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ng

검색결과 138,395건 처리시간 0.116초

MgO시료의 Oxidation을 통한 보호막 특성 연구

  • 고병덕;정진만;오필용;문민욱;송기백;임정은;이준호;이혜정;한용규;유나름;손창길;정세훈;이수범;최은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5년도 제29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66-166
    • /
    • 2005
  • PDF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승 및 유파·바디에 따른 분화 (Jeong Jeongryeol-je Choonhyangga's full transmission and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pansori schools or versions)

  • 송미경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415-455
    • /
    • 2019
  • 본 논문은 판소리 전승의 관점에서 정정렬제 춘향가의 정체와 범주를 명확히 하는 한편, 현대판소리에 남아있는 정정렬제 춘향가의 궤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전하는 정정렬 창 춘향가 소리 대목은 총 44개로, 사랑가 부분을 제외하고는 결연-이별-수난-재회 단락에 해당하는 대목이 거의 빠짐없이 갖추어져 있다. '이도령이 동헌으로 들어가는 대목', '황릉묘 대목', '어사가 춘향집을 찾아가 위로하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와 장단 구성을 달리하는 차이가 있고, '이도령이 춘향 집 찾은 연유를 밝히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에서 아니리로 구사되며, '남원에서 춘향을 열녀 대우하는 대목'은 박록주 창본에만 유일하게 나타나던 것이다. '어사가 남원 사람들을 모아 잔치 배설하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에서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부분으로 연극적 재미를 추구한 창극소리에 해당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조선성악연구회의 활발한 창극 공연 및 <빅타판 춘향전>, <오케판 춘향전>의 연이은 발매가 있었던 1936년~1937년이 정정렬제 춘향가의 재정립에 중요한 시기였을 뿐 아니라, 그 이전에 정정렬제 춘향가를 사사한 창자들의 소리와 그 이후에 사사한 창자들의 소리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자에는 박록주, 김여란, 김소희, 후자에는 김연수, 정광수, 박동진, 정광수, 강도근이 속한다. 또 하나, 김소희의 경우를 제외하면, 정정렬제 춘향가의 이러한 두 전승군은 정정렬제의 학습 시기에 따른 구분이면서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판 계승 여부에 따른 구분,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성별에 따른 구분이기도 하다. 정정렬은 제자를 가르칠 때, 즉흥적인 판 짜기를 염두에 둔 '옛날식 판소리' 교수법과 판에 박은 소리를 염두에 둔 '근대적 판소리' 교수법을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활용했다. 그 결과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승에는 여성 창자 위주의 오롯한 전판 계승과 더불어 남성 창자 위주의 유파·바디에 따른 분화 두 양상이 공존하게 되었다.

궁궐(宮闕) 정전(正殿)에서 기둥과 공포의 구조적(構造的) 비례특성(比例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Proportion of Pillar and 'Kong-po' in 'Main Hall of Royal Palace(正殿)' of the Royal Palace)

  • 박언곤;최효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1호
    • /
    • pp.71-87
    • /
    • 2005
  • 4 royal palaces are currently remained from capital city (Seoul) of 'Cho-Sun(朝鮮)' period. In these palaces, 'Main hall of Royal Palace(正殿)' is the center of the Royal Palaces.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the Royal Palace was the best building of that time. Therefore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But these studies were individual studies of these 'Main hall of Royal Pala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4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the Royal palaces. It is to study the proportion regarding the Diameter of the pillar, the Height, the pillar and pillar Interval's Distance, and the arrangement of 'Kong-Po(bracket sets)'. With these studies, it is to prove that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is the building which high construction technique of this time is expressed.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the proportion of pillar height(H) to its diameter(D) average from H=8.0 to 8.5D. Only the Myeong-Jeong-Jeon omitted the 'Go-Ju(高柱)' in the 'Toi-Kan (退間)' to place Ea-Jwa(御座). Second, Second, the proportion of diameter of the pillar of 'Eoi-Bu-Pyeong-Ju(外部平柱)' and 'Nae-Jin-Go-Ju(內陣高柱)' average D1(Diameter of 'Eoi-Bu-Pyeong-Ju') =0.91D2 (Diameter of 'Nae-Jin-Go-Ju'). In regards to the height, the sing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and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seems to be different. The height proportion of the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is H1(Height of 'Eoi-Bu-Pyeong-Ju')=0.34H2(Height of 'Nae-Jin-Go-Ju') and sing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has a proportion of H1=0.62H2. Third, in Geun-Jeong-Jeon, with the proportion of height and diameter of the pillar, interval's distance between pillars and diameter, the pillar interval distance and height, of 'Ea-kan(御間)' from the 'Toi-Kan' is different from 'Main hall of Royal Palace'.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of 'Toi-Kan' of Geun-Jeong-Jeon is not stable. In order to reinforce this, 'Gui-Go-Ju(隅高柱)' of the Geun-Jeong-Jeon jut out $4{\sim}7%$ more compared to In-Jeong-Jeon. Fourth, when comparing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Geun-Jeong-Jeon and In-Jeong-Jeon, based on distance of 'Eoi-Bu-Pyeong-Ju' and 'Nae-Jin-Go-Ju' of lower level, the 'Sang-Bu-Pyeong-Ju(上部平柱)' of Geun-Jeong-Jeon jut out $4{\sim}7%$ more compared to the In-Jeong-Jeon and also It becomes thicker. Fifth, the arrangement of 'Kong-Po' on the front row of 'Gan(間)' had to do with the change of side 'Gan'. Even though the Geun-Jeong-Jeon and the In-Jeong-Jeon were double floors, the arrangement of the 'Kong-Po' is different because the number of side bay is differ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