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nbu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156초

강원도 평창군 진부 단층의 지형 및 활동성 (A Study on the Geomorphology and Activity of Jinbu Fault i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 이광률;조영동;김대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75-790
    • /
    • 2008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의 진부 단층선을 대상으로, 단층 및 하천 지형의 분포 특성과 단층 파쇄 점토의 광물 조성을 분석하여, 활단층의 존재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진부 단층선을 따라 오대천의 상류와 연곡천 상류는 뚜렷한 단층선곡을 형성하고 있다. 진부 단층선의 남단인 간평리의 오대천 우안의 사면에서는 삼각말단면, 단층잔구, 단층와지, 선상지 등 단층 작용과 관계된 지형들이 선상으로 분포하고 있다. 단층와지에 위치한 5개의 노두($jbf1{\sim}5$)에서는 단층 파쇄 점토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화강암 풍화층에 발달한 단층 노두인 jbf1은 뚜렷한 단층면을 가지며, 일라이트와 로몬타이트를 함유한 단층점토가 확인되고 있다. jbf4-2-3-5를 잇는 진부 단층선은 매우 오래전부터 작용했던 광역적 인 압축 응력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크고, jbf1 단층은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후기 이전의 시기에 발생한 진부 단층선의 지류 단층일 것으로 판단된다. 진부 단층선 동 서측 지괴의 수직적 변위 속도는 $0.024{\sim}0.027m/ka$로 계산되었다.

2006년 집중호우로 발생된 강원도 진부지역의 토석류 특징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s occurred in Jinbu area of Gangwon Province due to heavy rainfall)

  • 서흥석;윤찬영;전경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041-1050
    • /
    • 2009
  • Many slope failures and debris flows were occurred in Jinbu area of Gangwon Province due to heavy rainfall of much more than 400mm in July, 2006. In the area, although about 3 years passed, valleys and gulleys keep their original form when the events happened. Field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on Singi-ri and Bongsan-ri in Jinbu area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s well as slope failure. As the result, debris flows were classified as 3 typ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alyzed by field investigations.

  • PDF

진청색의 동시개화성 절화 용담품종 '스카이호프' 육성 ('Skyhope', a New Gentiana spp. Cultivar with the Same Time Flower and Dark Blue Petals)

  • 서종택;류승열;권영석;장석우;최창학;김정선;성문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6-89
    • /
    • 2018
  • 용담 신품종 '스카이호프(Skyhope)'는 청색 꽃을 가진 가진 Jinbu-1와 Jinbu-4호를 2000년에 교배하여 선발하였다. 화색은 진한 청색(VB 96A)으로 '횡계1호(VB96B)'보다 진했으며, 꽃잎에 반점이 없다. 꽃대 줄기는 자주색을 띠며 잎 모양은 피침형이다. 꽃은 밤에 반폐쇄형이고 위와 아래에서 거의 동시 개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초장은 68.1 cm 정도이고, 화경수도 5.3개로 적었으며, 화단수와 화수는 각각 5.9개, 32.2개로 나타났다. 개화는 7월 상순부터 하순까지 하였으며, 전 지역에서 '횡계 1호'보다 15-20일 정도 빠르게 피었다.

강원도 진부지역 임도변 발생 토석류 특성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s Occurred around the Forest Road in Jinbu Area of Gangwon Province)

  • 서흥석;윤찬영;전경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698-707
    • /
    • 2010
  • Because of localized extreme rainfall followed by Typhoon Ewiniar in 2006, a lot of landslides and debris flows were occurred in Jinbu area of Gangwon Province. Field investigation performed in this area found that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e. large debris flow, small debris flow, and debris flow around forest road. We performed field investigation especially for the sites where debris flow occurred around forest ro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bris flow around forest road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other site of debris flow.

  • PDF

진부지역 토석류발생 사면에 대한 침투 및 사면안정 연계해석 (Seepage and Slope Stability Analysis on the Site of Debris-flow at Jinbu Area)

  • 전경재;윤찬영;서흥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369-376
    • /
    • 2009
  • Field investigation was performed right after the occurrence of debris flow at Jinbu area. Geomorphic and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rain fall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se data, seepage and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behavior of ground water and factor of safety of the slope according to the rainfall intensity and time. As a results, the minimum value of factor of safety achieved in long time after the moment of maximum precipitation rat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factor of safety is susceptible to ground water level rather than rainfall intensity.

  • PDF

중산간지와 고냉지산 쌀 형태 및 이화학적특성의 품종 및 산지간 변이 (Varietal and Locational Variation of Grain Quality Components of Rice Produced in Hilly and High Altitude Areas in Korea)

  • 최해춘;지정현;이종섭;김영배;조수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7-37
    • /
    • 1994
  • 중산간지 및 산간고냉지대에서 재배된 벼의 주요 미질특성에 대한 품종 및 환경변이정도를 파악하고자 오대벼등 자포니카 조생종 5개 품종을 1989년에 중북부 중간지인 철원과 산간고냉지인 진부, 중남부 중산간지인 상주, 화서 및 남부고냉지인 운봉의 4개소에 재배하여 생산된 쌀의 외관 및 도정특성과 주요 이화학적 특성 및 식미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이들 미질특성의 품종 및 산지변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미천립중, 아밀로스함량, K/Mg률,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강하점도(breakdown) 및 치반점도(setback)에서 품종 및 산지간 변이가 모두 품종${\times}$산지간 교호작용변이에 비해 현저하였고 정현비율, 알칼리 붕괴도 및 단백질 함양에서는 산지간 변이가, 밥의 점성 /경도비율에서는 품종간 변이가 유의하게 켰다. 특히 품종${\times}$산지간 교호작용 변이가 켰던 미질특성은 외관 및 등숙관련특성과 식미 및 응집점도(consistency)등이었다. 2. 현미천립중은 진부올벼와 오대벼가 가장 무거웠고 불완전등숙립률은 진부올벼가 가장 낮았으며 백미건전미율는 오대벼가 심복백 때문에 다른 품종에 비해 약간 멀어졌다. 아밀로스 함량은 출수기가 빠른 진부올벼와 소백벼가 타품종에 비해 약 1% 가량 낮았고 K /Mg율은 식미가 가장 좋았던 오대벼가 가장 낮았으며, 호화개시온도와 치반점도가 유의하게 낮았던 반면 최고점도와 강하점도가 현저하게 높았던 오대벼, 소백벼 및 진부올벼등이 밥맛이 약간 양호한 편이었다. 3. 철원산미가 가장 입중이 무겁고 등숙이 양호하였던 반면 건전미율은 오히려 떨어졌으며 진부산미가 가장 정현비율이 높으면서 건전미율이 높았다. 4. 아밀로스함량은 진부산미가 다른 지역산미에 비해 약 2~3%가 높았던 반면 철원산미가 가장 낮았고 단백질함량은 중부지역산미가 남부지역산미에 비해 약1%가량 낮았으며 K/Mg율은 진부산미가 가장 높았고 K함량은 중부지역산미가 남부지역산미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식미총평은 품종별로 산지에 따라 크게 달라서 산지간 평균적 비교가 큰 의미가 없지만 운봉과 철원산미가 진부와 화서산미보다 양호한 경향이었다. 5. 쌀의 알칼리 붕괴도와 호화개시온도는 진부산미가 다른 지역산미에 비해 현저히 높았고 그 다음으로 운봉>화서>철원산미 순으로 낮았으며 강하점도는 철원산미가 가장 켰고 그 다음으로 화서>운봉>진부산미 순으로 저온하에서 등숙된 쌀일수록 낮았으며 치반점도는 이와 정반대의 경향이었다. 밥의 점성 /경도비율은 철원산미가 여타 지역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6. 식미관련 미질특성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에서 전정보의 약 60% 설명이 가능한 제1 및 제2 주성분치상의 5개 품종별 4개 산지미의 분포로 보아 대체로 진부산미와 여타 지역산미로 확연히 구분되었고 다시 진부산미는 2개군, 여타 지역산미는 3개군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으며 산지내 품종변이가 가장 작았던 것은 화서산미였고. 고냉지산미는 품종 간 변이가 켰다. 식미관련 종합적 미질특성면에서 가장 양호한 군에 속하는 것은 철원, 운봉 및 화서산 오대벼와 운봉산 소백벼였다.

  • PDF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the Yield, Color, and Proximate Compositions of Jinbu Variety Green Rice®

  • Kim, Hoon;Lee, Se-Eun;Kim, Dong-Chul;Keum, Dong-Hyuk;Park, Soo-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81-385
    • /
    • 2011
  • The degree of maturity of rice greatly affects the quality of the rice, including factors such as the integrity of grains, color, and the nutritive components. Green Rice$^{(R)}$ is rice (Oryza sativa L.) that has been harvested earlier than brown rice and appears green in color. To determine suitable harvesting time of the Jinbu variety of Green Rice$^{(R)}$ in Gyeonggido, rice samples harvested on 23, 26 and 42 days after heading (DAH) were compared on their yield, color intensity, and proximate compositions. The maximum paddy yield of Green Rice$^{(R)}$ was 61.4% at 23 DAH, which decreased to 45.4%, 5.5% at 26 and 42 DAH, respectively. Greenness was darker at 23 DAH ($-0.27{\pm}0.03$), and significantly weaker (p<0.05) at 26 DAH ($0.07{\pm}0.01$) and at 42 DAH ($5.25{\pm}0.08$). All proximate compositions, except carbohydrate, including moisture, crude fat, protein, ash and total minerals were higher in the earlier-harvested Green rice$^{(R)}$ than in brown rice, without variations among the 23 and 26 DAH Green rice$^{(R)}$. Overall, the optimum harvest time of Jinbu Green Rice$^{(R)}$ at Gyeonggido would be 23 DAH. We suggest that timely harvesting could be a potent determinant of the quality of Green Rice$^{(R)}$.

연한 청색의 동시개화성 절화 용담 ‘스카이블루볼’ 육성 (Breeding of ‘Skyblueball’, a New Gentiana spp. Cultivar with the Same Time Flower and Violet Blue Petals)

  • 서종택;유동림;김수정;류승열;남춘우;권영석;장석우;김원배;이응호;최창학;김정선;성문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30-633
    • /
    • 2016
  • 용담 신품종 “스카이블루볼(Skyblueball)”은 청색 꽃을 가진 Jinbu-65호를 모본으로 하고 역시 청색 꽃을 가진 Jinbu-1호를 부본으로 하여 2000년에 교배하여 선발하였다. 그 후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후 2002년부터 지역적응성 검정까지 5년에 걸쳐 그 특성이 조사되었다. 화색은 연한 청색(VB 96C)으로 횡계1호(VB96B)보다 밝으며 꽃잎에 반점이 없다. 꽃대 줄기는 자주색을 띠며 잎 모양은 피침형이다. 꽃은 밤에 반폐쇄형이고 거의 동시에 개화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횡계1호는 아래부터 위로 개화하는 습성이 있다. 초장은 62.9 cm로 횡계1호보다 약간 작고 주당 화경수는 8.3개로 약간 많은 편이다. 화경당 화단수는 5.3단으로 같으며 화경당 화수는 21. 7개로 횡계1호의 36.0개 보다 14개 정도 적다(Table 2). 개화기는 대관령이 7월 26일, 진부가 8월 3일, 남원도 8월 3일 그리고 제주도가 6월 28일로 가장 빨리 피어, 전 지역에서 횡계1호 보다 빨리 핀다.

Spatial Distribution and Casual Causes of Shallow Landslides in Jinbu Area of Korea

  • Park, Jin Woo;Choi, Byoung Koo;Kim, Myung Hwan;Cha, Du S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130-135
    • /
    • 2017
  • In temperate monsoon regions, extensive shallow landslides triggered by heavy rainfall are recurrent phenomena in mountainous areas. 1,357 landslides over Jinbu area, Korea that totaled 127 km2 were identified from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survey. We examined characteristics of rainfall-induced shallow landslides and casual factors affecting landslide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opographic and forest settings, and land use. Most landslides occurred in the study area were the results of a complex combination of precondition, preparatory factors and triggering factors. Cumulative rainfall and high intensity rainfall during short period of time made the study area very sensitive to landslides and played as catalysts to enable other factors including topographic and forest settings, and land use to act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some landslides at lower elevation involved channel incision or bank erosion influenced by land use changes such as deforestation and intensification of agriculture surrounding riparian forests or hillslopes. The results suggest that most of landslide were triggered by heavy rainstorms while topographic, forest settings, and land use affected landslide distribution occurred in the study area.

Structure Determination of Heishuixiecaoline A from Valeriana fauriei and Its Content from Different Cultivated Regions by HPLC/PDA Analysis

  • Hyejin Cho;Ki Hyun Kim;Sin Hee Han;Hak-Jae Kim;Ik-Hyun Cho;Sanghyun L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181-186
    • /
    • 2022
  • A germacrane-type sesquiterpenoid was isolated and purified from a methanol extract of the roots of Valeriana fauriei (RVF) through open column chromatography using silica gel. This compound was verified to be heishuixiecaoline A by spectroscopic analysis. This compound was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RVF. Quantitative analysis of heishuixiecaoline A from RVF cultivated from three different regions (Eumseong, Jinbu, and Jinan regions) was performed by combin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The extract of RVF cultivated in the Jinbu region showed the highest content (9.23 mg/g). In addition, a significant amount of the compound was detected in all RVF samples, which could be expected since it is a characteristic compound of RVF. The sesquiterpenoid group heishuixiecaoline A was isolated from RVF, a resource for various pharmacological substanc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RVF cultivated from three different region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se experiments, basic data on RVF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harmaceutical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future were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