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NATIONAL PARKS AUTHORITY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Some Unrecorded Higher Fungi of the Se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 Han, Sang-Kuk;Park, Young-Jun;Choi, Sung-Keun;Lee, Je-O;Choi, Jong-Ho;Sung, Jae-Mo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56-60
    • /
    • 2006
  • Higher Fungi were collected. twice a month from May to September 2004 during field survey trips to Se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All the collected specimens were investigated for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carpophores and other features, and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the Entomopathogenic Fungal Culture Collection (EFCC),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Among the identified specimens, three genera Rhodotus, Hotermannia and Sebacina and four species Rhodotus palmatus, Gomphus clavatus, Holtermannia corniformis and Sebacina incrustans were confirmed as new to Korea and reported here with descriptions.

국립공원관리를 위한 위성영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북한산 국립공원을 사례로- (A Study of Applic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for the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 in case of Bukhansan National Park-)

  • 박경;장은미;신상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3호
    • /
    • pp.167-174
    • /
    • 2001
  • National Parks in Korea occupy about four percents of South Korean land. This paper aims to prove the potentiality of the applic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Different satellite images such as Landsat TM, IRS-1C, Alternative image, and IKONOS image are analyzed for the detection of changes, the extraction of degraded areas, and the comparison of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nd paved areas are overvalued in relatively higher resolution data.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oice of images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specific purposes and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resolution data may be the solu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National Park.

  • PDF

국립공원 취락지구 관리 개선방안 연구 (Issues of Residential Area Management in Korean Natinal Parks)

  • 안동만;김명수;이재영;오승봉;윤여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7-67
    • /
    • 1996
  • More than 130,000 residents are dwelling in 550 villages or residential areas covering 100K$m^2$ in the twenty national parks of Korea. Building new houses, additions, reconstruction, and certain kinds of land uses are prohibited in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national parks. Residents and park officials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to discover problems and to suggest new management policies. Two of the mountain region national parks were studied, and the results are : First, it is recommended to amend the National Parks Act in order to list explicitly those facilities allowed in residential areas. Also the Act should enalble residential area management planning. The Residential area survey period should be shortened to 5 years instead local governments and the National Parks Authority offices. It is recommended that the NPA offices take over this responsibility completely. Thirds, some residential areas are better off to be excluded from the parks and the Boundaries of many residential areas are inappropriate and need to be adjusted. Fourth, as the number of visitors increase rapidly, the residential areas serve as tourist centers. The "Ecotourism" concept is to be introduced so that the residents can take part in ecotourism promotion. Fifth, the residents should be and well informed of residential area management policies and regulations.gulations.

  • PDF

한.일 국립공원 관리체계 비교 (A Study on Comparison of National Park Management Systems in Korea and Japan)

  • 배중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6-455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원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한국과 일본의 공원관리 현황과 구조특성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관련문헌조사와 함께 관련기관 담당자와의 전화인터뷰 및 방문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일본의 공원지정기준은 최소의 공원면적을 수치로 정하고 있고 관리인원이 한국보다 적으면서 넓은 면적을 관리하고 있다. 양국의 공원관리기관은 중앙과 위탁기관으로 구분되었다. 중앙기관은 한국이 환경부내 자연자원과 6명이 담당하고 일본은 3개과(국립공원과, 자연환경정비과, 총무과) 53명이 담당하고 있다. 총무과는 국토를 11개 블록으로 구분해 11개 자연보호사무소와 12개지소, 67개의 자연보호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위탁기관의 경우 일본의 자연공원재단은 본부와 20개지부에 54명의 직원이 현장관리업무를 하고 있으나 한국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본부와 25개사무소에 748명의 직원이 중앙기관의 업무와 현장관리업무를 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국립공원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공원지정기준에 수치화를 도입하고 둘째, 용도지구를 재검토하며 셋째, 국립공원관리사무소를 현지사무소$.$권역사무소로 구분해서 업무분담 및 인원 재배치하고 넷째, 환경부의 공원관리 부서를 확대하고 다섯째,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에 대한 신분을 국가공무원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높다.

알락명나방亞科 (나비目, 명나방科)의 1新種과 1 韓國未記錄種 (One New Species of Phycitine Moths with One New Record (Lepidoptera, Pyralidae) in Korea)

  • Mun-Ki Paek;Yang-Seop B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115-120
    • /
    • 2001
  • 알락명나방亞科의 1신종, Ceroprepes dorsomaculata sp. nov. 큰검은무늬알락명나방을 기재하고, 가는흰띠알락명나방 (Acrobasis rufilimbalis) 1종을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도해 및 생태적 기록을 정리하였다.

  • PDF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위한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개발에 관한 연구 - 내장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to Promote Tourism Geology-A Case Study in the Naejangsan National Park)

  • 허철호;김성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3호
    • /
    • pp.355-367
    • /
    • 2005
  • 국내에서는 자연 환경상태에서 발견되는 각종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주대상으로 내재적 가치를 이해시키고 자연보존을 촉진하는 지질관광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연구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질관광 대상지역의 다양성 제고를 촉진하고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제공하는 자연해설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배가하기 위하여, 내장산 국립공원에 부존하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의 유형 및 분포상황을 조사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지역인 내장산 국립공원을 구성하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의 개체수 및 유형을 살펴보면, 총 62개로서 풍화지형-하천지형-산지지형-구조지형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조사 자료는 지질학 및 지형학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집단과의 심도 있는 선별과정을 거쳐 일반대중에게 흥미와 과학의 이해를 돕는 지질관광 대상지역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수요자 지향형의 지질관광대상지역 개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질관광지역 방문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지질관광 대상지역에서의 방문객 행동특성, 지질관광 대상지별$\cdot$방문객 성별에 따른 방문객 행동성향비교 및 지질관광 프로그램 및 이벤트 개발을 위한 분석 등의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양 할 것이다. 그리고 지질관광 대상물에 대한 풍화도 평가 및 보존기술개발 등 지질공학적인 부분과 환경과학적 측면이 병행된 연구 노력이 이루어질 때 관광지질학의 활성화가 결실을 거둘 것으로 판단된다.

설악산국립공원에 발견되는 암괴원에 관한 고찰 (Morphology and Genesis of Block Fields o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in Kangwon Province, Korea)

  • 박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53-66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설악산 아고산대에 나타나는 산정형 암괴원에 관한 여러 가지 논의를 제시하였다. 이 암괴원은 산악인들에게는 너덜지대로 너리 알려져 있었으며, 설악산의 북쪽 황철봉과 귀떼기봉에서 대청에 이르는 서북주릉 상 화강암류의 기반암에 암괴원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 암괴원은 규모가 클 뿐망 아니라 암괴상에는 풍화쇄설물을 가지고 있는 나마(gnamma)와 그루브(groove)를 비롯한 많은 화학적 풍화에 의한 미지형들이 발견되고 있어 한반도의 제 4기 후반의 기후변화와 지형형성 영력을 연구할수 이는 기후지형학적으로 중요한 연구지역이라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추후 발표될 암괴원의 성인과 고기후학적 의의에 관한 논의에 앞서 먼저 분포지역에 대한 소개와 몇 가지 이론적 고찰에 관하여 논의를 제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테일러스, 암괴류 등에 관한 논의가 상당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암괴원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Landsat 영상에 의한 구조선 분석 결과 구조선 밑도는 설악산 지역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으며, 암괴원은 대부분 화강암 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rypanosoma brucei Infection in Asymptomatic Greater Kudus (Tragelaphus strepsiceros) on a Game Ranch in Zambia

  • Munang'andu, Hetron Mweemba;Siamudaala, Victor;Munyeme, Musso;Nambota, Andrew;Mutoloki, Stephen;Matandiko, Wiggans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67-69
    • /
    • 2010
  • Trypomastogotes of Trypanosoma brucei were detected from 4 asymptomatic kudus (Tragelaphus strepsiceros) on a game ranch located approximately 45 km north east of Lusaka, Zambia. Blood smears examined from 14 wildlife species comprising of the impala (Aepyceros melampus), Kafue lechwe (kobus leche kafuensis), sable antelope (Hippotragus niger), tsessebe (Damaliscus lunatus), warthog (Phacochoerus aethiopicus), puku (Kobus vardoni), zebra (Equus burchelli), waterbuck (Kobus ellipsiprymnus), bushbuck (Tragelaphus scriptus), reedbuck (Redunca arundinum), wilderbeest (Connochaetes taurinus), hartebeest (Alcephelus lichtensteini), African buffalo (Syncerus caffer), and kudu (Tragelaphus strepsiceros) showed that only the kudu had T. brucei. Although game ranching has emerged to be a successful ex-situ conservation strategy aimed at saving the declining wildlife population in the National Park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has the potential of aiding the re-distribution of animal diseases. Hence, there is a need for augmenting wildlife conservation with disease control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the risk of disease transmission between wildlife and domestic animals.

오대산 국립공원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조사를 통한 관광지질학적 가치 증진: 지구과학의 대중적 이해 (Value Promotion for Tourism Geology through Survey on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Public Understanding of Earth Science)

  • 허철호;김성용;윤성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8-231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오대산 국립공원 일대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 가운데 경관과 학술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선정,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활용하는 방안에 필수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조사과정에서는 147개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지형은 구조지형이며, 다음으로는 풍화, 하천, 산지, 호소, 주빙하 지형 등이다. 다양한 지질 및 지형경관 자원 가운데 4개 노두가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고, 5개 노두는 학술연구를 위한 가치 있는 자원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조사자료는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질관광 대상지역의 다양성 제고를 촉진하고, 국립공원관리공단 에서 탐방객에게 제공하는 자연해설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기능성 제고를 배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제도 노자산지역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Nojasan in Koje Island)

  • 이경재;조우;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8-88
    • /
    • 1999
  • 거제도 노자산지역의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43개 조사구(각 조사구당 10m$\times$10m)를 거제휴양림 임도 주변과 노자산 북사면에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조사자료를 이용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qnstjr을 실시하였다. TWINSPAN분석과 DCA분석 결과 소사나무군집(군집I), 소나무군집(군집II), 졸참나무군집(군집(III), 고로쇠나무, 느티나무, 비목나무, 까치박달 등을 우점종으로 하는 낙엽활엽수군집(군집IV)의 4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분석 결과 노자산지역의 식생은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군집$\longrightarrow$낙엽활엽수군집으로 생태적 천이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소사나무군집은 해발고도가 높고 건조한 지역에 나타나는 토지극상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