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 Chog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제주 초가(草家) 형태를 직물 문양으로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및 지역패션문화상품 개발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nd textile designs with the patterns of Jeju Choga)

  • 윤성희;홍희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1호
    • /
    • pp.45-62
    • /
    • 2015
  • This study i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based on 'Jeju Choga', which means the traditional houses in Jeju. For the product development, old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s, and consumer surveys were employed. Through old literatures and field surveys, the unique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Jeju Choga were confirmed: A thatched roof with lattice pattern, a side wall and fences with porous stones, a 'Jungnang' serving as a gate, and a 'Pungchai' preventing strong sola radiation and 'Ollai' meaning a narrow street in front of the Choga. As a results of consumer survey conducted before the development of products, consumers highly recognized and associated Jeju Choga as Jeju representative image. The six basic patterns of Jeju Choga were drawn and eight textile designs were created through the repeated arrangements of the basic patterns. Using the created textile designs and digital printing method, the eleven new fabrics with the patterns of Jeju Choga were developed. The various kinds of ten bags and tow wallets made with the new fabrics. As a result of consumer evaluation for the twelve products made in this study, the scores of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bove the average work for the most products of them. In particular,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square shoulder bag, the big-size shopper bag, and the small-size cross bag were very positively evaluated.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Jeju Choga could be very useful as a motif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focusing on Jeju tourism souvenir market.

제주도 전통 와가(瓦家)와 초가(草家)의 가사노동공간에 관한 비교 연구 - 민속자료로 지정된 가옥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of Household Workspace Between Traditional Waga and Choga in Jeju - Focused on the Housing Authorized as Historical Preservation Units -)

  • 이정림;김봉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25-37
    • /
    • 2002
  • (1) 와가는 안체에 정지가 있는 안거리 정지형과, 정지 전용건물이 있는 정지거리 별동형의 두가지로 나타났고, 초가는 안거리 정지형만 나타났다. (2) 가사노동공간은, 와가에서는 조리공간인 정지, 식사공간인 챗방, 저장공간인 고팡이 세 곳으로 나타났고, 초가에서는 정지와 고팡만 있고 챗방은 존재하지 않았다, (3) 정지 수는, 와가는 1개로 부모세대와 기혼자녀세대간에 공동취사가 이루어졌으며, 초가는 1~2개로 기혼자녀세대는 이웃에 분가하여 독립적인 생활을 하였다. 밖거리에 정지가 있는 두 개의 초가에서 안.밖거리 개별취사를 한 경우는 고용인이나 임차인이 기거하는 경우이었다. 고팡 수는, 와가는 1~3개이고, 초가는 1~2개로 와가의 고팡수가 초가보다 많았다. (4) 공간의 기능분화는 와가에서 뚜렷하게 나타나 정지에서 음식을 조리하고, 챗방에서 식사행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초가는 정지에서 조리와 식사행위가 이루어져 와가에 비해 낮은 분화수준을 나타냈다. (5) 공간별 동선관계는 와가와 초가의 차이는 없고, 정지거리 별동형은 고팡->상방->챗방->마당->정지의 동선으로 나타났다. 안거리 정지형은, 와가는 고팡->상방->챗방->정지의 동선으로 나타났고, 초가는 공팡->상팡->정지로서, 정지거리 별동형 와가의 동선이 가장 길었다. (6) 가사노동공간의 면적 비율은, 와가는 전체 건물면적 중 평균 30%를 나타냈고, 초가는 21%로 와가보다 9%정도 낮게 나타났다.