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ncha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의 상차림에 관한 문헌적 연구 - 자경전정일진별행과(慈慶殿正日進別行果)를 중심으로 - (Literature Review of GichukJinchanEuigwe Table Setting with Focus on JagyeongjeonJeongilJinbyulhangua)

  • 김하윤;양진석;김명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0-157
    • /
    • 2015
  • GichukJinchanEuigwe is a celebration of King Soonjo's 40th birthday and 30th accession to the throne. The Royal banquet was carried out on February 9th MunggunggunJinchan and JagyeongjeonJeongilJinchan 3 days later. JagyeongjeonJeongilJinbyulhangua is located beside JagyeongjeonJinchanan. The banquet table setting, table, dish level, and table type are different according to royal hierarchy class. Jinbulhangua is served to only the king, queen, crown prince, crown princess, and Myongon princess. The number of JagyeongjeonJinchanan served was as follows: king 30 plates, crown prince 20 plates, and Myongon princess 15 plates. Tableware used were brassware and pottery.

1829년 기축진찬의례(己丑進饌儀禮)의 진작(進爵) 기물(器物) 연구 (The Articles Related to the Jinjak Process of Gichuk Jinchan Ceremony)

  • 이아름;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4호
    • /
    • pp.64-81
    • /
    • 2017
  • 의례의 행위에 따라 배치된 물건은 의례적 행동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에 용이한 수단이 된다. 이는 어떤 문화적 관념과 가치가 의례적 행위에서 상징과 패턴으로 표현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각종 의례에서 사용되는 기물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는 문자와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기록되어 준용된다. 본 연구는 순조 29년(1829) '기축진찬의례(己丑進饌儀禮)'의 2월 행사 중 대표적인 행사라고 할 수 있는 명정전 외진찬과 자경전 내진찬의 진작(進爵) 과정에 사용된 기물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진작의 개념을 술을 올리는 행위 뿐 아니라 술을 올리는 일련의 절차를 모두 포함하였다. 술잔을 올리는 구체적 행동이 시대적 상황 안에서 의미하는 문화적 관념과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기축진찬의례'의 외진찬과 내진찬의 진작과정과 관련된 기물은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진작 기물은 신분의 위계에 따라 철저하게 서열화 되었다. 둘째, 진작 기물은 왕실의 권위를 시각화하기 위해 배설되었다. 셋째, 진작 기물은 시대적 가치를 실현하는 상징물이었다. 최근 왕실의 다양한 의례가 재현되고 왕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조선시대 왕실의례에 배설된 기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향후 올바른 왕실의례의 복원을 위한 준비과정이며, 조선시대 왕실문화 연구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 건축 장인(建築匠人)의 활동과 주요 목수(木手) 연구 (A Study on Activities of Architecture Craftsmen and Major Carpenters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석진영;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3호
    • /
    • pp.29-44
    • /
    • 2019
  • A major performance stage carpenter, Jang Insang led performance stages from the 1719 Sukjong Royal Banquet and was confirmed by historical records to be the first craftsman. Lee Wandeuk led the Hwaseong Fortress performance stages of the Jeongjo period and Gichuk Jinchan performance stages of the Sunjo period. The carpenter techniques he used during the Jeongjo period were succeeded to the Sunjo period. Ahn Sungil was the head craftsman who led the performance stages of Jagyeongjeon Jinjak, Muja Jinjak, and Gichuk Jinchan of the Sujo period, under which the foundation for court palace performances was laid. The progression of major carpenters includes Jang Insang of the Sukjong period, Jeon Yoochu of the Yeongjo period, Ahn Sugil of the Sunjo period,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im Yoonsik of the Gojong period, Lee Jongyoon, Kim Soongil, Seo Sangmook, and Han Sujoon. In addition, the Major Repair of Injeongjeon Hall (1857) of the Cheoljong period was the most important palace construction project for transferring the carpenters' skills. Through this project, Ahn Sungil of the Sunjo period, Kim Myeonggap,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won Deuknyang, and Kim Sungil of the Gojong period were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is major repair project of Injeongjeon Hall reflected the major carpenters' best techniques through performance stage construction, showing the progression of Ahn Sungil, Yoon Seokshin, and Kim Sungil, who led the constructions of Gichuk Jinchan of the Sunjo period (1829), Mushin Jinchan of the Heonjong period (1848), and Jeonghae Jinchan of the Gojong period (1887), the most impressive performance stage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rpenters of the court performance stages participated in important construction projects of the royal palace, reflecting the superior technical skills of the carpenters in the construction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The carpenter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performance stages were abl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ransfer their excellent technical skills,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court performance stages to blossom into splendid and high-quality court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1829년 순조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자경전 정일 진찬 미수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Soonjo GichukJinchanEuigwe JagyeongjeonJeongil Misu in 1829)

  • 김하윤;김명희;김아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2-32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Gichuk years JagyeongjeonJeongilJinchan Misu. The banquet, Misu is offered to the king by the crown prince, crown princess, and vassal, according to procedure. JagyeongjeonJeongil Misu are offered as 49 dishes spanning seven courses, so seven dishes in each misu are offered. Various types of food, such as Gawjeong, fruit, soups and side dishes, are placed. Misu involves only the king, crown prince, and crown princess in the banquet. The number of misu dishes are different for the King and prince. The table used is called the Joochil Sowonban and the tableware used is brassware and pottery. Sangwha used Peonies, Chinese rose, Red peach blossom-samjihwa, and Red peach blossom-byulgeonhwa in each misu.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무대와 공연 요소 분석 (Analysis of the Stage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Bongsudang-jinchan Banquet in Joseon Dynasty)

  • 송혜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413-444
    • /
    • 2009
  • 본고에서는 1795년 화성 행궁에서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열린 봉수당진찬의 의례와 악무를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및 "정조실록", "홍재전서(弘齋全書)"등의 봉수당진찬 의례기록과 <화성능행도병>등의 도상자료, 일기체의 한글가사 작품인 이희평(李羲平)의 <화성일기(華城日記)>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무대와 공연요소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잔치의 주인공에게 충(忠)과 효(孝)의 의미를 담은 음악과 춤, 꽃과 음식, 술과 글을 예를 갖춰 올리는 궁중연향은 예악(禮樂)의 원리에 바탕을 둔 국가의례로서 조선왕조 500년 동안 고유한 음악문화를 형성해왔다. 그러나 조선왕조가 막을 내리면서 '예'라는 상징적이며 총체적인 틀 안에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놓여있던 연례의 음악과 춤들이 개별 악곡과 춤으로 해체되어 '작품화'되었고. 궁중음악과 춤의 철학이나 원리, 시공간에 대한 이해는 현저히 축소된 채, 음악과 춤의 전통은 형식과 예술적 표현 중심으로 변화해왔다. 1990년대 이후, 궁중의례 전통의 재현(再現)을 목적에 둔 연구와 행사가 추진되면서, 이와 연관된 공연예술 활동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봉수당진찬은 다양한 방식으로 현대무대화 하고 있다. 그러나 원전(原典)의 재현(再現) 및 복원(復原) 문제, 완성도 및 예술성에 대한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으며, 지금까지는 "원행을묘정리의궤"에 수록된 의주의 외형적 재현에 관심을 두었을 뿐, 무대조건이나 공연요소에 중점을 둔 심도있는 분석은 부족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무대구성과 공연요소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조선시대 궁중연향 중에서 유일하게 '행궁'에서 개최된 봉수당진찬은 '예악의 정치'를 의례와 악무로 구현하는 궁중연향의 기본적인 면모를 보여주면서도 '군신동락(君臣同樂)'의 친화의 비중이 높은 연향이었음을 밝혔다. 내연과 외연의 성격이 섞인 봉수당진찬에서는 가림막을 최소화하여 신분의 차서(次序)와 남녀유별(男女有別)의 원리를 충족시키면서도 삼면에 둘러친 휘장 안에 외빈의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술과 음식, 음악과 춤을 다 같이 공유하도록 배치되었다. 또한, 연향공간의 상징성을 내포한 차일을 백관들의 공간에 치고, 임금이 솔선하여 선찬(膳饌)과 산화(散華)를 명함으로써 군신동연(君臣同宴)의 의미와 범위를 확장시킨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봉수당진찬이 '예악의 원리'가 강하게 드러나는 여느 궁중 연향에 비해 '정(情)'을 나누는 화친(和親)에 기반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봉수당진찬에서는 여느 내연에서보다 임금의 역할과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의주 외의 기록으로 전하는 여러 가지 상황 - 7작 이후에 정조가 신하들을 가까이 불러 나눈 대화, 신하들에게 음식과 꽃을 내림, 잔치를 주제로 직접 시를 짓고, 신하들에게도 이에 화답하게 한 일 등-은 의주에 따른 단선적인 연향의 진행에 변화를 주고, 연향의 의미를 확장시키는데 한 몫 하였다. 이밖에, 봉수당진찬의 주악과 정재의 구성을 분석해 본결과 연향에서 여러 인물들의 대화와 움직임이 매우 절제된 것은 여느 궁중연향과 비슷하지만, 춤과 음악을 통해 구현된 소리와 색채감은 매우 다채로웠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봉수당진찬에서는 정조 이전에 치러진 내연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정재를 상연하였고, 이 중에는 새롭게 초연된 레퍼토리도 있었으며, 또 기존의 공연을 새롭게 재구성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선유락>이나 <검무> 등, 지방 관아 및 민간의 레퍼토리를 궁중연향으로 수용한 점, 풍류방에서 즐겨 연주되기 시작한 생황을 <학무> 와 연계한 것은 전통적인 규범과 관습에 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궁중연향의 '열린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진찬의궤를 통하여 본 1887년 조선왕조 궁중 진찬연 중 만경전 야진찬의 상차림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oyal Evening Party Feast Dishes in Jinchan Euique(1887))

  • 김상보;이성우;박혜원;한복진;황혜성;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75-183
    • /
    • 1991
  • To examine the Royal evening party in the Man Kyoung Jeon, the authors studied“Jin Chan Eui Gue”, which is a historical record published in 1887(King Go-Jo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ining tables were divided into two : fixed arranging tables(7) and taking-away tables. 2. There were no distribution of food and flowers to the attendants in the evening party. 3. Tables used in the evening party were all round tables. 4. According to the status or class of the attendant, the pattern or size of table settings were differentiated in the kinds of food, hights of food, flowers china ware etc. 5. All of the arrangements in the evening party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main party. 6. In the arrangements of tables for the King's Grand Mother, the hights of food on the dishes were as following levels, 1 dish : 9 chon(촌) 7 dishes : 7 chon(촌) 4 dishes : 6 chon(촌) 3 dishes : 5 chon(촌)

  • PDF

국내거주 외국인의 재난 시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oreigners in the Country for the Occurrence of Disasters)

  • Koo, Wonhoi;Park, Jinchan;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79-28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대상으로 재난의 경험 여부, 재난발생 시 위험성 및 문제점, 재난대응활동을 위한 서비스의 요구도 등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난발생 시 언어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신고의 어려움, 신고의 방법을 모른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외국어 가능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재난안전서비스가 필요한 곳에 지속적으로 제공해줄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언어적인 문제와 신고방법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인 대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다식류(茶食類)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Dasik in the Joseon Dynasty Royal Palace)

  • 오순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6-323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traditional pressed sweet called dasik recorded in 15 Joseon dynasty (1392-1909) royal palace studies. The ingredients used in Dasi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43% cereal powders, 18.6% tree fruits, 17.4% flower powders, 11.6% root clods, 8.2% dry-fish beef powders, and 1.2% vegetables. In the early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no reports of dasik in the royal palace. In the middle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one report of dasik in the royal palace. But in the late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85 kinds of dasik reported in the royal palace. The most common ingredients were, most common first, Song-wha (松花), Huek-im (黑荏), Hwang-yul (黃栗), Nok-mal (菉末), and chungtae (靑太). The appearance and taste of dasik varied greatly throughout the time period, eventually resulting in nutrient supplementation. This observat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conducted on the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old studies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for the globalization of dasik.

진찬의궤의 구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omposition“Jin Chan Eui Gue(Bangqet record)”of Chosun Dynasty)

  • 한복진;황혜성;한복려;김상보;이성우;박혜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2
    • /
    • 1991
  • Since the year 1795(in the 19th year of King Jungjo), the form of Banquet Record was established. In the year 1827(in the 27th year of King Sunjo), the formality of Banquet was made at Ja-kyung Palace for the first time. Thereafter it was utilized by all banquets, So it was called the“model of courtesy”. The compostion of Jinchan Uigue of the year 1887(in the 24th year of King Gojong) was identified as follows; Banquet Record was composed of 4 Volumes. In Preface, there were Data choice(Taekil), Personal rank his name(Zwamok), Pictures of ceremonies(Dosik). In 1st Volume, there were King's order(Jungyo), Answer of King's question(Yeonseol), Musuic Record(Akjang), Compliment for King(Chisa), Poem for royal family(Junmun), Procedure of ceremony(Uiju), Works of theauthorities concerned(Samok), Resource indices(Gyemok), Letters from chief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Gyeas), Official letters(Imun), Letters to headquarters from local officers(Negwan). In 2nd Volume, there were Consult for budget(Pummok), Letters from to local officers from head quarters(Gamyul), Banquet menu(Chanpum), Utensil item(Gijong). In 3rd Volume there were repairment(Suri), Arrangement(Besul), Umbrella and flag for ceremonies (Ui Jang), Guard(Uiwui), List of quests(Neyebin), Ministers(Munanjesin), Musician and dancer's name and costume (Gongryung), Musical instrument(Akgipungmul), Rewards(Sangjum), Expenditure of banquet(Jaeyoung).

  • PDF

조선시대 어만두(魚饅頭)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Emandoo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 오순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1호
    • /
    • pp.1-12
    • /
    • 2016
  • 조선시대 의궤 15책과 고문헌 8권에 수록되어 있는 어만두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전기에는 1종, 중기에 2종, 후기에 15종으로 모두 18종이 소개되었다. 만두소의 재료로는 꿩, 닭, 소고기, 전복, 해삼 등이 사용되었다. 어만두는 생선살을 얇게 저며 소를 넣고 녹말을 입힌 후 물에 삶은 것으로 현재의 '물만두'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어만두의 크기는 작은 모시조개 크기로 만들었다. 초장에 '고초(苦椒)'의 사용은 "무신 진찬의 궤"(1848년)의 '어만두'를 시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만두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