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평균

검색결과 23,803건 처리시간 0.117초

충남지역(忠南地域) 마늘 중(中)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잔류수준(農藥殘留水準) (Organochlorine Residues in/on Garlic Produced in Chungnam Area during $1982{\sim}1983$)

  • 손현주;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10
    • /
    • 1985
  • 충남지역(忠南地域)의 포장(圃場)에서 채취(採取)한 마늘에 대한 유기염소제(有機鹽素劑) 10종(種)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을 $1982{\sim}1983$년(年)에 걸쳐 조사하였다. ${\alpha}-BHC$는 흔적${\sim}0.004ppm$(평균(平均) 0.002ppm), ${\gamma}-BHC$$0.015{\sim}0.176 ppm$(평균(平均) 0.083 ppm), heptachlor는 $0.001{\sim}0.008 ppm$(평균(平均) 0.006 ppm), aldrin은 부검출(不檢出)${\sim}0.006 ppm$(평균(平均) 0.003 ppm), ${\alpha}-endosulfan$은 흔적${\sim}0.011ppm$(평균(平均) 0.003ppm), heptachlor epoxide는 부검출(不檢出)${\sim}0.004 ppm$(평균(平均) 0.001 ppm), dieldrin은 흔적${\sim}0.002ppm$(평균(平均) 0.001ppm), ${\beta}-endosulfan$은 흔적${\sim}0.008ppm$(평균(平均) 0.001ppm), p,p'-DDD 및 p,p'-DDT는 흔적으로 나타났다.

  • PDF

시각적 평균 표상의 신경기제 (Neural correlates of visual mean representation)

  • 정상철;신길호;조신호
    • 인지과학
    • /
    • 제19권1호
    • /
    • pp.75-88
    • /
    • 2008
  • 시각 장면은 중복적인 정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의 시각체계는 다양하고 중복적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뇌 용적을 늘이기보다는 들어오는 외부 정보를 요약한다. 유사한 형태의 다양한 정보가 시각체계에 주어지면 시각체계는 정보의 통계적 특성을 추출해 낸다. 이런 통계적 표상의 대표적 형태가 바로 평균 표상이다. 평균 표상의 한 예로 시각 체계에서 계산해 내는 유사한 여러 크기들의 평균 크기를 들 수 있다. 평균 표상은 빠르고 정확하며 비교적 오랜 시간 지속되는 표상이고 평균 표상의 처리과정 또한 병렬적인 처리과정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통계 표상에 관한 연구는 행동측정방법에 의한 연구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통계 표상에 관한 신경기제를 찾고자 하였다. 사전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특정 자극을 연속하여 제시하였을 때 특정 자극을 담당하는 영역에서 자기 공명 영상 신호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반복 감소 현상을 사용하여 원들의 평균이 동일한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우측 후두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자기 공명 영상 신호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우측 후두 영역이 시각자극에 대한 평균 표상을 처리하는 영역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Salt-dilution 방법을 이용한 산지소하천의 유량과 유속 관계 분석 (Hydraulic Relation of Discharge and Velocity in Small, Steep Mountain Streams Using the Salt-dilution Method)

  • 양현제;이성재;임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58-165
    • /
    • 2018
  • 산지하천의 평균유속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하천의 수리적 흐름을 이해하고, 사방댐과 같은 사방구조물 최적 설계를 위해 중요하다. 산지하천의 평균 유속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나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자료 확보가 용이한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유량과 평균유속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8개소의 서로 다른 산지소하천에서 조사된 87회의 유량과 평균 유속 자료를 분석하였다. 산지하천의 유량과 평균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salt-dilution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평균유속은 도달 시간의 조화 평균을 적용하여 구하였다. 하천의 거칠기 높이를 이용하여 유량과 유속과의 무차원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거칠기 높이는 하상재료의 $D_{50}$, $D_{84}$와 하상변위의 ${\sigma}_{pro}$, $IPR_{90}$를 이용하였으며, ${\sigma}_{pro}$$IPR_{90}$의 정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유량과 평균 유속은 지수함수 관계를 보였다.

데이터 스크린 기법을 이용한 연강수량의 통계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Annual Precipitation in Korea Using Data Screeening Technique)

  • 정세진;임가균;김병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5-2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갈수지수 산정 회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30개의 중권역 유역을 대상으로 국가수자원종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평균 갈수량과 평균저수량, 지속기간별 빈도별 갈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유역특성인자 18개와 기상특성인자 3개와의 상관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유역면적, 유역 평균 표고, 유역 평균 경사, 수계 밀도, 유출곡선지수, 연증발산량, 연강수량을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갈수지수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회귀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10개의 검증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간주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와 평균절대오차(MAE)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균갈수량 산정 회귀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한 모형의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미계측 유역의 평균 갈수량 회귀모형과 비교·분석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기존의 회귀모형보다 다양한 유역 특성인자와 수문특성인자를 고려하여 회귀모형을 개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한국프로야구 관중 수요 예측 (A Prediction of Demand for Korean Baseball Leagu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박진욱;박상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20-923
    • /
    • 2017
  • 본 연구는 기존의 수요 예측 등의 시계열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ARIMA 모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 프로 야구 관중 수를 예측하였다. 인공신경망의 가장 기본적인 종류인 전방향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의 초모수(Hyperparameter) 선정에 그리드 탐색(Grid Search)을 적용하여 최적의 모형을 찾고자 하였다. 훈련 자료로는 2015년 3월부터 8월까지의 일별 KBO 관중 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고, 예측력 검증을 위해 2015년 9월 관중 수를 예측하여 실제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그리드 탐색법에서 최적 모형이라고 판단한 모형의 예측력은,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MAPE) 기준으로 평균 27.14% 였다. 또한, 앙상블 기법에서 착안하여 오차율이 낮은 모형 5개의 예측값 평균의 MAPE는 평균 28.58% 였다. 이는 다중회귀와 비교해보았을 때, 평균적으로 각각 14%, 13.6% 높은 예측력을 보이고 있다.

적응적 가중치를 사용한 비국소적 영상 잡음 제거 기법 (Nonlocal Image Denoising Algorithm Using Adaptive Weights)

  • 이철;이철우;김창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94-395
    • /
    • 2010
  • 본 논문은 최소 평균 제곱 오차(minimum mean-square error: MMSE)에 기반한 비국소적 (nonlocal) 평균 영상 잡음 제거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기존의 비국소적 평균 기법에 추정 이론을 적용하여 잡음 제거에 사용되는 이웃 블록 또한 잡음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하여 이웃 블록에 인가되는 가중치를 적응적으로 조절한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듬이 기존의 비국소적 기법에 비해 잡음 제거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한다.

  • PDF

감 재배지 간 과실 품질 차이에 관계한 기온요인 분석 (Analysis of Air Temperature Factors Related to Difference of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ivating Area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 김호철;전경수;김태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4-13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감 재배지 간 과실 특성 차이에 관계한 기온 요인을 분석하고자 8개 단감 '부유' 재배지의 16개 기온요인과 과실 특성을 조사하여 주성분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16개 기온요인 중 제1주성분은 12개 요인으로 이중 연 평균최저기온, 10월 평균기온, 연 평균최저극온, 생육기 평균기온의 영향력이 아주 높았다. 그리고 제2주성분은 4개 요인으로 4월에서 7월까지의 월 평균기온이었고 5월과 6월 평균기온의 영향력이 높았다. 이에 제2주성분까지 누적기여율은 91.4%로 재배지 간 기온 차이에 관여하는 기온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는 충분하였다. 8개 재배지 중 5 재배지은 주요 기온요인이나 그 영향력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기온요인과 과실 특성 간 다중회귀분석에서 과고는 생육기 평균기온($X_8$) 겨울철 적산온도($X_6$) 영향을 뚜렷이 받으며 회귀식 $Y=150.55-5.375X_8+0.014X_6$을 나타내었고, 이 회귀식에 대하여 생육기 평균최저기온($X_9$), 적산온도($X_5$), 8월 평균기온($X_{12}$) 등이 영향을 주었다. 과경은 생육기 평균기온($X_8$, 부의 상관), 과육갈반정도는 생육기 평균최저기온($X_9$, 정의 상관), 과피색 $a^*$값은 연 평균최저기온($X_2$, 정의 상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등산응회암과 입석대 주상절리대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Mudeungsan Tuff and Ipseok-dae Columnar Joints)

  • 노정두;장희원;임채훈;황남현;강성승
    • 지질공학
    • /
    • 제30권2호
    • /
    • pp.161-173
    • /
    • 2020
  • 본 연구는 세계지질공원인 무등산국립공원 내 주상절리대의 공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위한 것으로서, 대상 암석인 무등산응회암의 물리·역학적 성질 파악, 주상절리 풍화정도 산정, 그리고 주상절리 내 균열거동 모니터링 등을 실시하였다. 무등산응회암의 물리적 성질은 평균 공극률의 경우 1.02%, 평균 흡수율은 0.38%, 평균 비중은 2.69 g/㎤, 그리고 평균 종파속도는 4,948 m/s로 나타났다. 역학적 성질의 경우 평균 일축압축강도는 337 MPa, 평균 탄성계수는 68 GPa, 평균 포아송비는 0.29, 평균 점착력은 41.3 MPa, 평균 마찰각은 62.8°로 나타났다. 실버슈미트해머 평균 반발경도 Q값은 49.3이며, 이를 일축압축강도로 환산하면 70.5 MPa로 신선한 일축압축강도의 약 21%에 해당되었다. 그리고 입석대 주상절리 3개 블록에 대한 균열 모니터링 측정 결과, 균열 거동은 블록 모두에서 1 mm 이하로 나타나 주상절리 내 균열 거동은 현재까지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재래종 콩의 생육 및 품질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Korean Soybean Landraces)

  • 한원영;박금룡;정명근;김현태;고종민;백인열;이충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89-95
    • /
    • 2008
  • 국내 재래종 콩 유전자원의 품질에 대한 특성을 재평가하고 우수한 교배모본 탐색 및 선정하여 콩 신품종육성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본 시험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전자원 1,291점이 47-102일 분포를 보였고, 평균 68일이며, 결실일수의 분포는 61-65일이 29.4%, 66-70일이 23.5% 순으로 많이 분포하였다. 생육일수별 콩의 분포는, 105-163일의 생육일수 분포로서, 평균 134일이었으며, III군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고, 만숙종인 VI군이 가장 낮았다. 2. 경장에서 최대 216 cm, 최소 18 cm로 평균 70.7이었고, 분지수는 최대 13.7개 최소 1.8개로 평균 4.9개이었고, 주경절수는 최대 28개 최소 6.1개로 평균 16.3개, 도복정도는 평균 4.8로 중정도이었다. 3. 100립중은 2.4 g에서 40.4 g 분포를 보였고, 평균 19.5 g이었다. 100립중 분포는 13.1-20.0 g에 분포하는 계통이 35.3%로 가장 많았고, 20.1-25.0 g에 분포하는 계통이 29.4% 순이었다. 4. 조단백 함량은 평균 41.8%이였고, 32.7-49.2% 분포, 조지방 함량은 11.8-22.2% 분포로 평균 18.0%, 불포화지방산 조성비율은 평균 85.4%, 94.2-81.8% 분포이며 포화지방산조성은 5.8-18.2%, 평균 14.6%이었다. 5. 당 함량중 슈크로스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스타키오스 및 라피노스 순이었다. 슈크로스 함량은 1.2-7.9%, 평균 5.2%였다.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평균 $1066.8\;{\mu}g/g$, 278.4-$2736.9\;{\mu}g/g$ 범위이고, 다이드제인 함량은 평균 $483.1\;{\mu}g/g$, 범위 48.8-$1709.6\;{\mu}g/g$, 제이스테인 함량은 평균 $472.0\;{\mu}g/g$, 범위는 79.8-$1242.3\;{\mu}g/g$였다.

GPS 가강수량 결정을 위한 한국형 평균온도식 개발 (DEVELOPMENT OF A LOCAL MEAN TEMPERATURE EQUATION FOR GPS-BASED PRECIPITABLE WATER VAPOR OVER THE KOREAN PENINSULA)

  • 하지현;박관동;허복행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373-384
    • /
    • 2006
  • 현재 GPS 가강수량 관련 연구에는 대부분 Bevis 평균온도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Bevis 평균온도식은 북미대륙의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것이므로 기후조건이 다른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가강수량 산출이 부정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기상조건에 적합한 평균온도식을 개발하고, 이 개발된 평균온도식을 적용하여 가강수량을 산출한 후 Bevis 평균온도식과 기존 국내 연구에서 개발된 평균온도식을 이용한 가강수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평균온도식에 따른 가강수량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균온도식을 기준으로 했을 때 지상기온이 높을 경우에 차이가 증가하며, 최대 $1{\sim}3mm$의 RMS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