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esteem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6초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on the Job Attitude of Public Social Worke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Lee, Jung-Seo;Kim, You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113-12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ublic social worker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job attitude and self-esteem of the public social worke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social support of the public social worker as independent variables, job attitud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elf-esteem as a parameter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was analyzed. As a result, emotional, evaluative, material, and informational support, which constitute the social support of the public social worke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and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of the public social worker was suggested.

출소자의 직무만족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Job Stress in the Process of Effect of Ex-prisoners's Job Satisfaction on Occuapational Adaptation)

  • 공정식;권준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93-100
    • /
    • 2019
  • 본 연구는 구금 생활을 마치고 사회로 복귀한 출소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직장 내에서 느끼는 직무에 대한 만족이 그들의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그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사회·환경적 적응의 주요 심리요인으로 작용하는 자존감의 매개 효과와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함께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출소자의 직무만족은 직업적응에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자존감이 매개하여 부분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간접효과를 직무스트레스가 조절하여 부적인 조절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에 대한 만족을 통해 얻어지는 출소자의 주요한 심리적 요인인 자존감이 직업유지와 적응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직무스트레스가 이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기존 연구들의 경우 직무 관련 정서들이 개인의 어떤 심리적 요인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인지, 그리고 무엇이 이를 조절할 수 있는지와 같은 종합적 연구는 미진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출소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본격적인 탐색과 검증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b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of Clinical Nurses)

  • 김미희;정미영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8권2호
    • /
    • pp.81-87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job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of clinica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aires from 323 nurses who were working at hospitals located in M city. For data analysis,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Results: The means of self-estee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3.01, 3.23, and 3.04,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elf-estee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we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ducation opportunity. These two factors accounted for 50.9% of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Conclusion: In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hospital system has been transformed into a highly complex and specialized structure. To manage human resources and reduce turnover rat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for nurses to improve the levels of self-estee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김정미;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1-33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자료를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경로분석 모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의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항공운항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직업존중감 (Job-esteem of th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Aviation Operation Services)

  • 이민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70-37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항공운항서비스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직업존중감을 조사하였다. 학교와 학년 간의 직업존중감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교에 따른 직업존중감 차이는 긍정적 가치와 사회적 평판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부정적 대우와 상대적 효익 요인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직업존중감 차이는 상대적 효익 요인을 제외한 긍정적 가치와 사회적 평판 및 부정적 대우 요인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적 변수와 전공선택에 대한 만족감 및 직무 수행에 대한 자신감 요인 등의 변수가 직업존중감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공 선택에 대한 만족감 변수만이 긍정적 가치, 사회적 평판, 부정적 대우, 그리고 상대적 효익 요인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이 민간경호원의 직무태도에 대한 영향 및 자아 존중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Mobbing by Forming on Alienation in Job Attitude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and Control of Self-esteem : focused on Seoul-Kyunggi area)

  • Kim, Yonghak;Park, Seungbyeol;Kim, Taebock;Kim, Hyunm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65-375
    • /
    • 2015
  • 이 연구는 민간경호원을 대상으로 직장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은 부정적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직장 내 따돌림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며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응집력을 강화하고 민간경호원의 정신 및 신체적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그 결과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업무 따돌림과 인간관계 따돌림, 업무 따돌림과 이직의도, 인간관계 따돌림과 이직의도, 자기존중감과 직무만족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의 변수들 간에는 서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집단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에 따른 자기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업무 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 자기존중감이 직무만족에 각각 영향을 주며, 연령과 자기존중감이 향상되면 직무만족은 향상되지만 직무 따돌림과 인간관계 따돌림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직장 내 집단 따돌림과 자기존중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근속 년수, 업무 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 자기존중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며, 근속 년수와 직무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이 증가하게 되면 이직의도도 증가되지만, 연령과 자기존중감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직무만족과 자존감 및 간호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Task Performance among Registered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심미라;김계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46-454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task performance between registered nurses (RN) and nurse assistants (NA)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203 nursing personnel (RN 99 and AN 104), who were working in one of 5 long-term care hospitals in 5 different areas.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15 to April 30, 2010, and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Win 17.0 program.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But nurses had higher levels of nursing task performance than nurse assistants. Conclusio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rograms that will help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nurses and nursing task performance in nurse assistants.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to maximize the value of the existing workforce without impacting on the quality of care delivered.

개인변인, 심리변인, 직업관련변인이 은퇴기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Job-related Variables on Retirement Expectations)

  • 배문조;전귀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53-6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on employees' retirement expectations divided into imposed frustration, new beginning, transition to rest, and continuing.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dividual(gender, age, occupation, income, education, and health condition), psychological(self-esteem, locus of control, attitude of leisure, and attitude of family), and job-related variables(job attitude, job satisfaction, and job st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15 employees from Daegu and Kyungpook. Retirement expectations were measured with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studies.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mposed frustration was affected by income, self-esteem, locus of control, job satisfaction, job attitude, and job stability. Second, new beginning was affected by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ttitude toward leisure and family, and job stability. Individual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new beginning. Third, transition to rest was affected by locus of control, attitude toward family, job satisfaction, job attitude, and job stability. Individual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ransition to rest. Finally, continuing was affected by age, education, job satisfaction.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continuing.

의료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Employees)

  • 이소연;이정원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5-126
    • /
    • 201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hypothetical models composed of elements that affect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workers. Methods : From four random hospitals, 3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IBM SPSS, AMOS 22.0. Results :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 This research found tha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ffect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we should implement policies and administration to maximiz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청소년의 자존감과 노동참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of Adolescent Self-esteem and Labor Participation)

  • 박상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187-192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존감이 노동참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존감이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긍정)은 학교 밖 학생들이 가장 낮았고, 재학생은 학년이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에 대한 성별 차이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존감(긍정)과 자존감(합계)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존감과 노동참여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0.4%,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50.6%이었다. 자존감의 높고, 낮음이 아르바이트 경험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르바이트 의향과 자존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르바이트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중에 자존감이 낮은 집단의 비율은 50.5%이고, 자존감이 높은 집단의 비율은 49.5%이었다. 따라서 자존감의 높고, 낮음이 아르바이트 의향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르바이트 이유와 자존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가 경제적 이유가 아닌 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68.1%이고, 경제적 비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31.9%이었다. 또한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가 경제적 이유가 아닌 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75.2%이고, 경제적 비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24.8%이었다. 자존감이 높은 집단이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자발적 동기가 높고, 비자발적 동기가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