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ng(精)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시대 남자용 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s Boots of the Joseon Dynasty)

  • 곽경희;홍나영
    • 복식
    • /
    • 제56권1호
    • /
    • pp.44-5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n's boots in the Joseon Dynasty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to fi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Boots in the Joseon Dynasty are divided into several kinds such as Heukgwejapihwa, Hheuksapihwa(黑斜皮靴), Heukpihwa(黑皮靴), Mokhwa(木靴), Hyeopgeumhwa(挾金靴), Suhwaja (水靴子), Jeonpihwa, Gijahwa(起子靴), and Baekhwa(白靴). In addition, Jeong(精: footwear) was put inside boots. They tend to be named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or ornaments on them. First, Jeong put inside the boots is regarded as footwear for the comfort of the feet or protection against cold. Mokhwa appears in literature around the 19th century. As shown by remains and paintings of those days, it is considered to have become the common name of boots as it underwent many changes. On the other hand, a book in the era of King Gojong includes pictures of Suhwaja. Compared to Hukpihwa in the same book. The topside seems to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make the wearer who put on a military uniform feel comfortable when walking, since the bottom piece is hard. Baekhwa is worn not only with funeral garments but also with Sibok(時服), one of official uniforms. Boots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made following the design of the Ming Dynasty since official uniforms were conferred upon King Gongmin in the late Koryo Dynasty. But turn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s detailed design changed little by little. The topside of the boots became more round, the entrance part became wider, height of the shoes became taller, and the bottom piece became parallel to the ground.

강직성척추염(Ankylosing Spodylitis)에 대한 한의학적 이해 (A Study on Ankylosing Spodylitis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Perspective)

  • 김종현;윤은경;백유상;정창현;장우창;류정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38
    • /
    • 2012
  • Objective : Ankylosing Spodylitis(A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that is notorious for its difficulty to cur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mechanism of AS in the Traditional Korean Medical(TKM)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spine. Method : Clinical manifestations of AS, epidemiological data and clinical cases were interpreted by traditional methodology. Result : The young age group of patients suffering from this condition suggests that the cause of this condition is not solely linked to deficiency of the Kidney[腎], which is a general cause for bone disease. Its symptoms are linked to obstruction in the upper body, which results in disturbance of Jeong(精) collection in the lower body. Based on other accompanying symptoms, together with its character as an autoimmune disease, a strong link to the spirit of the heart[心神] can be suggested. Conclusion : AS is closely linked not only to essence of kidney[腎陰], but to the spirit of the heart[心神] as well. From the TKM analysis of the spine, we can understand it as the basic pathway for the fundamental Gi(氣) circulation.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정기신(精氣神) 양생법(養生法)과 그 특징 (The Jing-Qi-Shen Cultivation Method and its characteristic of Donguibogam)

  • 정창현;백유상;위보영;장우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5-144
    • /
    • 2017
  • Objectives : Various cultivation methods can be found suggested in Donguibogam(東醫寶鑑) Naegyeongpyeon(內景篇) ranging from Juchenhwahu(周天火候), massage(按摩), physical and breathing exercise(導引), fetal breathing(胎息), clicking teeth(叩齒), saliva swallowing (嚥液), sounding the celestial drum(鳴天鼓), Six words(六字訣), Seven step(七星步), God pillow method(神枕法), and Taoism. Methods : The cultivation methods in Donguibogam are mainly found in the first volume of Naegyeongpyeon, and some can be discovered in Oehyeongpyeon(外形篇) and Japbyeongpyeon(雜病篇).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ystem and special features of the cultivation methods that unfold within the first volume of Naegyeongpyeon. Results : Donguibogam's cultivation methods are Jing-Qi-Shen cultivation method(精氣神養生法), and Naegyeongpyeon's Sinhyeong(身形) can be described as a collection of general remarks, and Jing(精), Qi(氣), and Shen(神) is dealt individually. The condition for Jing culvation is not to spill sperm, Qi cultivation is to control the breathing, and Shen culviation is having a calm mind. Conclusions : The Jing-Qi-Shen cultivation method of Donguibogam revolves around Taoism integrated with Buddhism. It places importance in the cultivation of the Inner Center(內丹), and emphasizes Shen in particular among Jing, Qi, and Shen.

수곡(水穀)의 운화(運化)와 배출 -"황제내경(黃帝内经)"을 중심으로- (The move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food and drink and its transpiration)

  • 오재근;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9-260
    • /
    • 2008
  • Accroding to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when the food and drink[水穀] enter the mouth, they divided into two different things with solid food[食] and liquid food[飮], then transformed and absorbed into Jeong(精), Gi(氣), and Jinaek(津液) and spread to the entire body. The movement and transformation[運化] of the food and drink in the body can be distinctly described with the circulation of the Yeonggi(營氣) Wigi(衛氣) and metabolism of Jinaek. The leftover food[糟粕] which is not transformed into Jinaek, not delivered to the Jangbu(藏府) like Gan(肝), Shim(心), Bi(脾) and Pe(肺), brought to the Daejang(大腸) and transported through the baekmun(魄門). Or some of them are verified at the Hoejang(廻腸) and brought to the Banggwang(膀胱) through the Hacho(下焦) then transpired them outside the body. The distinguishing mark of the move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food and drink and its transpiration in the "Hwangjenaegyeong" is that the Sin(腎) of five jangs is exclude from the process of the movement and transformation and the process is explained with the fluid like Gi and Jinaek. From the "Nangyeong(難經)", developing of Myeongmun(命門) theory, the importance of the Sin in the delivering process of the food and drink is remarkably highlighted; however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朝鮮), Seokgok Igyujun(石谷 李奎晙) denied the temporary theory of Myongmun and asserted the original interpretation recovery of "Hwangjenaegyeong".

  • PDF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형문(身形門)>의 의료기공학적(醫療6氣功學的) 의의(意義)에 관(關)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Medical Kigong with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 김성진;지선영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324
    • /
    • 2001
  • Medical Kigong is one of five noted methods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 is an important part of Oriental medicine. Recently many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Medical Kigong and studying it with several problems resulting. So it is necessary to get a theory of Medical Kigong which is scientifically well-organized. For this purpose we study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in terms of the theory of Medical Kigong and draw conclusions as follows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can be said to have all the necessary factors to be a separate book itself on Medical Kigong. It is focused on the preventive medicine through various methods of Medical Kigong used from the ancient times in China, and consists of the basic theory on Medical Kigong, the principle of Kigong. treatment result. patients to treat, specific Kigong methods, general methods on improving health, herbal diets and etc. The principle of Medical Kigong in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is to preserve and cultivate jeong(精;essence), ki(氣;breath), sin(神;spirit) which are three treasures of humanbody and it is achieved through health improving methods based on kigongsamjo(氣功三調), that is, josin(調身), josik(調息), josim(調心) and daesojucheonbeop(大小周天法) of naedanbeop(內丹法) in Taoism.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accepted Kigong health improvement methods in Taoism as a practical Medical Kigong and emphasized that preventing diseases through health improvement by Kigong is better than treating diseases. It also suggested that seasonal changes and ways of life are very important for health. In short,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established the system of Medical Kigong by discribing almost all parts of it, and can be used as one of the basic materials for the study of Korean Medical Kigong.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중심으로 한 이명(耳鳴), 이농(耳聾)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innitus and Deafness Based on the Donguibogam)

  • 박채연;안진희;백유상;정창현;장우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7-136
    • /
    • 2022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thology and treatment methods of tinnitus and deafness. Methods : Contents on the ears, pathology and treatment methods of tinnitus and deafness in the Donguibogam were examined. Results & Conclusions : Findings indicate that Kidney jing deficiency and problems of qi metabolism of the Kidney are at the root of tinnitus and deafness pathology. In treatment, once the primary symptoms are managed, the root, which is Kidney deficiency, needs to be improved, together with life style management. In the case of Heart-Kidney disconnection, the Heart must be collected while nurturing jing; in the case of yin deficiency and flaring, ministerial fire must be managed while tonifying jing and blood. If the cause lies in the Lungs and Kidney, they must be tonified, while in cases due to problematic water fluid metabolism, phlegm-fire or exterior pathogens, the Kidney needs to be dealt with even after treating the aforementioned causes.

『영추(靈樞)·본신(本神)』에 대한 소고(小考) (A Study on 「Benshen」 chapter in LingShu)

  • 안진희;백유상;장우창;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125
    • /
    • 2015
  •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to cure and prevent mental disease by translating and considering Benshen chapter in LingShu. Methods : First, I translate the contents of "Benshen" chapter in LingShu paragraph by paragraph. Second, I consider the contents of Benshen chapter in LingShu. Third, after considering each paragraph of Benshen chapter in LingShu, I think the relation of each paragraph and picture to myself Benshen chapter. Results and Conclusions : 1. Heart(心) appeared in Benshen chapter mediates the action of 'JeongSinHonBaek(精神魂魄)' and 'UiJiSaRyeoJi(意志思虑智)'. 2. 'UiJiSaRyeoJi(意志思虑智)' appeared in Benshen chapter means the process of the maturity of thought. 'Jeong(精)' which has a 'water(水), sink(沈), silent(靜)' image get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from 'Ui(意)' to 'Ji(志)', because its process means the thought is deepening. 'Hon(魂)' which has a 'wind(風), cloud(雲), change(變)' image get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from 'Ji(志)' to 'Sa(思)', because its process means the change of the thought. 'Sin(神)' which has a 'fire(火), bright(明), move(動)' image get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from 'Sa(思)' to 'Ryeo(慮)', because its process means the expansion the horizon of the cognition. 'Baek(魄)' which has a 'metal(金), firm(剛), decide (決)' image get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from 'Ryeo(慮)' to 'Ji(智)', because its process means the wise response to real world. 3. If one is immersed in one emotion and cannot escape from it, the functional change of Gi(氣) due to its emotion harms five spirits which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causes mental physical symptoms and has a possibility to die in the season which inhibit each five organs. 4. Five spirits(五神) acts based on 'HyeolMaekYeongGiJeong(血脈營氣精)' and in the symtoms caused by deficiency and excess of five organ Gi(五藏氣), symptoms of liver and heart appear in emotion and symptoms of spleen lung kidney appear in body. 5. Benshen chapt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hecking 'Sin(神)' and 'Gi(氣)' treating a patient with acupuncture and mentioning the importance of observing deficiency and excess of five organ Gi(五藏氣) in the last paragraph means 'Sin(神)' and 'Gi(氣)' are inseparably related.

용호비결 연단술의 분석심리학적 의미 (On the Secret Scripture of Dragon and Tiger (Yong-Ho-Bi-Gyeol)-a Jungian Commentary)

  • 신용욱
    • 심성연구
    • /
    • 제33권2호
    • /
    • pp.141-194
    • /
    • 2018
  • 용호비결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던 정렴(1506~1549년) 선생이 저술한 일종의 선도(仙道) 수련서로 매월당 김시습의 용호론의 맥을 잇는 조선시대 가장 중요한 도교문헌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정렴 선생과 용호비결 판본에 대하여 소개하고 책의 제목인 용호(龍虎), 책의 내용 중 수단지도(修丹之道), 폐기(閉氣), 호흡법, 단전(丹田), 현빈일규(玄牝一竅)의 연금술적 내용을 분석심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용호(龍虎)는 정신양(psychoid) 단계에서 작용하는 변환의 요소로 이를 통하여 단(丹)이 만들어지는데 단(丹)은 메르쿠리우스이자 철학자의 돌로 연금술의 적화 단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정렴 선생은 단(丹)을 이루기 위하여 가늘고 긴 호흡을 통한 단전에의 집중을 강조하였는데 이를 폐기(閉氣)라고 한다. 폐기(閉氣)는 능동적으로 니그레도(nigredo) 상태로 들어가는 것으로 이때 우리의 정신은 외부로 향한 투사를 거두어들여 단전(丹田)을 향해 집중한다. 니그레도를 통한 지속적인 수련은 알베도(albedo) 상태로의 이행을 가능케 하며 이를 통해 투사에 의한 객체의 오염으로부터 정신이 자유로와져 마음의 중심이 자아(ego)로부터 자기(Self)로 옮겨간다. 현빈일규(玄牝一竅)란 노자가 곡신(谷神)으로 표현한 우주의 여성적 원리를 경험하고 이를 체화하는 것이다.

진단의 내단이론과 삼교회통론 (The Theory of Chen tuan's Internal Alchemy and Intermixture of Taoism,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 김경수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53-86
    • /
    • 2011
  • 진단은 도교 내단이론의 정립자이며, 북송 이래 사상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다른 종교의 장점을 자신의 이론체계에 받아들이고 있음을 분명히 선언하고 있다. 그는 도교 수련과정의 논리적 부족함을 메우기 위해 유교의 역학(易學)을 도교 비전(秘傳)의 역학으로 대치하고, 육신과 정신의 이중구조를 통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선불교의 마음수행법을 자신의 체계 속으로 끌어들였다. 진단의 내단이론은 정기신(精氣神)의 개념에 기반하여 '연정화기' '연기화신' '연신환허'의 단계로 수련하는 도식이다. 진단이 말하는 내단수련이란, '도교 방식으로 해석한 "주역"의 근본원리에 바탕을 두고서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선(禪)의 수행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고요함의 끝에서 온갖 변화에 신묘하게 통할 수 있고 지혜가 충만한 상태에 이르게 되면, 미묘한 정(精)의 흐름을 간취하여 이것을 기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결국 복귀무극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그는 "무극도"를 그려서 표현했다. 동양철학은 인간을 '현상적 존재'와 '본원적 존재'로 구분한다. 이러한 '존재 규정'으로부터 수도론의 논리가 성립된다. '자아' 또는 '자기'라는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현상적 존재'로부터 '본원적 존재'로의 회귀 내지는 도약 방법이 결정된다. 도교 내단이론의 정립자라 할 수 있는 진단은 이런 측면에서 독특한 내단수련론과 삼교회통론의 체계를 확립한 인물이다. 오늘날은 '자아상실의 시대' 또는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생기는 '난치병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자아의 회복과 건강한 삶을 위해서 몸과 마음을 연결짓는 진단의 수련론에 대한 검토와, 여기에 기초한 새로운 수련법의 모색은 여전히 의미 있는 일이다.

『전경』에 나타난 대순사상의 생사관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Jeon-gyeong)

  • 쩡쯔밍
    • 대순사상논총
    • /
    • 제27집
    • /
    • pp.79-132
    • /
    • 2016
  • 대순진리회의 생사관은 천지귀신이 함께 하는 것이고, 인심을 근본적인 핵심으로 삼는다. 심성 수양의 정도에 따라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일심(一心)의 묘용(妙用)으로 보고 있다. 즉, 인간의 잠재적 능력에 주목함으로써 인간이 수행을 통해 신성의 초월적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순진리회의 생사관은 삼계공사의 종교적 사명으로 건립되었다. 여기서 삼계공사는 천지인 삼계의 개벽을 말한다. 이 개벽은 천지 운행의 원래의 규칙으로 돌아가서 새로운 우주적 질서를 짜는 것이다. 천지는 스스로의 운행규칙이 있다. 그것은 직접적으로 도에서 비롯하고 발현하는 작용이다. 대순진리회는 인간의 행위에 의해 천지운행의 규칙이 손상을 입었고, 그 결과 상도를 잃었다고 진단한다. 따라서 대순진리회는 인간과 천지에 원래 존재하던 도를 바로 세우는 것에 중점을 두고, 상도를 잃은 천지와 인간의 화해를 시도한다. 요컨대 무너진 신도(神道)의 질서를 바로잡아 만고의 원한을 풀어주는 것이다. 더 나아가 천지도수를 다시 짜는 것으로 상생의 도가 생기게 하고, 인간과 귀신은 자기실현을 통하여 완성에 이룰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인간은 천지와 통할 뿐 아니라 귀신과도 감응한다. 귀신 역시 초월적인 생명 형태로 인간의 심성과 통한다. 이와 관련해 대순진리회는 인간이 귀신의 힘에 의해 좌우지 되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초월적인 힘을 통해 귀신을 조종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순진리회의 목적은 인심의 수행과 함께 천지자연의 조화에 참여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인간의 심성이 우주적 도의 화신과 합일을 이룸으로써 천지의 신명과도 합일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한 실천과정으로 외적인 의식이나 법술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도덕적 수양을 통해 완성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역설한다. 즉, 일심불이(一心不二)의 수행으로써 초월적 심성의 경지에 이르게 되고, 생사의 모순과 여러 가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생사는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과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을 기뻐할 필요가 없고, 죽음을 슬퍼해야 할 이유도 없다. 오히려 육체를 초월하는 공부를 통해 심성의 에너지를 충만 시키면 죽음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초월할 수 있다. 불로불사란 형체를 가진 육체의 장생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존재의 본질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신적인 차원에서의 영원함을 이루는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정기신을 개발하여 도와 합일하는 경지에 이르고, 인성의 자아실천 작용을 촉발시켜 불로장생의 초월적 경지를 추구한다. 인도(人道)의 윤리실천으로써 천지의 도화(道化)작용과 통하고, 천도의 합일로서 생명존재의 조화와 영원함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인간은 육체적인 생사를 초월한다. 즉, 도인들은 일심을 지킨 수도를 통해 도와 합진(合眞)을 이루는 경지에 이르면, 인간의 개체적 자아를 완성함과 동시에 여러가지 재난과 고통을 피하고 행복한 삶의 가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