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seon dynasty eugy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조선왕실 의궤를 통해 본 옻칠 공예품 제작 방법 및 사용 재료 연구 (Study on Analysis of manufacturing technique and Materials used for Lacquerware artifacts with focus on Joseon Dynasty Records, Uigwe)

  • 김진옥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53-60
    • /
    • 2011
  • 조선 왕실의 의궤를 기록된 옻칠 공예품에 관한 제작방법 및 사용재료를 연구하여, 칠기 유물의 보존처리 방안 수립 시 응용하고자 한다. 문헌조사는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1759)", "정조국장도감의궤(1800)"를 중심으로 하였다. 의궤에 기록된 옻칠 공예품의 경우, 옻칠은 주홍칠朱紅漆, 흑진칠黑眞漆, 석간주칠石磵朱柒로 나타난다. 왕에게 진상되는 물품에는 밑칠에 주로 콩가루를 사용하였고, 그 외에는 콩가루와 골회를 혼용하였다. 밑칠에 송연을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왜주홍칠은 전칠을 칠한 후 매칠에 왜주홍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당주홍칠에는 일부 석간주와 주토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흑진칠은 전칠과 매칠을 이용하여 칠하는 것을 기본으로 일부 송연을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석간주칠에는 석간주를 기본으로 주토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명유를 이용하여 광택을 내어주었다고 사료된다. 문헌을 통해 조사된 옻칠 공예품의 제작방법과 전통재료가 옻칠 공예품의 보존처리 방안 수립 시 응용된다면 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융릉 정자각 및 비각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of Jeongjagak and Bigak for Yungneung)

  • 오정애;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24-431
    • /
    • 2010
  • Yungneung is the royal tomb of King Jangjo (the Crown Prince Sado, 1735~1762) and his wife, Hyegyeonggung-the Lady Hong (1735~1815). King Jangjo was the second son of the 21st King Yeongjo of the Joseon Dynasty. The tomb of King Jangjo was originally established at Yangju near Seoul in 1762 and moved to Whaseong near Suwon in 1789. We examined tree-ring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Jeongjagak, the ceremonial hall and Bigak, the tombstone house of Yungneung. We obtained tree-ring dates of 54 wood elements. The dates of bark rings were A.D. 1785, 1786, and 1787 with completed latewoods. These tree-ring dates were well matched with the historically recorded date of two buildings, A.D. 1789 when two or three year-storage after cutting logs was conside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nt buildings of Yungneung was built when the royal tomb of King Jangjo was moved from Yangju to Suwon. A historical record about the construction of Yungneung, 'Hyeonyungwon-eugye' confirmed the majority of woods was moved from 'Manrichang', an official storage office in Seoul through Han river and Yellow Sea to Suwon.

  • PDF

조선시대 능참봉직(陵參奉職)의 조경사적 의의 (A Study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eung Chambong in the Joseon Dynasty)

  • 신현실;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9-148
    • /
    • 2011
  •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의 관리를 담당한 관직인 능참봉직을 소재로 하여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각종 의궤(儀軌), 능지(陵誌), "일성록", 능참봉 일기 등 관련 고문헌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능참봉의 조경가적 역할을 규명하는 기초연구로 수행되었으며, 요약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참봉(陵參奉)은 종9품 참봉 2인으로 구성되고 능참봉직은 생원 진사 혹은 유학중에 삼망(三望)을 거쳐 임명이 되는 음직(蔭職)으로 임용기준은 '연소하지 않고 경륜이 있는 자'를 선발하였으며, 왕릉수호의 상징성으로 인해 관직진출의 수단이 되었다. 둘째, 능참봉의 업무체계는 품계서열을 따랐으나 지리상의 여건 등으로 봉심과 능의 공사감독 등 실제보다 많은 권한과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였으며, 능수호군 관리 및 능지작성 등 조선왕릉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셋째, 능참봉의 조경관련 직무 중 봉심은 능상의 석물이나 사초, 정자각 등을 정기적으로 예찰하여 예조에 보고하는 것이며, 경국대전과 속대전에 봉심의 체계와 방법 등이 자세히 규정되어 있었다. 넷째, 능참봉의 조경관련 직무 중 수목관리 및 능역공사 감독은 조경식물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관리능력과 건축 토목을 망라한 공간에 대한 다양한 식견이 요구되는 직무로 조선왕릉의 현장관리 실무자로써 지방관과의 수직적인 관계의 유동성 확보와 산림부산물 처리에서 암묵적 권한과 관리 책임이 부여되었으며, 오늘날 조경가의 직무성향과 관련성이 깊다. 능참봉의 조선시대 조경관련 직무에 대해 좀 더 폭넓은 문헌 발굴 및 고증으로 조선시대 능참봉의 조선왕릉 조경관리자로서의 역할과 능참봉과 조선왕릉의 조경사적 가치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화성성역의궤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팔달문 건설 소요자원의 현대적 해석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Resource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Paldal-mun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HwaSungSungYouk-EuGye)

  • 김균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41-652
    • /
    • 2021
  • 화성성역의궤에는 화성성역에 대한 상세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나, 현대적 건설관리 관점에서 분석과 평가는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팔달문을 대상으로 하여 시간, 비용, 인력 등 건설관리 관련 정보를 분석하였다. 팔달문 건설에 주요공종은 기초공사와 석공사였고, 전체 공기는 6개월로 전체적으로 매우 빠르게 공사가 진행되었다. 팔달문 건설의 소요비용의 총합은 약 52,423냥인데, 자재비에 약 15,9332냥이 소요되고, 인건비에는 약 36,4901냥이 소요되었다. 이를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자재비 약 11억원, 인건비 약 25억원으로 합은 약 36억원 수준이다. 향후에 공종별 작업 기간과 연계된 상세 투입인력 도출 등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