervention studies was assessed using the van Tulder Scale. Results: Among the studies, 40.2% were either thesis or dissertation and 86.4% were quantitative studies. Convenience sampling was the most commonly used sampling method. All experimental studies were quasi-experiment except one pre-experiment study. Sensory stimulation and kangaroo care were the most common interventions for high-risk infants. Over half of the intervention studies were assessed to be "low risk of bias" but both randomization and blinding processes were not adequately satisfied in most of the studies.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gh-risk infants are more likely to be recruited for experimental studies but types of interventions were very limited. To provide evidence-based care for high-risk infants, rigorously conducted experimental studies should be encouraged.

모아상호작용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 박선정;김신정;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75-86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수행된 모아상호작용에 관해 보고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중 재내용을 분석, 평가하여 최적의 중재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모아상호작용 중재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결과 19편의 논문 중 18편(94.7%)이 비 무작위 대조연구(NRCCT)였고 1편은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연구이었다. 신생아 대상 논문이 9편, 미숙아 대상 논문이 5편, 장애 영아 대상 논문이 1편, 중환자실에 입원한 영아 대상 논문이 1편,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편이었다. 모아상호작용에 적용한 중재연구를 내용 분석한 결과, 전신 마사지를 포함하여 총 6종류의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감각자극을 적용한 논문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교육 및 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연구는 4편, 전신 마사지를 적용한 중재연구 3편, 캥거루식 돌보기를 적용한 논문 2편, 방문지원 1편, 음악요법 1편이었다. 결론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통합적 문헌고찰에 적합한 연구설계를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모아상호작용 중재효과의 지속시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됨으로 모아상호작용 증진에 보다 적합한 간호 중재임을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가 축적될 수 있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