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rticles Related to the Jinjak Process of Gichuk Jinchan Ceremony

1829년 기축진찬의례(己丑進饌儀禮)의 진작(進爵) 기물(器物) 연구

  • Lee, A-Lum (Dept. of Content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Creative Industr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Eun-Joo (Dept. of Content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Creative Industr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아름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
  • 이은주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7.09.27
  • Accepted : 2017.11.08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Among the royal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era, the articles used in the Jinjak ceremony are symbolic icons of their value during the era.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e articles whose usage is ambiguous, by referring to various historical records. Moreover, it should be possible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al context of the article during this proc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examined the articles related to and used in the processes of Jinjak ceremonies of Outer Jinchan of Myeongjeongjeon and Inner Jinchan of Jagyeongjeon, which are part of the Gichuk Jinchan Ceremony performed in February of the 29th year of King Sunjo. Especially, the definition of Jinjak will not just be limited to the action of offering liquor, but will include the whole series of procedures in offering the liquor. This is because the specific action of offering the liquor expresses cultural concepts and values that have meaning within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context in the specific action of offering the liquor.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Jinjak process of Outer Jinchan and Inner Jinchan of Gichuk Jinchan Ceremony. First, the articles of Jinjak are ranked strictly exactly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rankings. Second, the Jinjak articles are arranged for their symbolic meanings rather than their purpose. Third, the articles of Jinjak are symbolic icons expressing the values inherent in the process of offering liquor. Recently, there are events reviving the royal court banquet and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royal culture. It such a situation, the systematic examination of articles of royal court banquets will be a process needed to restore the royal ceremony correctly in the future, and will be the foundation for studying the royal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era.

의례의 행위에 따라 배치된 물건은 의례적 행동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에 용이한 수단이 된다. 이는 어떤 문화적 관념과 가치가 의례적 행위에서 상징과 패턴으로 표현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각종 의례에서 사용되는 기물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는 문자와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기록되어 준용된다. 본 연구는 순조 29년(1829) '기축진찬의례(己丑進饌儀禮)'의 2월 행사 중 대표적인 행사라고 할 수 있는 명정전 외진찬과 자경전 내진찬의 진작(進爵) 과정에 사용된 기물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진작의 개념을 술을 올리는 행위 뿐 아니라 술을 올리는 일련의 절차를 모두 포함하였다. 술잔을 올리는 구체적 행동이 시대적 상황 안에서 의미하는 문화적 관념과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기축진찬의례'의 외진찬과 내진찬의 진작과정과 관련된 기물은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진작 기물은 신분의 위계에 따라 철저하게 서열화 되었다. 둘째, 진작 기물은 왕실의 권위를 시각화하기 위해 배설되었다. 셋째, 진작 기물은 시대적 가치를 실현하는 상징물이었다. 최근 왕실의 다양한 의례가 재현되고 왕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조선시대 왕실의례에 배설된 기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향후 올바른 왕실의례의 복원을 위한 준비과정이며, 조선시대 왕실문화 연구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려사(高麗史)
  2.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3. 기사진표리진찬의궤(己巳進表裏進饌儀軌)
  4.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奎 14370
  5. 무자진작의궤(戊子進爵儀軌) 奎 14364
  6. 상방정례(尙方定例)
  7.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 奎 14532
  8. 일성록(日省錄)
  9.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 奎 14535
  10.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1.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12. 춘관통고(春官通考)
  13. 국립고궁박물관, 2007,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안내도록, p.153
  14. 국립고궁박물관, 2013, 궁에서 왕을 만나다, p.139
  15. 국립고궁박물관, 2017, 조선왕실의 포장 예술, p.126
  16.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국역 국조상례보편, p.91
  17. 국립중앙박물관, 2010, 조선시대 궁중행사도1, 그라픽네트, p.40, 50
  18. 김미영, 2010,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민속원, p.183
  19. 김선희, 2015, 화성행궁華城行宮소장 기물器物과 비품備品연구 고궁문화 제8호, pp.74-117
  20. 김종수, 2013, 조선후기 內宴儀禮의 변천 溫知論叢 第35輯, p.428
  21. 송방송.김종수, 2007, 국역 순조기축진찬의궤 권수.권일, 민속원, p.16, 29, 113, 127, pp.116-117, 130-131
  22. 이의강, 2006, 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p.56
  23. 이혜원, 2014, 朝鮮末期 王室 儀禮用 木家具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전순의, 한복려 엮음, 2011, 산가요록, 궁중음식연구원, p.36
  25. 정희정, 2015, 조선후기 의궤도설과 기록화를 통해서 본 연향 연구 : 음식상 배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조시내, 2009, 대한제국기 宮中 宴享用 家具 연구 미술사학연구 제264호, pp.127-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