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to Promote Tourism Geology-A Case Study in the Naejangsan National Park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위한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개발에 관한 연구 - 내장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Heo Chul Ho (Institute of National Parks, National Parks Authority) ;
  • Kim Seong Yong (Policy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KIGAM))
  • 허철호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소) ;
  • 김성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책연구부)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In Korea, it is reported that the study about tourism geology, which is a new branch af applied geology that would support the growth of ecotourism world-wide, is significantly defici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nclude (1) the promotion in geodiversity of tourism geology using the data for typ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s resources, and (2) the redoubling of diversity in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s offerend by National Parks Authority (NPA). According to this research results, 62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were observed. Weathering topography is the most discovered type followed by river, mountain and tectonic topography in decreasing order. It is thought that the above-mentioned data can be utilized to sort and filter by the discussion through consortium organized by geologist and geomorphologist. Furthermore, in order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developing user-oriented geotourism sites, the monitoring o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eotourists, behaviora characteristics of geotourists within geotourism site, and the analysis for developing geotourism program and events should be accompanied. And, the support of geological engineering dealing the estimation of weathering degree and development of conservation techniques for the object of geotourism will improve the activation of tourism geology.

국내에서는 자연 환경상태에서 발견되는 각종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주대상으로 내재적 가치를 이해시키고 자연보존을 촉진하는 지질관광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연구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질관광 대상지역의 다양성 제고를 촉진하고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제공하는 자연해설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배가하기 위하여, 내장산 국립공원에 부존하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의 유형 및 분포상황을 조사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지역인 내장산 국립공원을 구성하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의 개체수 및 유형을 살펴보면, 총 62개로서 풍화지형-하천지형-산지지형-구조지형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조사 자료는 지질학 및 지형학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집단과의 심도 있는 선별과정을 거쳐 일반대중에게 흥미와 과학의 이해를 돕는 지질관광 대상지역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수요자 지향형의 지질관광대상지역 개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질관광지역 방문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지질관광 대상지역에서의 방문객 행동특성, 지질관광 대상지별$\cdot$방문객 성별에 따른 방문객 행동성향비교 및 지질관광 프로그램 및 이벤트 개발을 위한 분석 등의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양 할 것이다. 그리고 지질관광 대상물에 대한 풍화도 평가 및 보존기술개발 등 지질공학적인 부분과 환경과학적 측면이 병행된 연구 노력이 이루어질 때 관광지질학의 활성화가 결실을 거둘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오 (1979) 신한국지리. 새글사, 606p
  2. 권동희 (1987) 한국산지에 발달한 Tor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80p
  3. 권동희 (2000)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지형경관 특성과활용방안. 지리학연구, 34권, p. 73-85
  4. 권영식, 이형호, 한욱, 김원형, 이민부(1995) 지형분석. 교학연구사, 480p
  5. 권혁재 (1997) 지형학. 법문사, 498p
  6. 국립공원관리공단 (1994)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내장산 국립공원-, 181p
  7. 기근도 (1991) 월출산의 화강암지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p
  8. 김근미, 김성수, 박형동, 정강환 (2002) Geotourism 대상지역의 지질공학적 특성 및 장기보존기술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9권, p. 19-25
  9. 김성균, 정부흥 (1985) 남한 남부지역의 지각구조. 광산지질, 18권, p. 151-157
  10. 김옥준 (1970) 남한 중부지역의 지질과 지구조. 광산지질, 2권, p. 73-90
  11. 김옥준 (1971) 남한의 신기화강암류의 관입시기와 지각변동. 광산지질, 4권, p. 1-10
  12. 김정환, 홍승호, 황상구 (1982) 신흥지질도폭설명서, 27p
  13. 김주환 (1978) 불암산 지역의 joint연구. 지리학, 18권, p.37-50
  14. 김주환 (1982) Joint와 화강암 풍화와의 관계고찰: 동국지리, 3권, p. 18-32
  15. 남기영 (1970) 1/25만 기복지도에 나타난 한반도의 지체구조. 지질학회지, 6권 p. 53- 60
  16.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802p
  17. 박희인 (1966) 순창지질도폭설명서, 29p
  18. 손치무, 김수진 (1966) 창평지질도폭설명서, 30p
  19. 손치무 (1970) 한국의 지질계통과 부정합. 지질학회지, 6권, p. 187-198
  20. 송형경 (1991) 국립공원 내장산의 자연경관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41p
  21. 원종관, 이문원, 김광호, 홍영국, 우준기, 이재만 (1991)순창함몰대에서의 백악기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경상분지 및 서남일본내대와의 비교-. 지질학회지, 26권, p.165-184
  22. 원종관, 이하영, 지정만, 박용안, 김정환, 김형식 (1993) 지질학원론. 우성문화사, 662p
  23. 이수재, 이영준, 김지영, 이정현 (2003) 보존가치가 있는 지형 . 지질의 대상 설정에 관한 연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62p
  24. 자연지리학사전편찬회 (1996) 자연지리학사전. 한울아카데미, 856p
  25. 전영권 (1993) 태백산맥 남부산지의 암설사면지형. 지리학 28권, p. 77-98
  26. 전영권 (2000) 한국 화강암질암류 산지에서 발달하는 암 괴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권, p.71-82
  27. 정강환 (2000) 지질관광대상지 활성화를 위한 관광객 시장분석과 관광 프로그램 및 이벤트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4권, p. 281-296
  28. 지오텍포럼,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2003) 지반환경과 안정성, 213p
  29. 홍만섭, 윤선, 길영준 (1966) 갈담지질도폭설명서, 21p
  30. 환경부 (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지형 . 지질, 30p
  31. Badman, T. (1994) Interpreting earth science sites for the public. In: Green, D., Harley, C., Knill, M. (eds.) The Geological Society, London, p. 429-432
  32. Hose, T.A. (1995) Selling the story of Britain`s ston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v. 10, p. 16-17
  33. Hose, T.A. (1998) Mountains of fire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 or effectively communicating the wonder of geology to tourists. Geological balcanica, v. 28, p. 77-85
  34. Komoo, I. (1997) Conservation geology: A case for the ecotourism industry of Malaysia, in: Marinos, P.G., Koukis, G.C., Tsiambaos, G.C. & Stournas, G.C. (eds.),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Rotterdam, Netherlands: Balkema, 2969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